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릴의 내용요소전시이론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메릴의 내용요소전시이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 절 내용요소전시이론의 개관
1. 이론적 맥락
1) 이론의 범위
2) 이론의 성격
2. 내용요소전시이론의 구성
1) 수행×내용 매트릭스
2) 제시형
3) 일관성

제 2 절 수행×내용 매트릭스
1. 수행범주
2. 내용범주
3. 수행×내용 분류
4. 학습목표의 설정

제 3 절 제시형
1. 일차제시형
1) 일반성과 사례
2) 설명식 자료제시와 질문(탐구)식 자료제시
2. 이차적 자료제시 형태(Secondary Presentation Forms)(이차제시형)
3. 과정전시(過程展示)
4. 절차전시(節次展示)

제 4 절 일관성(一貫性)
1. 수행-일차제시형 일관성
2. 내용-일차제시형 일관성
(1) 제시(提示)
1) 일반성의 제시(EG)
2) 사례의 제시(Eeg)
(2) 연습(演習)
1) 사례를 통한 연습(Ieg)
2) 일반성의 연습(IG)

제5절 적절성의 법칙
1. 적절성의 법칙 : 이차제시형의 활용
2. 적절성의 법칙 : 일차제시형간의 관계

제6절 내용요소전시이론의 타당성
1. 내용수준의 분류
2. 수행수준의 분류
3. 내용요소전시이론에 관한 경험적 연구결과

제 7 절 요약 및 결론

본문내용

있다.
⑼ 학습자 통제 : 기본적으로 학습자가 어느 정도의 사례를 공부할 것인지, 언제 도움을 받을 것인지 등 과 기타 다른 전략들에 관하여 결정을 내릴 수 있음을 뜻한다.
▶ 위와 같은 메릴의 학습자 통제에 관한 주장은 경험적 연구결과로 명백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학습이 결국은 학습자의 내적 사고과정을 통하여 완수된다는 점을 생각한다면 충분히 타당성 있는 주장이라고 생각한다.
<표4-5> 일차제시형간의 관계
수행의 기준
제 시
연 습
수 행
만약 교수목표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면
적절한 제시를 위하여 필요한 제시형간의 관계는
적절한 연습문항을 위하여 필요한 제시형간의 관계는
적절한 테스트문항을 위하여 필요한 제시형간의 관계는
발 견
다양성
난이도의 범위
다양성
난이도의 범위
활 용
다양성
난이도의 범위
짝짓기
소멸
다양성
난이도의 범위
짝짓기 없음
피이드백에서의 소멸
다양성
난이도의 범위
짝짓기 없음
도움 없음
기억(일반성)
기억(사례)
무작위순서
덩어리짓기
무작위순서
즉각재생
100%
무작위순서
즉각재생
100%
모든 수준
분리
학습자 통제
분리
학습자 통제
분리
학습자 통제
제6절 내용요소전시이론의 타당성
1. 내용수준의 분류
⑴ 내용요소전시이론은 내용을 그 수준에 따라 사실, 개념, 절차, 원리의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있다. 이러한 분류는 메릴에 의한 임의적인 것이 아니라 교과목의 특성에 관한 가정에 기초를 두어 이루어 진 것이다.
⑵ 조작의 유형
① 동일성조작 : 동일성 조작에서 한 영역의 사례들은 한 범위의 사례들과 1대 1대응관계에 있다. 이 때 영역과 범위는 자의적인 것으로써, 조작은 양방적인 것이 된다.
② 서술적 조작 : 서술적 조작의 경우에는 영역의 속성들이 범위의 개념을 형성한다. 이것은 개념과 개념의 관계를 규정짓는 도구가 된다. 서술적 조작을 사용함으로써 여러 개념들을 정의하고 사용 하는 것이 가능하여진다. 따라서 서술적 조작의 사용은 개념을 교과로써 성립시키는 강력한 요소 가 되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③ 생성적 조작 : 서술적 조작이 임의적으로 세계에 대하여 인간이 정의내린 하나의 발견(즉, 개념을 통한 임의적 해석이라고 한다면 생성적 조작은 관찰될 수 있는 어떤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과정 을 묘사하는 조작이다.
④ 순서적 조작: “이것을 처음에 하고 다음에는 저것을 한다“는 식으로 나타낼 수 있는데 영역안에 있 는 사례들의 공간시간적 순서가 중요시된다.
