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전생물학과환경교육] 무척추 해양생물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보전생물학과환경교육] 무척추 해양생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 무척추동물의 다양성 ··············· 1

Ⅱ. 본론
1. 무척추 해양생물 보호의 필요성 ··············· 2
2. 무척추 해양생물에 대한 위협 ················ 3
3. 규정 및 법률 제정 ····················· 5
4. 보전에 관한 사례······················ 6

Ⅲ. 결론 : 무척추동물 보전의 미래·············· 8

본문내용

하는 면적의 서식지를 보전함으로써 그 서식지에 함께 살고 있는 수가 많고 크기가 작은 다른 종들이 자연적으로 함께 서식할 수 있으므로 종 다양성을 유지 시킬 수 있다는 새로운 개념. 예) 미국 옐로우스톤 생태계에 서식하는 불곰(Ursus arctos).
이기 때문에 일부 지역의 산호가 멸종하더라도 큰 문제가 될 수 있다. 산호초 보전에는 관광객의 접근을 조절하고 산호거래를 감시, 금지시키는 것과 함께 남획조절이 필수적이다. 석화된 산호는 다른 지역으로 이주시켜 손상된 산호초를 복원시키고, 인공산호초를 만들 수도 있다.
다음은 산호초 보호를 위한 계획 지침이다(Salm, 1984).(1) 보호구역에는 다양한 산호서식처가 포함되어야 하며 다양한 종류의 유생이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어야 한다.
(2) 산호초 보호구역을 산호초 바로 바깥에 설정해서는 안 되고, 산호초와 상호작용하는 주변 서식처까지 포함하도록 확장해 설정해야 한다.
(3) 산호초 관리는 섬이나 본토의 해안가 산호초 보호지역 경계선 내에 국한되어서는 안 되고 그 밖까지 넓게 확장해 이루어져야 한다.
(4) 모든 종이 생존하기를 기대한다면, 생물다양성 보전을 목적으로 설계된 보호 산호초의 중심지역은 치명적인 최소크기 이상이 되어야 한다.
Ⅲ. 결론 ~ 무척추동물 보전의 미래 ~
무척추동물의 다양성 때문에 무척추동물 전반을 상세히 기록하기는 쉽지 않지만, 이것은 또한 보전의 필요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기본 틀이며, 우리가 무척추동물의 생물다양성을 이해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보전활동의 첫 번째 단추라고 할 수 있는 정확한 분석과 지식이 필요하다. 이러한 지식을 교환하여 변화의 영향을 예측, 해석하여 위협에 대항하고 생태계를 유지하기 위한 관리방법을 이끌어내야 한다. 그리고 보전상태나 기록상태가 좋지 않은 표본을 찾아 분석하는 일 또한 중요하다.
무엇보다 무척추동물의 보전을 위해 환경교육과 학생인 우리가 직접적으로 할 수 있는 일은 교육자의 역할이다. 미래의 주역들인 학생들이 다양한 생태계에 관심을 가지도록 해야 하고, 보전의 심각성을 인식시켜야 한다. 아울러 우리 주변에서 실제 많이 볼 수 없는 무척추동물에 대해서도 많은 지식을 가질 수 있도록, 관심을 고취시켜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리 자신부터 무척추 동물의 보전에 대해 평소에 생태학적 고민과 계속적인 탐구자세를 갖추고 항상 지켜보아야 한다.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무척추동물 보전과 더 넓게는 모든 생물의 보전에 대해 점점 더 익숙해지고 있긴 하지만 아직도 적잖은 사람들에게 무척추동물의 보전이 생소한 분야로 들릴지 모른다. 무척추동물의 보전은 새로 등장한 ‘특별한 과학 분야’가 아니라 자연세계 전체를 보전하기 위한 필요와 관심의 일부일 따름이다. 그러므로 여러 군데 수록하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좀더 중요한 것은 뒤이은 책임감 있는 행동이다. 앞에서 말한 것처럼 법률의 제정과 사람들의 관심이 이러한 행동의 시작이라 볼 수 있겠다. 특히 처음 서론시작부에 윌슨의 인용구처럼 중요한 무척추동물이 인기 있는 포유류나 조류와 같은 위치를 부여받게 된다면 이들의 안전도 그만큼 보장받게 될 것이다.
“완전한 파괴로 치닫는 서식처 개발, 포식자나 경쟁자들의 우연한 도입 또는 계획된 도입·남획 등 인간의 간섭이, 생물들이 멸종의 위기에 처하게 된 이유다” by 솔렘(Solem, 1990)
이처럼 무분별한 파괴는 생물들의 멸종을 가져왔고 우리 앞에 놓인 이러한 문제는 그냥 방치하기에는 너무나 중요하다. 보전이라는 말은 그리 거창한 것이 아니라 조금 더 신경을 쓰고 관심을 보이는 것에서 시작된다. 따라서 우리 개개인은 무척추동물 뿐만이 아닌 모든 생태계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보전을 위한 노력을 해나가야 한다. 그리고 우리 지구생태계 전체에서 동물계를 증식시킬 수 있는 가장 중요한 후원자로서 우리와 지구를 공유하면서 역동적인 자연을 오랜 세월 동안 지배해온 다른 많은 종들의 생존과 우리 인간의 요구를 슬기롭게 잘 조화시키는 역할을 맡아야 할 것이다.
Ⅳ. 참고문헌
* 금성출판사 (1994). THE ENCYCLOPEDIA VENUS 학생백과대사전 生物과 環境.
* 손민호·홍성윤 (2003).바위해변에 사는 해양생물(해변생물 생태관찰 안내서),풍등출판사.
* 제종길 외 4명 (2002). 우리바다 해양 생물, 도서출판 다른 세상.
* Taiji Kikuchi 저 (1996). 해양 무척추동물의 번식과 생활사, 도서출판 아카데미서적.
  • 가격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6.08.13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12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