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사용 국가들의 언어정책 고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어사용 국가들의 언어정책 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II. 영국의 언어정책
1. 언어정책의 배경
2. 영어교육정책의 전개과정
3. 소수민족 언어에 대한 정책
3.1. Welsh어와 Gaelic어 교육
3.2. 타 소수민족 언어에 대한 정책
1) 동화주의 정책
2) 다문화주의 정책
4. 현재의 언어정책

III. 호주의 언어정책
1. 언어정책의 배경
2. 언어정책의 개발
3. 언어정책의 확립

IV.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언어정책
1. 주요 사용언어들
2. 신 헌법상의 언어정책
3. 언어정책의 개발
4. 언어정책에 관한 제반 압력들
5. 해결 과제들

V. 맺음말

본문내용

적인 교재 개발의 필요성이 강하게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넷째,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남아공 성인의 높은 문맹률을 고려할 때, 이들의 언어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은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Ridge, pp. 30-31).
V. 맺음말
앞에서, 주요 언어사용권 국가들인, 영국, 호주, 남아공의 다중언어정책들을 살펴보았다. 각국의 언어정책을 간단히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영국의 경우, 영국의 소수민족 교육정책이, 소수민족의 지위가 기존의 이민 집단에서 영국시민으로 자리잡게 됨에 따라, 동화주의에서 다문화주의, 그리고 다시 반인종차별주의 정책으로 진보하게 되었지만, 영국은 여전히 다른 국가들과는 달리 공식적인 언어정책을 가지 고 있지 않고 있다. 1960년대부터 1988년 제정된 영국교육과정(National Curriculum)이 제정되어 현재에 이르기까지 영국 교육정책 담당자들의 입장은 확고하다고 할 수 있다. 즉, 영어가 영국의 유일한 공식언어이고, 중등학교에서는 외국어 수업이 이루어지지만 이들도 불어, 독일어와 같은 주요 유럽 언어에 국한되고 Urdu, Panjabi 같은 소수민족언어는 제외되고 있는 것이다.
둘째, 호주의 경우, 호주가 뚜렷한 언어정책을 가지게 된 지난 십 수년간, 호주의 언어정책은 크게 보아 두 가지 주요 변화를 보여왔다고 할 수 있다. 첫째, NPL은 소수민족의 정체성 인정, 문화 및 언어 보존, 언어적 권리 인정, 평등한 기회의 부여, 양질 교육의 제공, 언어자원의 경제적, 비경제적 자산에 대한 인식의 관점에서 언어정책을 제시하였고, 특히, 언어 다양성과 다문화주의를 강조하였다. 반면 ALLP는 보다 협의의 관점에서 언어정책을 제시하여, NPL의 다문화주의가 아닌 경제적 관점에서 언어정책을 제시하여 영어이외의 언어들의 교육도 지역언어 보존의 차원이 아닌 경제적 동인에 의해 결정하고 있다. NPL이 호주의 언어정책을 장기적인 관점에서 구상된 것인데 비하여 백서는 분명한 철학적, 언어학적 기초가 없이 정치, 경제적인 편의주의 관점에서 구상되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양자간의 긴장관계가 지속되는 한 호주 언어정책의 장래는 불투명하다고 할 수 있다.
셋째, 남아공의 경우, 남아공의 언어정책은 몇 가지 요인들에 의해 구체적인 모습을 갖추게 될 것이다. 첫째, 다중언어, 다문화 사회를 구축하고자 하는 국가적 요망과 그에 따른 비용 문제간의 갈등 관계, 둘째, 각 언어사용 집단들이 자신들의 언어가 위협을 받고 있다고 느낄 경우, 언어 유지를 위한 정치적 압력 행사를 할 가능성의 존재, 셋째, 남아공에서의 영어의 위상이다. 현재 영어는 분명한 국가적 효용가치를 지니고 있고 따라서 대부분의 국민들이 선호하고 있는 언어이다. 하지만 이러한 영어의 우월적 지위가 기타 10개 언어들의 위축을 불러올 수 있고, 실제로 이들 탄 언어 사용집단들은 이러한 위험성에 대하여 경고하고 있다. 따라서 영어와 기타 주요 언어들간의 조화로운 공존이 남아공 언어정책 시행과정에서 해결해야 할 주요한 과제이다.
참고문헌
박영순. (1997). 『이중/다중언어 교육론: 세계의 언어교육과 한국의 언어정책 과제』 한국문화사.
박준언. (1995). “미국에서의 이중언어사용 및 이중언어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천과정”, 『사회언어학』(3권 1호). 55-69.
Baker, C. (1985). Aspects of Bilingualism in the British Isles. Clevedon: Multilingual Matters.
Eastman, C. M. (1984). Language Planning: An Introduction. San Francisco: Chandler & Sharp Publishers, Inc.
Herriman, M. (1996). Language Policy in Australia. In M. Herriman & B. Burnaby(Eds.), Language Policies in English-Dominant Countries: Six Case Studies (pp.35-61). Clevedon: Multilingual Matters Ltd.
Herriman, M. & Burnaby, B. (Eds.). (1996). Language Policies in English-Dominant Countries: Six Case Studies. Clevedon: Multilingual Matters Ltd.
Johnstone, R. (1994). The Impact of Current Developments to Support the Gaelic Language: Review of Research. London: Centre for Information on Language Teaching and Research.
Lo Bianco, J. (1987). National Policy on Languages. Commonwealth Department of Education, Canberra: AGPS
Mullard, C. (1984). Anti-Racist Education: The Three O's. Coventry: NAME.
Ridge, S. G. M. (1996). Language Policy in a Democratic South Africa. In M. Herriman & B. Burnaby (Eds.), Language Policies in English-Dominant Countries: Six Case Studies (pp.15-34). Clevedon: Multilingual Matters Ltd.
Thompson, L., Flemming, M. & Byram, M. (1996). Languages and Language Policy in Britain. In M. Herriman & B. Burnaby (Eds.), Language Policies in English-Dominant Countries: Six Case Studies (pp.99-121). Clevedon: ultilingual Matters Ltd.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6.07.03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74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