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우병 국외 발생상황과 국내 유입에 미치는 영향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광우병 국외 발생상황과 국내 유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광우병의 정의
(1) 광우병의 정의
(2) 광우병의 역사

2. 광우병의 발생
(1) 광우병의 발생원인
(2) 광우병의 주요 증상
(3) 광우병의 감염 경로
(4) 임상증상과 잠복기간
(5) 광우병의 진단과 치료
(6) BSE와 유사한 사람의 질병
(7) BSE와 CJD 그리고 vCJD의 차이점

3. 광우병 국외 발생상황과 국내 유입에 미치는 영향
(1) 유럽에서의 광우병 발생 상황
(2) 국내 유입 위험성 및 축산물 안전성
(3) 우리나라 발생 가능성
(4) 방역대책

4. 결론

본문내용

을 고려하여 유럽발생국의 축산물에 대한 수입금지 등 검역제도 강화와 함께 국내사육소에 대한 검색을 강화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쇠고기에 대하여는 소해면상뇌증과 관련하여 아무런 문제가 없으므로 안심하여도 된다고 생각한다.
 <표. 국내사육 소를 대상으로 한 광우병의 검색 현황 >
년도
검사두수
검사결과
1996
1,616
전두수 음성
1997
323
전두수 음성
1998
312
전두수 음성
1999
301
전두수 음성
2000
491
전두수 음성

