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돌공사쌓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벽돌공사쌓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벽돌공사
1. 벽돌쌓기방법
1) 길이쌓기∙마구리쌓기
2) 영식쌓기
3) 화란식 쌓기
4) 불식쌓기
5) 미식쌓기

2. 부위별 벽돌공사
1) 기초쌓기
2) 내쌓기
3) 교차부쌓기
4) 모서리쌓기
5) 독립기둥, 붙임기둥, 부축벽 및 좁은벽 쌓기
6) 아치쌓기
7) 공간쌓기
8) 창문틀 세우기
9) 인방보 쌓기
10) 내화벽돌 쌓기
11) 장식쌓기

2. 벽돌공사시 주의사항
1) 균열
2) 백화
3) 신축줄눈
4) 치장줄눈

본문내용

집중하중, 횡력 및 충격
④ 벽돌벽의 길이, 높이에 비해 두께가 부족하거나 벽체강도의 부족
⑤ 문꼴 크기의 불합리 및 불균형 배치
(개구부 크기의 불합리)
① 벽돌 및 모르터의 강도 부족
② 온도 및 습도에 의한 재료의 신축성
③ 이질재와의 접합부 불완전 시공
④ 콘크리트보 밑의 모르터 다져넣기의 부족
(장막벽의 상부)
⑤ 모르터, 회반죽 바름의 신축 및 들뜨기
⑥ 온도변화와 신축을 고려한 Control Joint설치 미흡
벽돌벽의 균열은 계획설계상의 미비나 시공상의 결함으로 발생하며 그 내용은 다음의 표 1과 같다.
벽돌벽의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벽돌모르터 자체의 강도를 증진시키고 계획설계과정에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고 공사과정에서 철저한 품질관리를 한다. 즉, 모르터는 정확한 배합으로 시멘트와 모래를 잘 섞어 건비빔하고 사용시에 물을 부어 잘 반죽하되, 굳기 시작한 모르터는 사용하지 말아야 하며 모르터의 강도는 벽돌 강도 이상이어야 한다.
2) 백화
벽표면에 빗물이 침투하여 모르터 중 석회분이 유출두어 공기중의 탄산가스와 결합하여 백색의 미세한 물질이 생겨 벽돌벽의 표면에 하얀 가루가 돋아나는 현상을 말한다. 백화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흡수율이 작은 소성이 잘 된 벽돌을 사용하고 줄눈 모르터에 방수제를 혼합한다. 표면에 방수 모르터를 바르거나 실리콘을 뿜칠하고 물시멘트를 감소시키거나, 조립률이 큰 모래, 분말도가 큰 시멘트를 사용한다. 벽돌이 항상 건조상태가 될 수 있게 배수, 통풍을 잘 해우저야 하며, 벽면의 풍화와 창대 등 돌출부분에 빗물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차양, 루버, 돌림띠 등을 설치하여 비를 막아준다.
사진 4. 창문틀 상부의 백화현상
3) 신축줄눈
신축줄눈은 도면에 따라 설치하고 신축줄눈의 스트립은 탄성충전재, 신축성이 있는 기성 네오프렌이나 압출 플라스틱 등을 사용한다. 온도변화에 따라 팽창진동 등에 대응하도록 설계하며 접착성, 내구성, 시공성을 고려하고, 건축용 실링재를 충전시켜 마무리한다.
벽돌벽체의 신축줄눈과 조절줄눈은 온도습도화학적 변화에 의해 일어나는 재료의 부피변화에 대한 신축에 대응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연속되게 설치해야 한다.
4) 치장줄눈
의장효과를 주기 위한 줄눈으로 벽돌벽면을 제물치장으로 할 때 모르터로 줄눈을 바른다. 치장줄눈의 모양은 민줄눈평줄눈이 많이 쓰이며, 외벽은 모르터에 방수제를 넣어 빗물이 스며들지 않게 하여 백화를 방지한다.
그림 8. 벽돌줄눈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11.18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25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