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도암 문헌고찰과 간호과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식도암 문헌고찰과 간호과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문헌 고찰
1. 원인
2. 임상증상
3. 식도암의 병기 판정 기준
4. 치료와 간호

Ⅱ. 자료수집
1. 일반정보
2. 입원 동기
3. 과거병력
4. 최근투약
5. 가족력
6. 알레르기
7. 신체사정
8. 의식 및 정서 상태
9. 습관
10. 입원시 V/S

Ⅲ. 일반적 혈액 검사

Ⅳ. Medication

Ⅵ. 참고 문헌

Ⅴ. 간호과정

본문내용

0.9 ~ 1.5
여 : 0.6 ~11.3
Na
139mmol/L
남 : 136 ~ 146
여 : 136 ~ 146
K
3.9mmol/L
남 : 3.3 ~ 5.1
여 : 3.3 ~ 5.1
Total Protein
L3.9g/dL
남 : 6.7 ~ 8.3
여 : 6.7 ~ 8.3
Albumin
3.9g/dL
남 : 3.2 ~ 4.8
여 : 3.2 ~ 4.8
Total Bilirubin
0.93mg/dL
남 : 0.01~ 1.1
여 : 0.01~ 1.1
Direct Bilirubin
0.1mg/dL
남 : 0.01 ~0.3
여 : 0.01 ~0.3
Total cholesterol
147mg/dL
남 : 125 ~ 200
Alkaline phosphatase
76IU/L
여 : 125 ~ 200
GGT
25U/L
남 : 8 ~ 61
여 : 8 ~ 61
Ca
9.1
-
P
3.4
-
UA
4.6
BUN
4.5
CREA
L68.1
Ⅳ. Medication
1. Fluorouracil(5-FU)(항암제)
- 적응증
세포내에서 uracil과 상경적으로 작용하여 DNA 합성을 저해
세포주기 중 S phase에 특이적으로 작용
소화기계 - 위암, 결장암, 직장암, 방광암, 혈종
유방암, 난소암, 자궁암
- 부작용
오심, 구토, 설사, 구내염, 식욕부진. 피부염, 탈모증, 간독성
골수억제로 인한 백혈구감소증, 혈소판 감소증, 색소침착
소뇌성 운동실조 - 드물게 나타남
- 간호
3-5분에 걸쳐 정맥 내에 직접 주입하거나, 임상기록에 따라 지속적으로 수액에 혼합하 여 함께 주입
주사된 정맥에 착색 현상이 나타날 것을 미리 환자에게 알려줌
2. Normal Saline 9g(IV) 1000㎖
3. Masi 10% 20㎖
- 분류 : 항전간제, 진정제
- 효능 : 경련, 자간, 전해질 보급
- 금기 : 신기능 장애, 혼수, 근무력증
4. K40 20㎖
5. Macperan 10㎎/2㎖
- 분류 : 소화기관용약
- 효능 : 소화기능 이상시, 구역 구토예방
- 금기 : 위장관 출혈, 기계적 장폐색, 크롬친화 세포종, 간질
6. Dextrose 5% 1000㎖
- 효능 : 탈수증(특히 수분 결핍시의 수분 보급)
- 용량 : 1일 500-1000㎖ IV, 최대투여속도 : 0.5g/㎏/hr
- 부작용 : 급속 대량 투여시 전해질 상실
- 금기 : 저장성 탈수증 환자
7. Lasix
- 효능 : loop diuretic
- 부작용 : 식욕부진, 오심, 설사, 변비. 현기, 근육경련, 심박불규칙 등
-금기 : 무뇨증, 저나트륨, 저칼륨혈증, 간성혼수, 혈액량 현저히 감소로 인한 혈압 저하
-저장 : 차광
8. Mexol (진토제)
9. cisplatin(항종양제)
- 효능 : 위암
- 부작용 : 빈혈, 위장장애, 탈모, 발열
- 주의점 : 뇨량 유지 위해 지속적으로 수분 섭취, 오심 구토가 48시간까지 지속될 수 있음
Ⅵ. 참고 문헌
