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발달]피아제(Piaget)이론과 아동의 교육적 시사점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피아제(Piaget)의 생애

Ⅲ. 인지발달의 과정과 주요개념
1. 인지발달의 과정
2. 동화와 조절
3. 도식 또는 구조

Ⅳ. Piaget의 인지발달단계
1. 감각운동기(The period of sensori-motor)
2. 전조작적 사고기(The Period of Pre-operational Thoght)
3. 구체적 조작기(The Period of Concre Operation)
4. 형식적 조작기(The Period of Formal Operation)

Ⅴ. Piaget 이론에 대한 평가
1. Piaget 이론의 장점
2. Piaget 이론의 문제점
3. Piaget의 도덕성 발달 이론
1) 전도덕적 기간
2) 도덕적 사실주의 혹은 타율적 도덕성의 단계
3) 도덕적 상대주의 혹은 자율적 도덕성의 단계
4. Piaget의 공헌

Ⅵ.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 종종 적발되지 않고 처벌받지 않게 된다는 것을 학습해왔기 때문이다.
Piaget에 의하면 인지적 성숙과 사회적 경험 모두 타율적 도덕성에서 자율적 도덕성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전환에서 요구되는 인지적 발전은 자기 중심성에서의 일반적인 감소와 도덕적 사태들을 여러 관점에서 조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 주는 역할 수용 능력의 발달을 의미한다. Piaget가 중요하게 고려했던 사회적 경험의 유형은 동등한 지위에서 또래들과 접촉하는 것이다. 아동들이 또래 집단에서 같이 협동하여 놀거나 혹은 기타 집단의 목표들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서로 이익이 되는 방식으로 그들간의 불화를 해결하고 상대방의 관점들을 수용하는 것을 배워야만 한다. 따라서 또래들과의 동등한 지위에서의 접촉은 보다 더 융통성 있고 자율적인 도덕성에 이르도록 만들게 될 가능성이 많다. 왜냐하면, 그러한 접촉은 성인의 권위에 대한 아동들의 경외심을 죽이고, 자기 존중감과 또래를 존중하는 마음을 증가시키며, 집단을 이루고 잇는 구성원의 동의에 따라 바뀔 수 있는 동의가 규칙적임을 예증해 주기 때문이다.
Piaget는 부모들이 자신들이 행사하던 어느 정도의 영향력을 포기하지 않는다면, 규칙들 및 권위있는 인물들에 대한 아동의 존중심을 강화해 주게 됨으로써, 도덕 발달을 더디게 만들 수 있다고 하였다.
4. Piaget의 공헌
Piaget가 인간 발달에 기여한 공헌을 다음과 같이 간략히 정리하였다.
첫째, Piaget는 인지 발달 분야를 확립하였다. 아동의 사고에 대한 관심을 통해 이 분야가 단지 성인의 사고에서 나온 개념과 방법을 아동에게 적용하는 것이 아닌 '발달적' 접근이 될 수 있도록 이끌었다. 둘째, Piaget는 아동이 자신의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호기심 많은 능동적인 탐색가임을 확신시켰다.
셋째, Piaget의 이론은 발달 과정을 서술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려는 시도이다.
넷째, 지적 발달의 광범위한 단계에 대한 Piaget의 서술은 아동이 어떻게 사고하는 가에 대한 정확한 견해를 제공해 준다. 다섯째, Piaget의 개념은 교육가에게도 실용적인 시사점을 제공했을 뿐만 아니라, 사회, 정서적 발달에 주요한 영향을 주었다.
여섯째, Piaget는 중요한 질문을 함으로써 많은 연구가들에게 인지 발달에 대한 연구를 하도록 이끌었다.
Ⅵ. 결 론
Piaget는 원래 生物學을 전공하였고 心理學者로서 여러 학문분야를 내적 통합해서 발생적 인식론 (Genetic Epistemology)이란 새로운 학문영역을 開拓했다.
