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신라의 정치, 사회, 문화제도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통일신라의 정치, 사회, 문화제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통일신라시대의 행정
1. 통일 신라의 중앙 정치
1) 왕권의 강화
2) 중앙 정치 조직
3) 그밖에 기타 중앙 통치
2. 통일신라의 지방행정
1) 9주 5소경의 지방 구역
2) 상수리 제도
3. 통일 신라의 제도
1) 군사제도
2) 토지제도
3) 조세제도

Ⅱ. 통일신라시대의 사회
1.골품제도
2.생활상
3.통일신라의 사상

Ⅲ. 통일신라시대의 문화
1.통일신라미술
1) 건 축
2) 조 각
3) 공 예
4) 기 와 와 벽 돌
5) 토 기
2. 통일신라시대의 학문
3.통일신라시대의 불교문화
1) 불교의 융성
2) 교종의 성립
3) 고승
4) 선종의 성행
5)원효와 불교의 대중화
6)통일신라의 불상
7)통일 신라의 불교 미술
4. 통일신라시대의 의식주 문화
1)통일신라의 의생활 문화
2)통일신라 시대의 식생활 문화
3)통일신라시대의 주거 생활 문화.

본문내용

화를 알 수 있게 했다.
3)통일신라시대의 주거 생활 문화
통일 신라의 궁궐과 가옥은 남아 있는 것이 거의 없다. 삼국사기는 신라의 거주환경에 대해 아주 자세하게 언급하고 있어서 이 물음에 대한 답을 아주 구체적으로 얻어낼 수 있다. 신라인들의 집은 계급에 따라서 큰 차이를 보였다.
삼국사기의 이병도 번역본을 보면 그 계급에 따라서 아래와 같이 계층을 두어 가옥구조나 방의 구조 병풍의 장식에 대해 다음과 같이 구체적인 차이가 있었다고 한다.
[진골의 방은 길이와 너비가 24자를 넘지 못하며, 중국 기와를 덮지 않고, 날아갈 듯이 높이 들린 처마(비첨)를 하지 않으며, 조각한 懸魚(현어: 고기 모양을 만들어 매다는 것)를 달지 않으며, 금은놋쇠돌과 5색으로 장식하지 않는다. 계단돌을 갈아 만들지 않고, 3중 돌층계를 하지 않으며, 담장에는 보나 기둥을 설치하지 않고 석회를 바르지 않는다. 문에 치는 발의 가장자리(簾緣: 염연)는 금계수야초라와 같은 장식을 할 수 없으며, 병풍에 수놓는 것을 금하고, 상은 玳瑁(대모: 바다거북의 등껍질)나 沈香(침향)으로 장식하지 않는다.]
[6두품의 방은 길이와 너비가 21자를 넘지 못하며, 중국기와를 덮지 않고, 높이 날아갈 듯 들린 처마와 겹들보기둥 위의 架設方木(가설방목)과 현어를 설치하지 않으며, 금은놋쇠돌백랍과 5색 무늬로 장식하지 않는다. 중간계단과 2중 계단을 만들지 않고, 계단석은 갈지 않으며, 담장은 8자를 넘지 못하고, 또 그 보와 기둥을 설하지 않으며, 석회를 바르지 않는다. 발의 가장자리는 계수릉의 사용을 금하고, 병풍은 수놓은 것을 금하며, 상은 玳瑁(대모)나 紫檀(자단: 콩과의 낙엽교목으로 재목이 붉은 빛을 띠고 고와서 가구 건축 따위에 소중하게 쓰였음)沈香(침향)黃楊木(황양목)으로 장식하지 못하고, 또 비단자리를 금한다. 중문과 사방문을 설치하지 않고, 마구는 다섯 필을 둘 만하게 한다.]
[5두품의 방은 길이와 너비가 18자를 넘지 못하며 山楡木(산유목)을 쓰지 않고, 중국기와를 덮지 않는다. 수두(지붕 위에 얹어 놓는 동물모양 조각품)을 만들어 놓지 않으며, 비첨겹들보 회두아(기둥 위에 가설방목)현어를 하지 않고, 금은놋쇠 돌구리납과 5색 무늬로 장식하지 않는다. 계단석을 갈지 않고, 담장은 높이 7자를 넘지 못하며 보를 가설하지 않고, 석회를 바르지 않는다. 염연은 금계릉견시를 금하고, 큰문과 사방문을 내지 않으며, 마구는 3필을 둘 만하게 한다.]
[4두품에서 백성에 이르기까지는 방의 길이와 너비는 15자를 넘지 못하며, 山楡木(산유목)을 쓰지 않고, 조정(수초를 그린 천정)을 하지 않으며, 중국 기와를 덮지 않고, 수두비첨공아현어를 만들지 않으며, 금은놋쇠돌구리납으로 장식하지 않는다. 섬돌은 山石(산석)을 쓰지 않고, 담장은 6자를 넘지 못하며, 또 (잠의) 보를 가설하지 않고, 석회로 바르지 않는다. 큰문과 사방문을 만들지 않고, 마구는 2필을 둘 만하게 한다.]
