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영화 속 PPL에 관한 연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 영화 속 PPL에 관한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I. 연구 주제
1. PPL의 개념정의
2. 연구 주제

Ⅱ. 연구목적 및 방법
1. 연구 목적
2. 연구 가설
3. 연구방법
4. 내용분석

Ⅲ. 결론
1. 연구결과
2. 제한 및 제언

본문내용

제품이나 브랜드명에 대한 상표회상도 수치
② 오일뱅크~사각사각: 조연이나 배경과 함께 배치된 제품이나 브랜드명에 대한
상표회상도 수치
<비보조상기(unaided recall)와 보조상기(aided recall)에 따른 상품 회상도 비교>
설문지 문항1에서는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아무것도 없는 빈칸에 기억하는 브랜드명이나 상품명을 주관식으로 기입(비보조상기)하게 한다. 문항2에서는 약20개 정도의 상품명이나 브랜드명을 보기로 놓은 상태에서 영화 속에 PPL로 등장한 것을 체크(보조상기) 하도록 한다. 문항2의 보기는 영화 속에 배치된 PPL과 배치되지 않은 것을 1:1로 비율로 정한다.
1) 쉬리
비보조상기 < 보조상기
비보조상기의 경우, 평균 2.0에 조금 못 미치는 반면, 보조상기의 경우 2.3이 넘는다. 따라서 연구 대상자들은 전혀 힌트가 없는 상태(비보조상기)에서 보다는 특정힌트가 있는 상태(보조상기)에서 PPL에 대한 회상도가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싱글즈
비보조상기 < 보조상기
비보조상기의 경우, 평균 2.0정도가 되는 반면, 보조상기의 경우 2.8에 조금 못 미친다.
따라서 연구 대상자들은 전혀 힌트가 없는 상태(비보조상기)에서 보다는 특정힌트가 있는
상태(보조상기)에서 PPL에 대한 회상도가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 주유소 습격사건
비보조상기 < 보조상기
비보조상기의 경우, 평균 2.8정도가 되는 반면 보조상기 경우 약3.9정도가 된다. 따라서 연구 대상자들은 전혀 힌트가 없는 상태(비보조상기)에서 보다는 특정힌트가 있는 상태(보조상기)에서 PPL에 대한 회상도가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Ⅲ 결론
1. 연구결과
우선 주연과 조연에 따른 상품배치와 회상도가 큰 관련이 없었다. 쉬리의 경우는 주연과 함께 배치된 PPL의 회상도가 높았지만 싱글즈와 주유소 습격사건의 경우 조연이나 배경과 함께 배치된 PPL를 더 잘 기억했기 때문이다. 왜 쉬리의 경우만 주연과 등장한 PPL을 더욱 잘 기억하는지 여부를 분석해본 결과 몇 가지 요인이 작용했다고 생각된다. 우선 쉬리에 주연과 등장한 제품은 오랜 시간 노출되었고, 조연과 등장한 제품은 상대적으로 적은 시간 노출되었다. 쉬리의 나이키는 1초정도의 시간으로 비추어졌고, 마르쉐라는 패밀리 레스토랑 역시 특정 상표나 언급이 있었던 것이 아니라 단순히 주인공들이 저녁식사를 하는 공간으로 등장했을 뿐이다. 반면, 주유소 습격사건의 펩시콜라나 오일뱅크, 싱글즈의 프라다 등은 오랜시간동안 반복적으로 노출되거나 주인공에 의해서 언급 되서 화면에 클로즈업 되었다. 따라서 쉬리의 경우 주연에 대한 회상도가 높은 것은 영상물 편집에 있어서의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즉, 상품의 노출시간과 빈도에 따라서 회상도의 차이가 있을 뿐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 선택한 영화의 장르별 PPL효과 역시 특정한 차이나 공통점을 발견할 수 없었다. 이것은 각 장르를 대표할 만한 정확한 근거에 따라서 선택된 영화가 아니라 연구의 편의성을 위해서 연구자들의 소수 의견을 토대로 영화가 결정되었기 때문이다. 즉, 쉬리나 싱글즈, 주유소 습격사건이 각 장르의 영화 특성을 전부 포함할 수 없기 때문에 일반화시키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마지막으로 선호도는 상품회상도와 큰 관련이 없다는 결론이다. 평소에 자기가 좋아한 제품이나 브랜드가 등장한다고 해도 영화의 줄거리에 집중하고 있기 때문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는 경우가 아니라면, 기억하지 못한다. 사람들은 PPL이 아닌 영화 관람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가 나오는 것이다.
2. 제한 및 제언
이번 연구에서 세운 가설은 모두 결과와 일치하지 않았다. 가설을 선정함에 있어서 좀 더 기존 연구문원 등을 찾아보는 노력이 부족했던 것 같다. 또한 연구가 강원대학교 20~26세 재학생 143명으로 연령대도 한정되어 있고, 무엇보다 설문의 대상자들의 수가 부족했고 범위가 좁았다고 여겨진다. 영상물을 편집하는 과정에 있어서도 단순히 PPL이 등장한 장면을 주연과 조연 비율을 맞추어서 편집하는 것이 아니라, 노출시간이나 횟수까지도 고려했어야 하는데, 시간과 노력을 더 들이지 못한 점이 아쉽다. 그리고 영화를 장르별로 나눌 경우, 일반사람들에게 각 장르별 영화에 대한 설문작업이 선행조사로 이루어 졌다면 영화가 좀 더 대표성을 가질 수 있었다고 생각된다. 덧붙여 장르별 영화를 똑같은 그룹에 보여주고 실험, 분석하는 방향에 대한 토의가 있었으면 조금 더 의미 있는 결과가 나왔을 것이라고 여겨진다.

키워드

ppl,   광고,   간접광고,   브랜드,   영화,   드라마,   회상도,   spss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7.02.27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68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