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농업]세계각국 유기농업의 전개와 우리나라 친환경농업과 유통에의 교훈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II. 세계각국 친환경농업 생산 및 유통의 발전개요
1. 독일의 유기농업정책과 유통
2. 스위스의 유기농업과 생산 및 유통
3. 캐나다
4. 미국
5. 일본의 유기농업
6. 중국
7. 쿠바 유기농업의 성공
8. 국제유기농운동연맹(IFOAM)

Ⅲ. 우리나라 친환경농업의 현황
1. 친환경농산물 생산현황
2. 친환경농법
3. 친환경농산물의 종류 및 기준
4. 유기농산물
5. 전환기유기농산물
6. 무농약농산물
7. 저농약농산물

Ⅳ. 우리나라 친환경농업 정책에의 교훈
1. 자립 자조 협동정신의 유기농업 운동
2. 쿠바의 교훈: 남북한 유기농업 협력
3. 우려되는 사이비 친환경농업인

Ⅴ. 친환경농산물 유통 현황

Ⅵ. 요약 및 결론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정부 등이 친환경농산물의 우수성을 홍보하고 친환경농산물 먹기 운동 등 친환경농산물 소비촉진을 위한 캠페인을 전개할 필요가 있다.
친환경농산물의 소비확대를 위해서는 가격 경쟁에서 문제가 있겠지만 대량 소비처를 지속적으로 발굴하여 친환경농산물의 급식원료로 사용할 필요가 있다. 우선적으로 고려해 볼 수 있는 대량 소비처로는 정부 및 공공기관, 대기업, 학교 및 병원, 군부대 등이 될 것이다. 특히 초등학교 급식의 경우는 소비되는 물량뿐만 아니라 어린이들에게 친환경농산물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이들이 계속해서 친환경농산물의 수요자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앞으로 친환경농업인들은 유통시장의 불확실성을 불식시킬 수 있도록 그들이 안심하고 자신감을 갖고 생산활동을 할 수 있는 환경이 하루빨리 만들어져야 한다.
여섯째, 적극적인 정부의 정책지원이 요망된다. 정부의 적극적인 육성으로 친환경벼 재배면적이 큰 폭으로 늘고 있으나 일반벼에 비해 지원이 부족해 수매자금 등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 일반벼를 생산할 경우 정부와 농협의 수매를 통해 무이자 또는 연리 2% 수준의 벼 매입 특별자금이 지원되지만, 친환경농업 농가들은 정부에서 제공하는 연리4%의 친환경농산물 직거래 자금을 활용하고 있어 일반벼와 형평성에 어긋나는 데다 그나마 필요한 금액의 일부만 지원돼 수매자금 활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정부가 2005년 쌀 시장 개방을 앞두고 정부수매량을 점차 축소하는 대신 고품질쌀 생산을 장려하면서 민간 차원의 수매를 권장하는 시점에서 농업인 스스로 수매와 판매를 담당하고 있는 친환경재배 벼에 대한 지원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농가들은 자체 수매한 친환경벼의 창고보관료와 출하비 등을 대행기관에 별도로 지급하고 있어 친환경벼 생산이 실질적인 농가소득과는 연결되지 못하고 있다.
Ⅵ. 요약 및 결론
지금까지 친환경농산물의 유통량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거의 시장 외 유통으로 인해 품질의 차별화, 판로 부족 등으로 소비확대가 미미한 실정이다. 친환경농산물의 유통이 직거래를 위주로 한 유통이 주류를 이룸에 따라 소비확대를 위한 효율적인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친환경농업에 의한 농가가 늘어나고 있고 생산량도 꾸준히 증가추세에 있으나 유기농 재배는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친환경농법이 관행법에 비해 생산량은 적고 노동력은 많이 들지만 가격을 비교적 높게 받는 장점이 있고 점차 소비자의 선호도가 많아지는 추세이다. 이러한 친환경농업을 유지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정부차원에서 친환경자재들에 대한 지속적으로 효과검증을 밝히고 이에 대한 규격기준 설정이 이루어 져야 한다.