[지방의 眞村主(진촌주)는 5두품과 같고, 次村主(차촌주)는 4두품과 같다.](삼국사기)
신라 초기에는 이러한 계급간의 차이가 구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었다고 보기는 어렵고, 삼국통일을 전후하여 계층간 구별이 구체화되었다고 생각된다. 방의 넓이나 담장의 높이 지붕과 처마, 방의 장식, 계단의 구조에 차이를 두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단층으로 축조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던 한옥의 구조로 볼 때 이러한 차이야 말로 가옥의 규모와 마당으로부터의 마루까지의 높이 등이 절로 규정되어 계급 사이에 확연한 구별이 가능해졌을 것이다.
"삼국사기"옥사조에 이 시대의 옥사에 대하여 비교적 자세히
기술되어 이것을 연구하므로써 주택의 규모, 사용된 건축장식 및 구조 등을 추정 할 수 있다. 기록에 있듯이 왕경에서는 집들이 매우 화려하여 기와집이 즐비하였으며 숯으로 밥을 지었고 가무소리가 그치지 않았다 하였고 지나친 사치를 막기 위하여 계급별로 규제를 하였다. 이 내용으로 보아 당시의 주택들이 얼마나 화려했는지 가히 짐작된다. 그러나 이것은 왕경도심의 형편이었을 뿐 시골의 경우는 달랐을 것이다.
Ⅳ. 결론 및 소감
우리는 통일신라의 행정에 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통일 신라의 행정이념이나 다름없는
전제정치, 왕권강화에 대해 알아보고 그를 이루기 위한 여러 가지 정책을 알아보았다. 중앙과 지방의 행정구역과 행정조직의 편성에 대해 알아보았고, 군사적면에서 행정적으로 가지는 의미와 여러 정책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토지제도와 조세제도를 통해서 통일신라가 정책을 어떤식으로 운영하고 전파했는지도 알 수 있었다. 통일 신라 시대에는 민정 문서라는 촌락 문서를 통해 각 촌락에 대한 종합정보를 제공해 주고 있었다. 각 촌락에 거주하는 인구가 남녀별, 연령별로 세분되어 정리되어 있고 그 변동 모습까지도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또 여기에는 삼나무 밭, 뽕나무, 잣나무, 호두 나무 등 이 지역 특산물을 촌락 공동으로 경작하였음을 말 해준다. 이 민정문서는 단순히 통일 신라 시대 농민의 생활 모습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국가가 농민에게서 조세와 역과 공물을 효율적으로 징수하기 위해 국민을 파악하는 체계적인 틀을 갖추었다는 행정적 의미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이번 숙제를 통해 그동안 등한시 하고 있던 우리나라의 역사에 대해서 생각해보게 되었다.
고등학교 시절 공부했었던 통일신라!
그때는 외우는데 급급하였기에 통일신라의 이러한 체제의 뜻을 잘 이해하지 못하였고 현재와 빗대어 생각해 본적도 없었다.
이제와 생각해보니 우리가 지금 정비되어진 행정체계와 정치 조직 안에 생활 할 수 있는 것은 우리조상님들이 갖추어 놓으신 체계가 밑거름이 된 것 일 것이다.
아주 먼 옛날이지만 통일 신라는 엄연히 우리 땅에 존재한 우리 조상의 모습이다. 그들은 지금과 비교해도 결코 바래지 않을 행정적인 체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는 우리 행정과 그 이념에 큰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우리나라의 역사는 알면 알수록 깊이 들어가면 들어갈수록 감탄의 목소리가 나오지 않을 수 없는 것 같다. 우리는 역사를 통해 배울 수 있는 부분은 받아들이고 그렇지 않은 부분은 미리 예측하여 피해가는 지혜를 발휘해야 할 것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6.12.21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40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