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지리론] 동해안 지역의 언어 차이에 대해서(등어선)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문화 지리론] 동해안 지역의 언어 차이에 대해서(등어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방언의 정의

2.등어선의 정의

3.등어선의 종류

4.동해안지역의 특징

5.강릉 아방언

6.강릉 아방언에 영향을 끼친
경상도 방언 & 경기도 방언

7.등어선 경계가 불확실한 이유

8.사투리로 즐겨보는 유머

본문내용

>
2) 동해안의 지정학적 위치가 가지는 역사적 의미
통일신라시대와 고려시대에 각각 크게 변화하였다. 고대에 동해안은 북부 방언군에 속 하는 언어가 사용되었지만, 신라의 영토로 편입된 다음부터 남부 방언 군에 속하는 경상도 방언의 영향을 받았다. 고려시대에 동해안은 경상도 방언의 영향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 중앙의 표준어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그 결과 동해안에서 경상도 방언의 영향이 북쪽으로 가면서 약화되는 반면, 표준어의 영향은 강화된다. 즉 동해안에서 경상도 방언이나 표준어의 영향력은 통일신라의 수도인 경주와 고려 왕조의 수도인 개경과의 거리에 비례한다.
BONUS <<사투리로 즐겨보는 유머>>
사투리 1<공사중> "질가 대기는데 갈구쳐서마 ~ 이 미안 하우야 ...." 해설 길을 가다보면 이런 글이 적혀 있지요.. 공사중!! 보행에 불편을 드려 대단히 죄송합니다. "
사투리2 <방송맨트> 아 ! 아 ! 마카 들려요 ?흠~~~~~~~~~~~~~~~~~~~~ 반민 여러분께 알쿼드립니다. 다르미 아니오라 오늘 진약에 반장댁에서 쥐약을 놓고 줄 모냉이 니 개나 고냉이는 정지에 꽁꽁 무꺼노코 모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해설 마을 반장님의 60 년대 방송 .. 흠 .. 흠 새마을 운동이 전개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쥐 때려잡기 운동이 벌어졌다. 그 당시 어느 마을 반장님의 마을 방송매트이다. 아! 아! 전부 들려요?흠 ~~~~~~~~~~~~~~~~~~반민 여러분께 알려 드립니다. 다름이 아니오라 오늘 저녁에 반장댁에서 쥐약을 나누어 드릴테니까개나 고양이는 부엌에 묶어놓고 모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키워드

문화지리,   동해,   방언,   강원도,   사투리,   동해안,   강릉,   등어선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6.11.17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22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