⑤ 인과적 조작 : 영역개념들의 사례들이 조합되거나 분리되어 범위의 새로운 개념 혹은 사건을 생성 해 낸다. 이때 원인이 되는 개념은 영역의 개념이고, 결과가 되는 개념은 범위이다.
⑶ 메릴은 사실, 개념, 절차, 원리의 네가지 내용 수준을 밝히고 있는데, 사실은 동일성 조작을 통한 구 성물로, 개념은 하위세트 조작과 교차적 조작을 포함하는 서술적 조작의 구성물로, 절차와 원리는 순 서적 조작과 인과적 조작을 포함하는 생성적 조작의 구성물로 생각되고 있다.
2. 수행수준의 분류
1) 연상적 기억
연상적 기억은 위계적인 네트워크의 구조로 되었다고 가정된다. 여기에는 문자그대로 저장과 기억, 통합된 방식으로서의 저장과 재생의 두가지 방식이 포함된다.
⑴ 문자그대로의 저장과 재생이란 학습자가 저장한 정보를 거의 같은 형태로 기억해 내는 것을 의미하 는데 이때는 구조의 변화가 거의 없다.
⑵ 두 번째 연상적 기억의 방식은 하위, 상위, 동위 관계들을 사용하여 정보를 저장재생하는 것으로써 이때 새로운 정보는 문자그대로 저장재생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정보에 대한 하위상위 또는 동 위의 정보로써 통합되어 저장재생된다.
2) 알고리즘 기억
연상적 기억과 대비되는 또 다른 형태의 기억구조는 알고리즘적 기억으로, 이는 보다 역동적인 기억구조로 풀이된다. 이 기억구조에서는 정보가 기존의 구조속에 통합되면서 수정되게 된다. 정보처리구조 혹은 스키마라는 형태로 이 기억구조가 설명되고 있는 것은 학습자가 새로운 정보를 자신의 기존 정보처리구조에 통합시키고 변형시키려고 하기 때문이다.
⑴ 통합적 방식: 새로운 정보가 기존의 스키마에 맞게 조절되어 저장된다. 저장된 정보가 기억될 때 학 습자는 최초의 정보 자체로써가 아니라 조절의 결과로서 정보를 상기해 내게된다.
⑵ 재조직방식의 기억구조
① 새로운 지식이 기존의 스키마에 맞지 않을 때 기존 스키마를 수정하여 새로운 스키마를 만들어 내 게 된다.
② 재조직의 과정에서 학습자는 우선 제공된 지식 혹은 현상을 분석하고 그들에서 관찰될 수 있는 유 사성, 상이성, 변화 등을 설명해 줄 수 있는 새로운 스키마를 창조해 낸다. 결과적으로 정보의 변 화란 하나의 스키마를 세우고 그것을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새로운 스키마를 창조해 내는 것이다.
3. 내용요소전시이론에 관한 경험적 연구결과
⑴ 일차제시형의 일관성에 대한 연구외에 일반성, 사례, 연습이 어떤 순서로 제시되는 것이 효과적인에
대한 많은 연구가 행하여졌다. 몇몇 연구는 일반성-사례-연습의 전형적인 제시순서가 가장 효과적이
라고 밝히고 있으나 활용의 수준에 관한 연구의 대분분이 순서의 차이에서는 학습의 효과가 구분되 지 않았다고 보고하고 있다.
⑵ 이차제시형의 여러 가지 형태에 관한 연구는 일차제시형의 일관성에 관한 연구에 비하여 그리 활발
하지는 않았으나 연구들의 대부분이 암기법, 도움, 피이드백 등의 이차제시형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 를 보고하고 있다.
⑶ 이론의 타당성에 대한 정확한 결론을 내리기 전에 더 많은 경험적 연구가 축적되어야 할 것으로 보
인다. 이때 경험적 연구는 보다 충실히 내용요소전시이론의 원리 및 전략을 반영하는 것이어야 하며 이론이 제시하는 변인외의 중점변인들은 적절히 통제된 상황하에서 실시되어야 한다.
제 7 절 요약 및 결론
지금까지 축적된 학습이론 및 연구들을 바탕으로 귀납적으로 개발된 메릴의 내용요소전시이론은 교수설계의 현장에서 직접 활용될 수 있는 통합적이고 다면적인 교수의 처방들을 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내용요소전시이론은 1)수행×내용의 분류체제, 2)일이차제시형의 구분, 3)수행×내용의 분류체제를 제시형에 연결시키는 처방적 전략들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7.01.09
  • 저작시기2006.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71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