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외]중학 과학 1-2학기 기말 02 해수의 성분과 운동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해수의 성분
2 해수의 운동

본문내용

류가 만나서 좋은 어장을 형성한다.
⑤밀물과 썰물도 난류와 한류로 구별할 수 있다.
[해파의 구조] ★★
다음 그림은 해파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A의 명칭은? ⑤
①마루②골③파고
④파도⑤파장
[해류가 미치는 영향] ★★★
다음 중 해류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②
①좋은 어장을 형성하기도 한다.
②고위도에서 저위도로 열을 전달한다.
③바다를 여행할 때 이동 경로로 이용되기도 한다.
④겨울철에 같은 위도의 동해가 황해보다 수온이 높다.
⑤난류가 흐르는 지역은 주변 바다보다 수온이 높다.
[해류] ★★
해류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①하루를 주기로 방향이 바뀐다.
②표층 해류는 주로 바람 때문에 생긴다.
③저위도에서 고위도로 흐르는 것이 난류이다.
④해류는 모든 바다에서 연중 일정한 방향으로 흐른다.
⑤난류가 흐르는 지역은 주변 바다보다 수온이 높다.
[조석] ★★★
하루 24시간 중 만조와 간조는 각각 몇 회 일어나는가? ④
①만조 1회, 간조 1회
②만조 1회, 간조 2회
③만조 2회, 간조 1회
④만조 2회, 간조 2회
⑤만조 3회, 간조 3회
※다음은 우리나라 근해를 흐르는 해류의 모습이다.(29~30)
[해류] ★★★
각 해류의 이름이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②
①A-북한 해류②B-동한 해류③C-황해 난류
④D-북한 난류⑤E-동안 해류
[해류] ★★
우리 나라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해류로서, 동한 난류와 황해 난류를 형성하는 근원이 되는 해류의 기호와 그 이름을 쓰시오. E, 쿠로시오 해류
※ 다음 그래프는 어느 해안에서 하루동안 해수면의 높이 변화를 측정하여 그린 것이다.(31~32)
[해수면의 높이 변화] ★★★
위 그래프와 관련된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②
①엘니뇨②조석③적조
④라니냐⑤산란
[조석 현상] ★★
조개를 주우러 개펄에 나가려고 한다. A~F 중 조개를 줍기에 알맞은 시기가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②
①A, C②A, D③A, F
④C, F⑤D, F
[해수의 대순환] ★

다음은 해수의 대순환에 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
①대기의 대순환과 비슷하다.
②해류는 기후에 영향을 미친다.
③남반구의 바다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순환한다.
④고위도에서 저위도로 흐르는 해류는 난류이다.
⑤저위도에서 남은 에너지를 고위도로 이동시킨다.
[해수의 대순환] ★★
다음 그림은 태평양에서 나타나는 해수의 순환을 나타낸 것이다. 다음 중 무역풍의 영향을 받아 흐르는 해류를 바르게 짝지은 것은? ④
①A, B②C, D③A, D
④B, C⑤D, A
[우리나라 근해 어장] ★★

다음 해류 중에서 우리나라 동해안 부근에서 좋은 어장을 형성하는 해류 두 가지를 바르게 짝지은 것은?
㉠ 황해난류 ㉡ 북한한류
㉢ 동한난류 ㉣ 쿠로시오난류
① ㉠, ㉡② ㉡, ㉢③ ㉢, ㉣
④ ㉠, ㉣⑤ ㉡, ㉣
[해수의 순환] ★★
해수의 순환을 일으키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바람
[해류] ★★★
다음 그림은 우리나라 부근을 흐르는 해류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③
① 가와 다는 산소와 영양분이 많아 녹색을 띤다.
② 나는 영양 염류가 거의 없어 검푸른색을 띤다.
③ 해류는 저위도 지방에서 고위도 지방으로 열을 이동시킨다.
④ 가 해류가 흐르는 지역에는 좋은 어장이 형성된다.
⑤ 같은 위도일 때 서해안 지역이 동해안 지역보다 따뜻한 겨울을 보낸다.
[밀물과 썰물]
다음 <보기>는 밀물과 썰물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다.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①
㉠ 조류는 달의 인력에 의해 생긴다.
㉡ 바닷물은 하루에 2번씩 해안으로 밀려왔다 밀려 나간다.
㉢ 조석에 의해 나타나는 바닷물의 흐름을 해류라 한다.
㉣ 바닷가 저지대에서 침수 피해는 썰물 때 주로 입는다.
① ㉠, ㉡② ㉠, ㉢③ ㉢, ㉣
④ ㉠, ㉡, ㉢⑤ ㉠, ㉡, ㉣
[해류의 원인] ★★★
해류가 나타나는 가장 큰 원인은? ①
① 바람② 온도 차③ 달의 인력
④ 위도 차⑤ 물의 깊이 차
※ 다음 그래프는 인천 앞바다에서 하루 동안 측정한 해수면의 높이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40~41)
[해수면의 높이 변화] ★★★
위 그래프에서의 조석 주기는? ②
①②③
④⑤
[해수면의 높이 변화]
위 그래프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⑤
① 오전 9시경에는 만조가 되었다.
② 정오 무렵에는 썰물이 나타났다.
③ 이 지역에서 간만의 차는 대략 6m이다.
④ 하루 동안 만조와 간조는 대략 2차례씩 일어난다.
⑤ 조개를 줍기에 가장 적당한 때는 B이다.
[사리] ★★★
사리가 나타날 때 달의 모양을 바르게 짝지은 것은? ④
① 초승달, 상현달 ② 상현달, 보름달
③상현달, 하현달④보름달, 그믐달
⑤초승달, 그믐달
[조석 현상]
조석 현상이 일어나는 원인을 모두 고르면?(2 가지) ③, ④
①난류와 한류②바닷물의 밀도 차이
③달의 인력④태양의 인력
⑤바닷물의 육지의 마찰
[사리] ★★★
다음 그림은 지구의 둘레를 공전하는 달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사리가 되는 달의 위치를 바르게 짝지은 것은? ①
①A와 C②A와 D③B와 C
④B와 D⑤C와 D
[사리] ★★★
다음은 인천 바다에서 한 달 동안 측정한 해수면과 높이 변화를 그래프로 나타내 것이다. 사리가 일어날 때의 기호로 바른 것은? ④
①(가), (다)②(가), (라)③(나), (다)
④(나), (라)⑤ (다), (라)
[조석 현상] ★★
다음 그림은 태양과 지구의 달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해수면의 높이 차이가 가장 큰 사리일 때 달의 위치를 모두 고른 것은? ①
①A, C②A, D③B, D
④B, C⑤A, B
[조력 발전소] ★★★
서해안이 우리나라에서 조력 발전소를 세우기에 가장 적당한 곳이라고 한다. 그 이유는 무엇 때문인가? ⑤
①난류가 흐르므로②염분이 낮으므로
③해류가 강하므로④바다가 얕으므로
⑤조차(간만의 차)가 크므로
[조금]

조금이 일어날 때의 달의 모양을 옳게 짝지은 것은?
[사리] ★★★
다음 그림은 지구의 둘레를 공전하는 달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중에서 사리가 일어날 때의 달의 위치를 옳게 짝지은 것은? ②
① A, B② A, C③ A, D
④ B, D⑤ C, D

키워드

한류,   난류,   바닷물,   평균,   염분,   증발량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6.11.24
  • 저작시기200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41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