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stinal obstruction(장폐색)에 관한 케이스 레포트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intestinal obstruction(장폐색)에 관한 케이스 레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 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대상 및 기간 1
3. 연구방법 1

II. 문헌고찰………1~4
1. 원인 1~3
2. 병태생리 3
3. 증상과 징후 3
4. 진단 3~4
5. 치료 4

III. 사례연구………4~17
1. 간호력 4~5
2. 진단적 검사 5
3. 치료현황 6~10
4. 간호진단 10~17

IV. 결 론………17

본문내용

올라가지 않도록 교육하였다.
③ 간호수행 전 후 손씻기를 잘 한다.
- 간호수행시 손씻기를 꼭 하였으며 간호수행 후에도 교차감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손씻기 를 잘 하였다.
④ 배액되는 양과 색을 관찰한다.
- urine의 색은 호박빛으로 깨끗했으며 G-tube로 drain되는 위내용물은 악취가 심하고 stool색깔이었으나 점차 호전되었다. (양은 위의 표를 참조)
⑤ 배액주머니가 땅에 끌리지 않도록 하며 배액병이 넘어지지 않도록 한다.
- urine bag이 땅에 끌리지 않도록 하였으며 침대에 잘 묶어 두었다. 또한 그렇게 하도록 교육하였다. G-tube drainage 되는 배액 병은 넘어지지 않도록 조심하였으며 환자분이 내려오면서 발로 차지 않게 안전한 장소에 두며 주의를 주었다.
⑥ 체온, WBC, CRP등의 검사 수치를 확인한다.
- 체온은 정상범위안에 있었으며 검사수치는 배액관으로 인한 감염의 증후를 보이지 않았 다.
(5) 평가
urine의 색은 호박빛으로 clear 하였으며, G-tube drainage 양상 또한 호전되었다.(양은 표를 참조)
고체온, CBC 상승등의 감염증상은 없었다.
환자분 urine bag을 배액관 삽입부위보다 더 낮게 위치하여 잘 들고 다녔다.
5) 수술
(1) 의미있는 자료
* Subjective Data
① “산소가 잘 안나오는 것 같아요.”
② “가래가 자꾸 나와요.”
* Objective Data
① 수술시 마취를 general로 하였음.
② 기침 시 가래 끓는 소리.
③ 10/2일 Adhesiolysis op 하였음.
④ 수술 전 마취통증 의학과 consult 결과상 “수술 후 폐 합병증 가능성 충분히 warning 하고 수술하시기 바랍니다.”라고 나왔음.
(2) 간호진단
#5.. 수술과 관련된 기도 청결의 비효율성.
(3) 간호목표
- 단기목표 : 환자는 심호흡과 기침을 한다.
- 장기목표 : 환자는 폐 합병증의 징후를 호소하지 않는다..
(4) 간호계획 & 수행
① 심호흡과 기침을 격려한다.
- 심호흡과 기침을 하는 이유를 설명하고 격려하였다.
② 필요시 산소를 공급한다.
- 02 4l apply하였다.(10/2~10/5) 또한 산소 공급 시 화재 예방을 교육하였으며 매번 산소 가 잘 나오고 있는지 확인 하였다.
③ ward ambulation을 격려하였다.
- 환자분이 침대에만 누워 있으려 하여서 병동을 걸어다녀 보라고 말씀 드렸다.
④ 처방된 약을 투여한다.
- I-BSV를 IV로 투여하였다.(표 참조)
(5) 평가
환자분께 ward ambulation을 격려하기 위하여 아침 bed making를 할때나 다른 처치를 할 때 잠시만 나가서 한바퀴 걷고 오시라고 말씀 드렸다. 그 결과 병동을 걸어다니는 모습 보였다.
폐 합병증 없었다.
(1) 의미있는 자료
* Subjective Data
① “내일 수술 언제 하나요?”
② “얼마나 있어야 끝나나요?.”
* Objective Data
① 표정이 굳어 있음.
(2) 간호진단
#6. 수술과 관련된 불안.
(3) 간호목표
- 단기목표 : 환자는 불안이 감소되었다고 말한다.
- 장기목표 : 환자는 수술에 관해 이해하고 더 이상의 불안을 표현하지 않는다.
(4) 간호계획 & 수행
① 불안의 정도와 양상을 사정한다.
- 불안을 0~10까지 숫자화 하여 어느 정도인지 확인하였다.(6)
② 불안을 말로 표현하도록 한다.
- 불안을 말로 표현하도록 격려하였다.
③ 치료적 의사소통을 사용한다.
- 수술의 내용과 절차에 관해 간단히 설명해 드리고 수술 후 어떤 간호 처치를 할 것인가 설명해 드렸다.
④ 비 약물적 이완요법을 사용한다.
- 환자분과 대화를 하여 불안을 잊게 하거나 산책을 하는 등의 행동을 격려하였다.
⑤ 조용하고 낯설지 않은 분위기를 제공한다.
- 모든 간호수행 전·후 설명을 하였으며 조용한 환경에서 간호수행을 하였다.
(5) 평가
처음에는 수술로 인하여 많이 불안해 보였으며 신경이 날카로워져 있었다. 하지만, 수술에 관해 설명을 해 드리고 대화를 통하여 불안을 표현하도록 하고 난 후 표정은 한결 부드러워 졌으며 불안이 나아졌다고 말씀 하셨다.
IV. 결 론
이상에서 본 연구는 post op intestinal obstruction으로 진단을 받고 응급실로 와 9/27일 당일 병동으로 온 52세된 male 환자를 대상으로 간호문제를 사정하고, 분석, 진단을 내리고, 이러한 간호문제 해결을 위한 간호계획을 세워 수행하고 평가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 내린 간호진단은 크게
#1. 구토, 치료적 금식, 배액과 관련된 체액불균형의 위험성. #2.. 복부팽만, 수술과 관련된 통증. #3.. 장폐색, 배액관, 치료적 금식과 관련된 수분 및 영양부족의 위험성. #4. 외부 삽입관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5.. 수술과 관련된 기도 청결의 비효율성. #6. 수술과 관련된 불안.
으로, 이것을 각각 없애거나 완화시키는 방향으로 간호계획 및 중재가 이루어 졌다.
이것은 비단 intestinal obstruction 환자만이 겪을 수 있는 문제들은 아니다. 통증, 체액불균형, 불안, 감염의 위험성, 기도 청결의 비효율성 등 이 모든 것은 다른 질환을 갖고 있거나 수술을 할 모든 대상자에게 적용 할 수 있고 다른 대상자들이 겪을 수 있는 문제이기 때문에 우리 모두 숙지하고 있어야 할 중요한 사안들이라고 생각된다.
결과적으로 수술 후 대상자는 호전되는 모습을 보였고 그 전의 irritable한 모습과는 달리 항상 웃으며 운동을 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체중이 증가하고 말수가 많아지는 등의 모습도 보였다. 식이와 배변, 통증이 없는 편안함은 인간이 추구하는 가장 기본적인 욕구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기본적 욕구에 문제가 되는 질환을 가진 환자를 보면 그들의 마음을 이해하고 보다 더 편안하고 안락함을 제공하는 간호를 수행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
1) [성인간호학 上 II], 박춘자 외. 수문사, 2004.
2) [국립의료원 의약품집], 국립의료원, 2005.
3) [임상메뉴혈], 현문사, 2002.
4) [간호진단과 중재], 서문자, 이은옥 외, 서울대출판부, 1999.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6.10.31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87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