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후 환자간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수술후 환자간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수술후 환자의 상태이해와 간호

수술후 합병증과 예방

수술후 상처간호

본문내용

침상발 부위상승, 항색전 스타킹 사용이 도움이 된다.
치료-안정, 산소공급, 항응고 요법,혈전성 인자제거가 포함된다.
○폐부종
원인은 심부전, 과다한 수액공급으로 발생되는데 분홍색 객담, 저산소증으로 인해 빈맥, 호흡곤란과 수포음이 들린다.
치료-digitalization, 이뇨제, 상체상승체위 ,산송공급, 사지의 윤번지혈대를 사용할 수 있다.
2.심혈관합병증
○혈전증(thrombosis)
혈전증이란 정맥에 혈괴가 형성된 것을 말한다.혈전의 일부분이 떨어져 나와 혈류를 따라 다른 장기로 이동되는 것을 ‘색전‘이라 부른다. 혈전이 심장으로 이동되면, 관상동맥 폐쇄, 심근경색의 원인이 되고, 혈전이 폐로 이동되면 폐색전증이 된다.
○혈전성 정맥염
혈전으로 인한 정맥폐쇄로 통증, 종창, 압통이 있고 염증반응이 동반되는 것을 말한다. 정맥혈전증은 혈전으로 인한 정맥 폐쇄가 있지만 염증이 동반 되지 않은 상태를 말하며, 증상증후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원인-응고력 증가, 정맥벽 손상, 혈액정체이다.
예방-수술 후 정맥 혈류를 촉진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항응고제, 섬유소용해제를 투여한다.
하지를 15도 정도 상승 ,간헐적 압박기구 및 탄력성 붕대를 사용, 금기증이 없을때는 다리와 발의 굴곡, 신전, 회전 ,조기기동을 한다. 폐색된 사지를 조심스럽게 간호한다. (형성된 혈전이 다른 곳으로 이동하는 것을 피하기 위함이다.
3.쇼크
쇼크는 신체 일부분에 혈액 관류가 부적당한 상태이므로 조속히 치료하지 않으면 사망 할수도 있다.
쇼크는 저혈량성, 심인성, 신경성, 외상성, 혈관성, 세균성쇼크로 구분 할수있다.
4.출혈
원인-절개부위의 봉합과 지혈이 미숙할 때, 수술전 영양상태가 불량할 때 올 수 있다, 출혈이 심하면 저혈량 쇼크, 부정맥, 핍뇨가 나타나고 상망까지 할수 있다.
예방-수술 전에 좋은 영양상태유지, 혈액형 교차검사, 가족적 출혈경향을 확인하교 정맥으로 충분한 수액을 공급하며, 수술부위가 잘봉합되고 지혈되어야 한다.
5.감염 및 상처 파열
○상처감염
원인-상주균과 피부, 모발에 있는 균에 의해 발생
예방-수술기구와 수술과정이 철저히 멸균원칙 지키는 것, 피부삭모와 청결,관정이나 하제를 이용하여 위장을 완전히 비우는 것, 수술전 부터 항생제 투여가능하다.
○상처파열
원인-수술부위가 완전히 아물기전에 심한 긴장이 있을때 주로 복부수술5~10일결에 심한 구토, 기침, 재채기를 할때 나타난다.
증상-구토, 비정상적인 장액혈액성 삼출물배출, 갑작스런 잡아당기는 듯한 통증, 상처외형의 변화가 나타난다.
예방-영양부족, 특히 비타민결핍증,비만, 빈혈을 수술전에 치료하고,감기와 같은 질병이 있으며 가능한 수술을 연기하며, 수술중에 철저한 무균법을 지킨다.
치료-응급으로 외과의 부르고, 비위관삽입을 준비, 금식시키고 환자를 안심시킨다. 무균적이고 젖은 식염수dressing을 상처위에 덮는다. 의사지시에 따라 약물투여, 재봉합을 위해 수술실에 들어갈 준비.
○요로감염
○요정체
원인-방광 및 인접부위의 수술에서 신경 손상, 방광경부주위의 부종, 통증과 불안으로 인한 방광괄약근경련, 마취방법과 마취제, 수술스트레스로 인해 과다분비된 ADH,알도스테론, 카테콜라민로 인해 발생된다.
치료- 뇨배설량이 시간당30㎖ 이하인지 확인하고 배뇨를 촉진시키기위해 조기기동, 앉은 배뇨자세를 취하거나, 배뇨할 때 수돗물이 흐르는 소리를 듣게 하거나 회음부에 따뜻한 물을 부어주거나 회음부의 열 적용, 또는 하복부에 더움물 주머니 적용, 심리적 이완법으로 안정을 준다.
○유치도뇨관삽입
요로감염을 예방하기위해 철저한 무균술을 지키고, 가능한 유치도뇨관 삽입기관이 짧고 밀폐체계를 유지하며, 도뇨관 세척으로 도뇨관 폐쇄를 방지해야 한다.
6.마비성장페색,구토,메스꺼움
○마비성장폐색
장의 연동운동이 없거나 저하된 상태를 말함
원인-마취와 수술에 대한 스트레스반응, 복부장기조작, 전해질 불균형,마취제와 진통제 투여,상처감염,부종이다.
증상-장음 감소, 복부팽만, 포만감, 메스꺼움, 구토가 나타난다.
예방-장음이 회복될때까지 금식 ,조기기동,장 연동운동이 정상으로 회복될때까지 비위한 또는 직장관을 삽입한다.
○메스꺼움,구토
원인-투약,위장팽만,복부장기 조작, 통증, 쇼크, 전해질 불균형, 심리적요인의 복합적 요인으로 발생
예방-연동운동이 돌아올 때까지 금식, 위장관삽입, 가스가 배출되어 구강섭취가 가능하면 유동식으로시작하여 점차 정상식이로 바꾸며,통증, 공포,불안을 감소시킨다.
진토제를 투여한다.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6.12.16
  • 저작시기2006.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30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