발생인식론의 기초적인 연구는 心理學이란 生物學과 認識論을 연결시킨 것이란 결론을 내렸으며 Piaget 심리학은 원래 철학적인 認識問題에서 출발하였기 때문에 여기에서 論理와 心理의 관련 문제로 아동의 인지발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중요하다. 다시 말해서 학문의 논리적 구조가 어떻게 아동의 心理的過程에서 形成·發達되는가를 다륑다. 論理와 心理의 관련문제를 서로 관련은 있지만 서로 어느 한쪽으로 환원될 수 없음을 認識하고 그 사이에 操作(Operation)이라는 槪念을 도입하여 論理와 心理를 관계 지우려고 한다.
여기에서 認知發達을 이해하기 위한 핵심적 idea가 操作인데 조작이란 가역성(Reversibility)과 內面化된 可能性을 가지고 있는 知的活動을 가르키며 이 조작은 서로 결합되어 統合된 構造라 하였다. Piaget는 지적발달 단계를 4단계로 구분하였는데 여기에서는 幼兒敎育을 받을 수 있는 단계인 前操作期의 특징을 살펴보면 言語發達, 자기중심성(Ego-centrism), 非可逆性(Irreversibility), 관점제한성(Center -ing), 정지된 상태와 변형(State and transformation), 保存性의 문제 등이 있다. 이러한 바탕위에 幼兒敎育에 대한 示唆點을 살펴보면 교육이란 유아의 발달단계를 촉진하기 위한 것이어서는 안되며 아동은 전체적인 認知構造를 발달시켜 아동이 어떤 모형에서도 그의 인지적 구조를 적용시켜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게 하는 것이 진정한 意味의 Piaget 이론에 교육이다. 그리고 우리가 간과해서는 안될 문제는 도처에 Piaget 이론에 바탕을 둔 幼兒敎育過程이 많이 있지만 대부분의 敎育者들은 Piaget에 대한 지식이나 이해 없이 兒童敎育에 적용시키고 있다. 이에 우리 나라에서도 갑작스런 幼兒敎育 장려책으로 많은 유아원이 증대되고 있는데 유아원 교사들은 대부분 경험으로 인해 교육시키고 있지 유아교육에 대한 어떤 理論的 체계가 없다. 따라서 교사의 질적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이론적인 체계하에 유아교육의 目的, 內容, 方法을 잘 알고 있을 때 교사들의 創意力도 발휘되어 아동을 지도하게 될 것이다.
참고문헌
교육의 심리학적 이해, 이윤상, 오윤성 공저, 다락방 서원, 2000
교육심리학의 이해, 신명희 외 공저, 학지사, 2002
김옥련, 「아동교육사」, 정민사, 1984
김재은, 「교사를 위한 삐아제 입문(상, 하권)」, 배영사, 1975
김호권 外, 「현대교육 평가론」, 교육출판사, 1978
백욱현, 「아동교육에 있어서 삐파제이론의 적용 가능성과 문제점」, 충남대 교육발전 논집, 1990
서봉연, 송명자 공역, 「인지발달」, 중앙적성출판사, 1983
유안진, 김혜선, 「삐아제와 유아교육」, 형설출판사, 1990
이기숙, 「유아교육과정」, 교문사, 1982
이성진 外, 「교육과 심리」, 방송대 출판부, 1998
장상호, 「피아제 발생적 인식효과 교육」, 교육과학사, 1991
전윤식, 이영석 공저, 「삐아제와 유아교육」형설출판사, 1990
Barry J. Wordsworth 저/ 성옥련, 김수정, 이지연 공역, 「삐아제의 인지적, 정의적 발달」, 1998
김은정, 「피아제의 인지 발달론과 음악 교육과의 관계연구」, 계명대 석사논문, 1993
손영신, 「피아제 이론의 유아 교육에 대한 시사점과 한계」, 전남대 석사논문, 1981
이정주, 「피아제의 인지발달론이 음악교육에 주는 시사점에 관한 고찰」, 단국대 석사논문, 1984
Neill J. Salkind, 「인간발달의 이론」, 정옥분 역, 교육과학사, 1991
  • 가격2,7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7.03.01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72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