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paroscopic cholecystectomy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담낭의 구조 및 기능
1) 담낭의 구조
2) 담낭의 기능

Ⅱ. 담도질환
1) 담석증(cholelithiasis)
2) 담낭염(Cholecystitis)

Ⅲ. 진단검사
1) 단순 복부 촬영
2) 정맥담관 조영술(Intravenous cholangiography)
3) 경구담낭조영술(Oral Cholecystography)
4) 초음파 진단
5) 내시경적 역행적 췌담관 조영술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scopy : ERCP)
6) 경피성 간담관 조영술(percutaneous transhepatic cholangiography : PTC)

Ⅳ. 치료
1) 투약
2) 체외 충격파 쇄석술(extracorporeal shock wave lithotripsy : ESWL)
3) 수술
✻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

Ⅴ. 수술 전ㆍ후 간호
1) 수술 전 간호
2) 수술 후 간호

❂ 복강경 담낭절제술 시행 후 평가 ❂

본문내용

me Sodium) 나 기타 처방된 항생제의 AST를 실시하고, Result
를 기록한다.
⑥ AC / HC 를 측정하여 기록한다.
⑦ 주치의가 마취, 수술 후 합병증과 수술 후 치료계획을 설명했는지 확인하고, 수술 동의
서가 준비되었는지 확인한다.
⑧ 수술과 관련된 불안을 말로 표현하게 하고, 정서적으로 지지한다.
Pre OP 투약
- H/S 1000 IV (OR용)
- N/S 1000 IV (OR용)
- Pre medication
- EPO 1.0g IV OD
2) 수술 후 간호
간호진단
관련요인
통증
외과적 절개 / 이산화탄소 주입
지식결핍 : 치료 후, 퇴원시
지식ㆍ정보에 대한 노출부족
복강경 담낭절제술 후 관련된 간호진단
[수술당일]
① 염증이 진행된 담낭이 간에 유착되어 분리가 힘들어지면 출혈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수
술 직 후 몇 시간 동안은 출혈증상을 주의 깊게 관찰하며, V/S과 Mental state을 측정한
다.
② Semi-Fowler 체위를 취하며, 2시간 마다 체위변경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③ OP site를 확인하고, 드레싱은 항상 건조하고 깨끗하게 유지한다.
④ 수술 후 6시간 이내에 Self Voiding을 하도록 격려하고, Self voiding 여부를 확인한다.
⑤ 복통, 복부팽만, 발열 등 복막염 징후를 관찰한다.
⑥ 환자가 운동능력을 회복할 때까지 가래배출을 위해 기침을 하고 규칙적인 심호흡을 하도
록 권장한다.
⑦ 처방된 수액을 정맥을 통해 주입한다.
⑧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투약을 실시한다.
EPO 1.0g IV OD
N/S 100 + ISPC 400mg IV OD
GST 1Amp IV BID
MCM 1Amp IV BID
PRN) TARS 1Amp IV BID
⑨ NPO를 유지하며, 조기이상의 장점을 설명한 후 병실 내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수술 후 1일]
① V/S을 측정하며, Stool양을 기록한다.
② gas passing 여부를 확인하고 식사를 진행하도록 하며, 1식은 Sips, 2식은 LD, 3식은
SD로 진행한다.
③ 처방된 검사를 실시한다. (CBC, SMA, DB, r-GTP, AMYLASE)
④ 병실 및 병동내 운동을 권장하고, 격려하며, 어지러움을 주의하고, 운동시 보호자가 동반
하도록 교육한다.
⑤ Wound Dressing을 실시하도록 하고, OP site를 관찰한다.
⑥ 처방에 따라 수액과 투약을 실시한다.
EPO 1.0g IV BID
N/S 100 + ISPC 400mg IV OD
PRN) TARS IV BID
2식부터 BSZ 1T, GAN 1T PO BID
[수술 후 2일]
① V/S을 측정하며, Stool양을 기록한다.
② 1식은 SD, 2식부터는 GD를 제공한다.
③ Wound Dressing을 실시하도록 하고, OP site를 관찰한다.
④ 병동 내 운동을 권장한다.
⑤ 처방에 따른 투약을 실시한다.
EPO 1.0g IV BID
N/S 100 + ISPC 400mg IV OD
PRN) TARS IV BID
BSZ 1T, GAN 1T, MAT 1T PO TID
⑥ 환자의 회복정도에 따라 퇴원계획을 잡고, 의사의 퇴원예고가 있으면 퇴원교육을 실시한
다.
식이, 활동범위, 목욕, 퇴원약( BSZ 1T, GAN 1T PO TID × 5일분)의 용법, 시간,
부작용, 외래 재진 예약 등
복강경 담낭절제술 시행 후 평가
1. 통증을 호소하지 않는다.
안절부절 못하는 표정, 얕은 호흡, 통증을 암시하는 기타 행동을 보이지 않는다.
적절한 운동이 가능하다.
2. 다음과 같은 퇴원 후 자가 관리법에 대해 정확히 설명할 수 있다.
통증경감을 위해 필요시 경구용 진통제를 투여한다.
제한 없이 균형된 식이를 섭취한다.
활동에 내성이 생긴다.
직업으로의 복귀는 3일 내에 가능하고 7일이면 정상 활동으로 완전히 회복된다.
원하면 샤워가 가능하다.
2주 내 추후방문을 한다.
Ⅵ. 참고문헌
김조자외(2002), 성인간호학 2, 현문사 p.9~22, p.94~116
Sigma Theta Tau Lambda Alpha Chapter-At-Large 편찬(2003), 최신 임상간호 매뉴 얼, 현문사, p.926~957
CIBA 원색도해의학총서 편찬위원회 편(2000), THE CIBA COLLECTION OF MEDICAL ILLUSTRATION, 정담
EWHA UNIVERSITY MOKDONG HOSPITAL 표준진료지침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6.08.03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06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