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법론] 방송화법에 대해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본론
Ⅰ. 방송화법 - 개념, 특성, 기능, 규범
1. 방송 화법의 개념
2. 방송 화법의 특성
3. 방송 화법의 기능
4. 방송의 일반 화법

결 론

본문내용

로 표준어를 써야 하고, 방송의 품위를 지키기 위해서도 표준어를 써야 한다. 따라서 우선 일차적으로 PD를 비롯한 전문 방송인이 방송언어를 순화하고, 바르고 고운 말의 방송을 하겠다는 의식을 가져야 한다. 우리도 방송언어로 국민 언어의 모델을 삼겠다는 비장한 다짐을 해야 한다. 이차적으로는 방송위원회와, 각 방송사의 사장이 방송의 형식인 언어를 바로잡겠다는 의식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이끌어 나가야 한다. 위원회와 방송사가 이러한 확고한 신념을 가지고 방송언어의 순화 사업을 이끌어 나간다면 머지 않은 장래에 우리의 방송언어는 순화될 것이다.
두 번째로는 심의와 교육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 방송은 공중을 대상으로 한 말로써 올바른 공용어가 쓰여야 한다. 더구나 방송언어는 시범성, 교육성을 지니기 때문에 더욱 그러하다. 따라서 방송언어는 대본에서 방송에 이르기까지 엄격한 심의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심의는 우선 각 방송사에서 철저히 할 일이다. 심의는 유형화하거나 일반화하지 말고, 방송인이 직접 교정을 받을 수 있는 교육적 차원에서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방송위원회는 정책적인 면과 같은 보다 근본적이고, 큰 문제를 다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방송인의 꾸준한 연수를 하도록 해야 한다.
세 번째로는 각 방송사에 국어과를 두어 방송언어를 연구하고, 언어 문제 실무에 종사하게 해야 한다. 국어의 문제를 다루는 전문 부서가 있으면 여기서 차분히 방송언어의 문제를 연구하고, 언어 문제 전반에 대한 실무를 집행할 수 있다. 여기서는 대본 검토에서부터 방송 현장의 문제는 물론, 방송의 사후 점검까지 꾀할 수 있을 것이다. 검열 부재인 자막도 여기서 검토될 수 있을 것이다.
네 번째로는 국어 교육을 더욱 정상화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방송언어란 일반성과 특수성을 지닌다. 곧 방송언어라 하여 특출한 말이 아니고, 우리가 일상 쓰는 말이며, 이는 방송에서 쓰이기 때문에 방송에 어울리는 특수성을 지닌다는 말이다. 따라서 방송언어는 방송언어이기 이전의 우리의 국어이다. 따라서 국어 교육이 정상적으로 꾀해져 우리 국민이 바른 말, 고운 말을 쓰게 된다면 방송언어의 문제는 실로 반감될 것이다. 따라서 지금까지 입시 교육으로 말미암아 찌든 국어 교육을 바로 하도록 할 일이다. 이를 위해서는 언어의 기능 교육을 정상화할 것이고 나아가 강화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이주행, 방송 화법, 亦樂, 2000

키워드

화법론,   방송,   화법,   방송언어,   언어,   방송화법,   아나운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8.25
  • 저작시기2006.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21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