친환경농산물의 유통활성화를 위해 품질인증제도를 확고히 하고 적정의 민간인 증기관의 확대가 요망된다. 그리고 농산물의 생산과 유통의 규모화와 전문화를 통한 협력 체제를 갖추어서 소비자의요구에 충족하는 농산물과 그에 합당한 가격 경쟁력을 유도해야 한다.
또한 안정적인 판로 확보를 위해서 전문상설매장의 증설, 전자상거래의 적극적인 활용과 소비자에 대한 홍보강화와 정부의 정책적 지원을 통해서 친환경농업인들이 안심하고 생산에만 전념할 수 있게 한다면 국내외적으로 경쟁력 있는 친환경농업의 발전을 이룰 수 있게 될 것이다.
참 고 문 헌
구도완, "환경위기와 녹색국가",「환경정책」, 제10권 제1호, 한국환경정책학회, 2002. 3.
김박수, '신정부의 대외경제정책방향',『신정부의 경제개혁과제』(창립10주년 기념심포지엄자료집), 사단법인 서울사회경제연구소, 2003.
김성훈·권광식, 「자원 환경경제학」, 한국방송통신대 출판부, 2003.
김성훈·권광식, 「친환경농업과 생명·환경교육」, 한국방송통신대 출판부, 2003.
농림부, "친환경농법 쌀 재배 급증", 『환경농업』, 7호, 2002. 8.
농촌진흥청, "유기자연농법 활용자재의 특성 및 효과 검정", 1999.
농촌진흥청, "친환경 벼농사와 관행농업 비교", 2002. 12. 11.
박영규, "유기농 포도재배를 통한 지역 농업개발", 농협대학 최고경영자과정 논문집, 2001. 2.
박영학, "수도작 친환경농업에 있어서 오리 및 우렁이 농법 비교", 한국유기농업협회 상반기학술발표 및 심포지엄, 2002.
박종서, "친환경농산물 표시인증제도", 『환경농업』, 1호, 2002.1.
박현태·강창용·정은미, "친환경농산물의 유통 개선 방향", 농촌경제연구원, 1999.
손상목, "한국유기농업의 현황 및 향후 유기농업 교육과 연구", 『한국유기농업학회지』, 10권, 67, 2002.
윤주이, "친환경농산물의 생산 소비구조와 신뢰성 제고 방안", 한국유기농업학회, 2002 상반기 학술발표 및 심포지움, 2002. 6. 28.
이광하, "친환경농산물 인증제 개선 방향", 『농경과 원예』, 184호, 2002. 1.
이병서, "소비자의 농산물 품질인지 수준과 시사점", 『연구와 지도』, 43권, 농업진흥청, 2002.
이병욱, "친환경자재의 개발 및 발전방향", 『농경과 원예』, 186호, 2002. 3.
이성재·김남훈, "친환경농자재로서의 숯과 목초액 이용", 환경 친화적 유기농법의 정립과 발전과제 심포지움, 2001. 12.
이용화, "환경농업의 육성발전방향", 농협대학 최고경영자과정 논문집, 1999. 2.
이정기, "자연 환경농업의 활성화를 통한 농가소득 증대방안", 농협대학 최고경영자과정 논문집, 2001. 2.
農林水産省 食品流通局, 農林物資の規格化及び品質表示の適正化의に關する法律の一部を改正する法律について, 1999. 7日本經濟新聞, 1999. 1. 16日字
Manon Haccius, Organic Farming as a Strategy for Sustainable Agricultural Development(제3회 농업인의 날 기념 국제학술대회 발표자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98. 11.
Hanspeter Schmidt·Manon Haccius, EU Regulation 'Organic Farming"(A Legal and Agro-Ecological Commentary on the EU's Council Regulation(EEC) No. 2092.91), 1998
  • 가격3,3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07.01.17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91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