3,043
음성
(3) 우리나라 발생 가능성
우리나라에서 광우병 발생이 가능한 경로는 두가지다.
첫째, 광우병이 발생한 유럽지역으로부터 쇠고기나 사료를 수입해 직접 먹거나, 소에 먹인 경우다. 하지만 해외로부터 광우병 유입 가능성은 현재로선 매우 적다. 우리나라의 경우 지난 93년부터 매년 국내수요량의 절반 정도를 수입하고 있지만, 미국·호주·캐나다·뉴질랜드 등 광우병 비발생국가에서 전량 수입해왔다. 또 소 사료용 골분이나 육골분 역시 지난 88년부터 수입됐지만 역시 미국·중국·페루·호주 등 모두 광우병 비발생국에서 수입했다. 최근 영국으로부터 수입된 것으로 알려진 골분은 사료용이 아니라 1000도 이상에서 가열해 도자기 제작에 쓰는 골회인 것으로 밝혀졌다.
두번째는 국내에서 독자적으로 광우병이 발생할 가능성이다.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음식물 쓰레기의 사료 사용은 바로 이 부분 때문에 부각됐던 것이다. 하지만 이를 통해서 광우병이 발생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김순재 건국대 수의대 교수는 “광우병이 발생하려면 병원체의 양이 충분해야 하는데 음식물 찌꺼기에는 극히 소량만 포함되어 있을 뿐”이라고 말했다. 또 음식물 찌꺼기가 문제가 된다면 광우병과 간접적으로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는 CJD발병이 대폭 늘어나야 하는데 국내에는 불과 40여명의 환자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전문가들은 국내에서 광우병이 발생할 수 있다면 80년대 중반 이후 영국에서 살면서 쇠고기 섭취를 많이 하다가 귀국한 사람들이 대상이 될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4) 방역대책
현재 우리나라에는 소해면상뇌증이 발생하고 있지 않으므로 국내에 이 질병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최선의 방역대책으로써 철저한 검역을 통하여 소해면상뇌증 발생국산 반추류 동물이나 그 생산물(우유 및 유제품, 원피 제외) 이 수입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국내에 소해면상뇌증으로 의심되는 임상증상의 발생시에는 방역기관에 즉시 신고하여 최단 시간내에 정밀진단이 이뤄져야 하며, 조기에 색출하여 박멸함으로써 양축농가 및 축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안전한 축산물을 국민에 공급하는데 방역의 초점이 맞추어져야 한다.
: 네덜란드, 덴마크, 독일, 룩셈부르크, 벨기에, 스페인, 아일랜드, 영국,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포르투갈, 프랑스, 그리스, 스웨덴, 핀란드, 알바니아, 보스니아, 불가리아, 크로아티아, 체코, 헝가리, 리히텐슈타인, 마케도니아, 노르웨이, 폴란드, 루마니아,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스위스, 유고슬라비아, 일본, 이스라엘, 캐나다, 미국
4. 결론
국내에서 광우병의 위험에 대한 경고가 제기되기 시작한 것은 영국에서 사람에게 광우병이 전염될 수 있다고 공식 발표한 1996년 무렵이다.
우리 나라에서 광우병이 발생할 가능한 경로는 두 가지다. 첫째, 광우병이 발생한 유럽지역으로부터 쇠고기나 사료를 수입해 직접 먹거나, 소에 먹인 경우다. 하지만 해외로부터 광우병 유입 가능성은 현재로선 매우 적다. 우리 나라의 경우 지난 93년부터 매년 국내수요량의 절반 정도를 수입하고 있지만, 미국, 호주, 캐나다, 뉴질랜드 등 광우병 비발생국가에서 전량 수입해 왔다.
또 소 사료용 골분이나 육골분 역시 지난 88년부터 수입됐지만 역시 미국, 중국, 페루, 호주 등 모두 광우병 비발생국에서 수입됐다. 최근 영국으로부터 수입된 것으로 알려진 골분은 사료용이 아니라 1000도 이상에서 가열해 도지기 제작에 쓰는 골회인 것으로 밝혀졌다. 두 번째는 국내에서 독자적으로 광우병이 발생할 가능성이다.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음식물 쓰레기의 사료 사용은 바로 이 부분 때문에 부각됐던 것이다. 하지만 이를 통해서 광우병이 발생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전문가들은 국내에서 광우병이 발생할 수 있다면 80년대 중반 이후 영국에서 살면서 쇠고기 섭취를 많이 하다가 귀국한 사람들이 대상이 될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96년 무렵부터 농림부에서는 도축되는 소의 뇌 조직을 채취하여 정밀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현재까지 총 3,043 마리의 소에 대하여 검사하였으나 광우병으로 의심되는 소견은 없었다고 발표하였다. 광우병의 기원으로 지목되는 양의 스크래피도 국내에서는 발생한 적이 없다.
한편 사람에 발생되는 크로이츠펠트-야콥병은 국립보건원 통계에 의하면 47명(97년 이전 21명, 98-2000년 26명)이 발생하였다. 사람의 광우병으로 인식되고 있는 변형크로이츠펠트-야콥병은 조직검사를 해야 확진되므로 환자의 가족이 검사를 동의하지 않으면 확인할 길이 없다. 따라서 현재는 vCJD 환자가 있는지 없는지 알 수 없다.
따라서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는 광우병이 여러 경로를 통하여 사람에게 전염될 위험성이 있다고 1996년 영국정부에서 발표하기 이전인 92년부터 이미 광우병관련 일련의 행정조치를 시작하였으며 (주요 조치내용은 광우병 관련 식품의약품안전성 등에 관한 발표문, 2001년 2월 8일 발표 참조), 현재까지 식품, 의약품, 화장품에 위험물질이 혼입되지 않도록 광우병 발생국에서 수입되는 소유래 원료물질에 대해서 철저한 행정조치를 취하고 있고, 제삼국을 통한 우회 유입가능성도 대비하여 행정체계를 보다 강화할 예정이다. 국민들이 광우병의 위험성에 대하여 막연한 공포심을 갖지 않도록 국내외 실상에 대하여 적절히 홍보하고 관련 전문가들로 구성된 대책회의기구도 구성할 예정이다. 이외에도 심포지움이나 학술세미나를 통한 학술적 저변을 확대함으로써 광우병에 관한 전문가를 양성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6.11.21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36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