삼국통일의 의의와 한계에 대한 고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목 차
1. 서 론 (Introduction)

2. 본 론 (Main Body)
(1) 통일 이전의 국내외적 정세
(2) 삼국통일의 과정
① 백제의 멸망
② 고구려의 멸망
③ 나, 당 전쟁
(4) 삼국통일의 비판적시각
(5) 삼국통일의 의의

3. 결 론 (conclusion)

4. 참 고 문 헌 (Bibliography)BibliographyIntroduction)

본문내용

력이 높아졌다는 점이다. 과거 고구려의 경우에도 중국 측의 왕조가 부담스럽게 느낄 정도로 강한 군사력을 자랑했고, 또 실제로 수 차례의 대 규모 전쟁에서 승리함으로써 그 힘을 실증해 보이기는 했으나, 그것은 지리적 조건과 전략·전술에 의존한 군사 분야에서의 힘에 한정된 것이었다. 그러나 신라의 통일 이후에는 평화로움 속에서 전쟁으로 인한 인적·물적 피해가 최소화함으로써 정치·경제가 매우 안정되었으며, 그것은 곧 국제사회에서 신라의 위상을 높이는 기반이 되었다.
셋째, 하나의 국가체제 속에서 국민의 응집력을 기반으로 자랑스러운 문화의 꽃피웠다는 점이다. 서로 비슷하면서도 각기 독특한 기술·문화를 가꾸어온 삼국의 사람들이 하나의 체제하에서 결속됨으로써 이제 더욱 세련되고 풍요로운 문화의 꽃피울 수 있게 된 것이다. 더욱이 통일이 가져다 준 평화는 한동안 기술·문화의 발전을 가속시키고 신라사람들로 하여금 다양한 문화를 향유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신라의 한반도 통일은 한국 민족사에 커다란 획을 그었다. 고구려·신라·백제의 분립으로 언어와 풍속의 변화를 가져오고 있었던 것을 통일 이후 같은 민족으로의 융화 위에서 언어·생활·풍속이 통일을 이룩하는 기틀을 삼아, 융합·단일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할 수 있었다. 비록 고구려의 땅을 거의 잃는 불완전한 통일이었으며 융화정책에도 한계가 있었지만, 한반도의 융합은 후에 단일 민족의식을 고취시키는 데 이바지하였다.
신라의 삼국 통일은 외세를 이용하였다는 점과 대동강에서 원산만까지를 경계로 한 이남의 땅을 차지하는 데 그쳤다는 점에서 한계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신라가 당의 세력을 무력으로 몰아낸 사실에서 삼국통일의 자주적 성격을 인정할 수 있다. 또 고구려와 백제 문화의 전통을 수용하고 경제력을 확충함으로써 민족 문화 발전의 토대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도 신라의 삼국통일은 의의가 있다.
3. 결 론
지금까지 신라는 삼국을 통일하지 못했다? 라는 의문적인 주제를 놓고 부정적인 견해로써 북한학계의 동향을 서술하였고 그에 대한 비판과 신라의 삼국통일이 지니는 의의를 서술하였다. 대부분이 긍정적인 여론을 펼쳤으나 극소수의 부정론이 있다.
이는 현재 우리의 상황. 즉 남북이 양단된 채 국토의 협착, 인구의 과밀, 산업구조의 미성숙 등에서 오는 국가·민족적 진통 속에서 신라에 의한 통일보다는 고구려에 의하여 삼국통일이 이루어 졌었더라면 우리의 현재는 얼마나 다른 모습으로 변화되어 졌을까 라는 가정으로부터 출발한다는 공통배경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역사는 가정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오히려 그러한 가정을 하지 않기 위하여 역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음을 알아야 할 것이다.
우리의 역사라는 따뜻한 가슴도 필요하지만 철저한 객관성과 고증을 필요로 하는 차가운 머리도 필요한 것이다. 비록 신라의 삼국통일이 고구려 의 광대한 영역을 차지하지 못한 그래서 고려·조선으로 이어져 북진정책이라는 역사적 인연을 만들고 현재에까지 고구려를 그리워하는 결과를 낳고 말았지만, 그 시대에 존재했던 정치·경제· 사회·문화 등의 차가운 현실인식이 바탕이 되지 못한 따뜻한 가슴에 의한 논리로는 역사를 서술할 수도, 역사가 존재해야 하는 그 당위성 마저도 의심케 할 것이다.
우리의 역사는 오랜 세월을 거쳐 오는 동안 풍파를 맞고 고난을 거쳐 지금 우리에게 보여지는 모습으로 변모해왔다. 하지만 대부분의 역사를 보는 시선들은 단지 풍파에 헤어진 외관만으로 역사를 판단한다. 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그 역경과 위기를 꿋꿋히넘기고 현재 자랑스럽게 현존하고있는 우리 역사를 자랑스럽게 여기는 마음이다.
4. 참 고 문 헌
신형식.「삼국통일의 역사적 성격」
임승국譯 「한단고기」
  • 가격5,2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6.06.26
  • 저작시기2005.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68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