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 정책변화와 효과적인 학교연구의 발전과정에 관한 고찰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학교연구와 교육과정 정책
1. 교육과정 개정배경
2. 교육과정 정책의 변화
3. 제7차 교육과정의 적용 관점
4. 효과적인 학교연구의 특성

Ⅱ. 효과적인 학교연구의 발전과정
1. 효과적인 학교 연구의 태동
2. 1970년대의 효과적인 학교 연구
3. 1980년대의 효과적인 학교 연구
4. 최근의 효과적인 학교 연구

Ⅲ. 맺는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희를 즐기며, 예술을 비롯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즐길 수 있다(Harold Silver, 1994 : 162)는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이같은 Hedley Beare의 연구 결과를 Richard Slaughter도 20년 이 넘도록 체계적인 연구와 조사를 통해서 지지한다고 했다. 최근의 연구 경향은 효과적인 학교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학교 교육 현장에 적용하므로 국가적인 교육 개혁의 요청에 부응해가려는 실천적인 경향이 강화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일방적인 교육에서 탈피하여 교육 수요자가 만족하는 질 높은 교육을 제공하고자 한다.
Ⅲ. 맺는말
이상에서 살펴보았듯이 '효과적인 학교'에 대한 관심은 지난 1960년대와 1970년대의 시대적 상황에 따라 선진국을 중심으로 일어났다. 당시 대부분 선진국들의 연구 과제는 학교의 효과성과 그 준거를 설정하는 것이었다. 1970년대와 1980년대에 많은 선진국이 국가적인 정책의 일환으로 효과적인 학교 연구를 실현시켰다. 각국은 다소 다른 관심을 가지고 이론적 연구와 정책 방향을 결정하고 국가 발전적인 측면에서 교육을 개혁하기 위해서 연구를 발전시켜 왔다. 그러나 거의 대부분의 선진국들은 정치·경제의 상황이 매우 심각해져서 국가 경쟁력 회복과 사회 안정을 위한 정책을 실현하기 위해서 학교가 더욱 효과적으로 기여 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었다.
최근에는 연구자들과 교육 기관들이 시급히 요구되는 공적인 책임을 충족하기 위하여 학교를 더욱 효과적으로 만드는 방법을 찾으려 하고 있다. 그래서 학교 개선책 즉 교육 개혁, 교장의 수업 지도성, 교사의 교수 능력 제고, 시험과 평가의 방법 개선, 교사 재교육, 교육 과정의 변화, 교육 재정의 효율적 집행 등에 관해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서 나타나는 결과를 가지고 효과적인 학교의 측정 준거로 삼고 있다.
효과적인 학교에 대한 연구는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우리 나라에서도 꾸준히 효과적인 학교에 대한 연구가 적극적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것은 국가적인 위기를 지혜롭게 극복하며, 근본적으로 교육의 질적 향상이라는 과제를 달성하려는 것이다. 효과적인 학교 연구는 교육 개혁의 본질적 의도와 궤를 같이하고 있으므로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앞으로 우리 나라에서 효과적인 학교가 되기위해서 갖추어져야할 과정적인 요소들이 무엇인지를 밝혀내는 것도 매우 중요한 의의가 있다고 본다. 이러한 노력들을 통해서 우리 나라의 학교 교육의 질 향상과 모두가 만족하는 내용이 충실한 양질의 교육이 실현될 것이다.
참고문헌
강정삼(1996). "학교효과성 측정도구 개발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강정삼(1995). "학교 효과성 결정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교육학 연구, 33(3).
강태중(1995). "학교 효과 연구의 조망," 한국 교육학회 소식, 31(2).
김병성(1986). 효과적인 학교 학습풍토, 서울 : 교육과학사.
김재복·윤기옥 역(1993). 효과적인 학교와 효과적인 교사, 서울: 교육과학사.
성기선(1996). "인문계 고등학교 효과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이일용(1993). "효과적인 학교의 특성 및 학교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문제연구 소 논문집.
이응로(1993). "농촌 지역 효과적인 학교의 특성 분석," 한국 교원 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한대동(1991). "효과적인 학교에 대한 연구 동향," 교육문제 연구소 논문집, 제 7집, 서울: 경희대.
한국교육개발원(1996). '새 학교 구상' : 좋은 학교의 조건과 그 구현 방안 탐색, (RR96-16), 81-103.
한유경(1994). "효과적인 학교의 특징," 한국교육개발원, 교육개발, 총권87호, 72-76.
홍재호(1994). "교사문화와 효과적인 학교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______(1997). "효과적인 학교의 교사문화 특성,"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연구, 제13집.
Bidwell, C. E. & J. D. Kasarda(1980). "School District Organization and Student Achievement",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40, 401-430.
Brimer, M. A., et al.(1978). Sources of difference in school achievement, NFER Pub., England.
Brookover,W., et al.(1980). Measuring and attaining goals of education, Alexandria Vir. :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Brophy, J. E. and Good, T. L.(1974).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 Causes and consequences. New York : Holt, Rinehart and Winston.
Coleman, J. S. and Hoffer, T.(1987). Public and Private Schools : The Impact of Communities, New York : Basic Books.
Edmonds, R. R.(1979). "Effective Schools for the Urban Poor", Educational Leadership, vol. 37, No. 1, 15-27.
Hanushek, E. A. and Kain, J. F.(1972). "On the Value of 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as a Guide to Public Policy", Mosteller and Moynihan (eds.), On 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New York:Vantage Books.
Silver, H.(1994). Good Schools, Bad Schools, British Library Catagloguing-in-Publication Data.
  • 가격2,8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7.02.08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31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