① 성인간호학(상)/ 전시자외 9명/현문사/2005
② 포켓 간호진단 가이드 / 고성희/ 현문사/2002
③ 성인간호학 (3) / 고금자/ 정담/1998
Ⅴ. 간호과정
평소 healthy, 2005년 2월 odynophagia, dysphagia, hematemesis 주호소로 내원하여Esophageal Ca(Sqcc) Dx 받고 1차 CTx 및 RTx 후 퇴원함. 이 후 OPD F/U 해오다가 금일 2차 CTx 위해 Adm함.
* Problem List
1. 화학요법으로 인한 위장관 불편감 3. 영양부족으로 인한 현기증과 허약
2. 오심 및 연하곤란과 관련된 영양부족 4. 화학요법과 관련된 절망감
사정
S : " 속이 너무 메스꺼워서 밤에 잠도 못 자고 너무 괴로워!“
“ 속이 메스꺼워서 입맛도 없고 밥이 안 넘어가서 못 먹겠습니다.”
O : 대상자의 얼굴 창백하고 피부 차고 축축함.
BP 118/79 → 80/36
PR 79 →95
식사 다 먹지 않고 남김.
음식 먹는 것을 두려워함.
진단
#오심과 관련된 영양부족
목표
대상자는 오심이 완화되고, 정상적인 영양상태 유지한다.
계획
오심이 항암제 투여로 인해서 생긴다는 것을 다시 설명한다.
소량씩 자주 식사하시라고 권장한다.
식사 중간에는 음료수를 제한한다.
오심이 있을 때는 크래커나 마른 토스트를 드시라고 권한다.
오심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근육 이완법을 시행하도록 권유한다.
환자의 V/S을 주기적으로 check 한다.
의사의 처방에 따라 진토제 투여한다.
중재
오심이 항암제투여로 인해 생긴다는 것을 다시 설명했다.
평소에 좋아하시던 음식을 소량씩 자주 드시도록 권장했다.
식사 중간에는 음료수를 안드시는게 좋다고 알려 드렸다.
오심이 있을 때 크래커나 마른 토스트를 드시라고 권하고, 긴장을 풀고 심호 흡과 삼키는 동작을 하시도록 권유했다.
주기적으로 V/S을 check 했다.
의사의 처방에 따라 진토제를 투여했다.
평가
대상자는 속이 한결 편해져서 밤에 잠도 잘 잤다고 말했다.
대상자는 소량씩 식사를 자주하고 남기지 않는다.
BP 80/36→98/72→112/70 →123/78로 유지되었다.
PR 95→90→87→73으로 유지 되었다.
사정
S : " 이렇게까지 하면서 살아야하나?“
“ 이건 살아도 사는게 아니지...”
“ 차라리 밤에 자면서 조용히 죽었으면...”
O: 치료에 대한 적극성 결여
보호자에 의한 수동적인간호에의 참여
진단
#화학요법과 관련된 절망감
목표
대상자는 치료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계획
대상자 스스로가 감정 표현을 하도록 도와준다.
스스로에 대해 긍정적인 면을 확인하게 도와준다.
치료에 관심을 가지도록 대상자가 이해하기 쉽게 화학요법의 중요성에 대 해 다시 설명한다.
중재
대상자 스스로가 감정 표현 하도록 대상자를 격려 했다.
대상자가 이해하기 쉽도록 화학요법의 중요성과 독작용에 대해 다시 한번 더 설명했다.
대상자가 스스로에 대해 긍정적인 사고를 하고 삶의 의욕을 가질 수 있도 록 면담하고, 지지해 주었다.
평가
대상자는 화학요법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살의 의욕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6.10.21
  • 저작시기2005.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80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