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외과 케이스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경외과 케이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일반적 사항

Ⅱ. 간호사정

Ⅲ. 현재 건강력 사정

Ⅴ. 진단검사

Ⅵ. 투약

Ⅶ. 병태생리

Ⅷ. 간호과정

Ⅸ. 느낀점.

Ⅹ. Reference

본문내용

heter keep
3. 2006년 5월 2일부터
V-P Shunt keep.
4. 2006년 3월, 9월에
Craniectomy in right left
trontotemporoparietal
5. 11월 28일부터
E-tube keep.
6. 11월 28일부터
Rt. subclavian central cath.
keep.
7. WBC의 상승.
결과
참고치
12/1
12/2
12/3
10.31
12.85
13.57
4.0~10.0
8. 체온의 상승.
날짜
시간
T
(℃)
12/1
8:00am
37.8
11:00am
37.5
2:00pm
37.9
5:00pm
37.4
12/2
8:00am
37
11:00am
37.6
2:00pm
37
5:00pm
37.4
8:00pm
37
12/3
8:00am
37
11:00am
37.2
2:00pm
36.9
<장기목표>
대상자는 감염과 관련된 모든 징후가 나타나지 않는다.
<단기목표>
1.대상자는 정상범위의 체온을 유지한다.
2.대상자의 WBC수치가 정상을 유지한다.
3. 대상자의
op.site wound는 clear하게 유지된다.
1.각종 삽관, 정맥 주입 시 무균술 을 지킨다.
2.3시간 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3.감염의 지표가 되는 임상검가 결과를 사정한다.
4.정맥주입로를 자주 관찰한다.
5.손세척 및 장갑, 마스크, 덧가운을 사용한다.
6.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한다.
7.op wound를 자주 관찰한다.
1.수술, 도뇨관삽입, 배액관 보유, 정맥주입 등을 정상 피부와 점막을 파괴하여, 미생물의 접근을 가능하게 함
2.감염 시 혈압, 맥박, 체온, 호흡수가 증가함.
3.감염시 WBC 검사수치가 증가함.
5.청결하지 않은 손 등은 대상자에게 감염을 유발할 수 있음.
1.침습적처치시 무균술을 지켰다.
2.확력징후를 3시간마다 측정했다.
날짜
시간
BP
(mmHg)
T
(℃)
P
(회/min)
R
(회/min)
12/4
8:00am
99/36
36.9
76
28
11:00am
106/54
37
90
24
2:00pm
100/64
36.8
80
22
12/5
8:00am
99/36
36.9
76
28
11:00am
111/57
36.6
93
16
2:00pm
92/56
36.7
85
24
12/6
8:00am
90/54
37
86
24
9:00am
102/43
87
10:00am
94/46
76
1:00pm
90/60
36.8
80
22
12/7
8:00am
100/70
36.9
78
24
11:00am
100/70
36.8
74
24
2:00pm
90/60
36.9
72
20
3.WBC 상승 정도를 사정했다.
12/6 ‘10.1’ ck.
4.정맥주입로를 관찰해 그 부위의 발적과 습한정도를 사정했다.
5.처치시마다 hand washing을 했다.
6.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하는 것을 관찰했다.
7.op wound를 자주 관찰했다.
1.체온은 36.8도로 약간 미열을 유지하고 있다
2.12월 6일 ABGA결과상 WBC10.1 로 점점 정상범위 안으로 내려오고 있다.
3.op.site wound는 clear하게 유지되었다.
#2. 편측성마비와 관련된 피부손상위험성
날짜
사정
간호 목표
간호 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 수행
평가
12/4~
12/7
O.Data:
1.2003년
ICH(intracerebral hemorrhage)진단 받고 op.
2. 2004년 3월 11일
Hemorrhagic
infarction in left
MCA(Middle Cerebral Artery) 진단받고
operation(Decompressive Craniectomy in left
trontotemporoparietal)시행.
3. 2006년 9월 5일CVA
sequelae impression
하에 operation
(Decompressive
craniectomy in right
temporoparietal) 후에
right hemiparesis.
4. mental은 deep
drowsy상태이다.
5. motor power 측정
결과
left arm 5/2, leg 5/1 : right arm, leg 0
5.천골부위에 3cm 정도의 붉은 발진을 관찰했다.
6.물침대를 사용중이다.(물-50%, 공기-50%)
<장기목표>
피부 손상없이 깨끗하게 유지된다.
<단기목표>
1.발적과 열감이 없다.
2.피부가 건조하게 유지된다.
1.피부의 발적, 습도, 탄력도를 4시간 마다 사정한다.
2.하루 4시간 마다 체위를 변경 시킨다.
3.하루 4시간 마다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는 압력과 자극원을 방지 하기 위하여 침대 시트를 구김없이 펴주고, 이물질을 제거한다.
4.팔꿈치와 발꿈치, 천골부위 등 돌출된 부위의 자극을 줄여준다.
5.하루 4시간 마다 등마사지를 시행한다.
1. 피부의 발적이 있고 습하며 탄력도가 떨어지면 피부 손상의 위험이 큼.
2. 장기간 같은 체위로 있으면 욕창이 발생할 위험이 큼.
3. 자극을 줄 수 있는 구겨진 시트와 그 외 주변의 이물질은 욕창과 피부손상을 유발시킨다.
4. 뼈가 돌출된 부위는 욕창발생의 주요한 부분이다.
5. 욕창발생을 예방한다.
1.피부의 발적, 습도, 탄력도를 4시간마다 사정하였다.
-등 천골부위에 발적 있었으며, 조금 열감이 있었고, 피부가 전체적으로 축축하였다. 그리고 손으로 만졌을때 축 늘어지고 탄력이 없었다.
2.하루 4시간마다 체위를 변경 시켰다.
-등마사지를 하면서 체위를 좌위로 올려주면서 변경시켜주었다.
3.하루 4시간 마다 피부자극원이 될 수 있는 시트의 구김, 이물질을 제거하였고, 시트가 젖어있거나, 눅눅할 경우 시트를 바꿔주었다.
4.팔꿈치와 발꿈치, 천골부위 등 돌출된부위의 욕창을 예방하기 위하여 자극을 줄여 주었다.
-팔꿈치 부위에는 손베게, 발꿈치 부위에는 물주머니, 천골부위에는 4시간마다 좌우로 올려줌으로써 자극을 주여주었다.
5.하루 4시간 마다 등마사지를 시행하였다.
-열이 날때는 알콜을 사용하여 2~3분간 손을 cupping 모양을 하여 마시지 시켰다.
1. 12월 7일 사정 결과 3cm->2cm으로 발적 정도가 감소했으나 여전히 열감은 있었다.
2. 피부가 건조하게 유지되었다.
  • 가격3,0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07.03.01
  • 저작시기2006.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72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