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뉴스보도]한국 저널리즘의 위기의 실태와 실패원인 및 저널리즘 산업의 과제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1. 저널리즘과 사회문제
2. 문제의식과 접근방법

Ⅱ. 저널리즘의 위기와 사회문제
1. 미디어의 사회적 기능과 한국 저널리즘의 문제
2. 한국 저널리즘의 사회조정기능 실패

Ⅲ. 저널리즘의 위기와 언론의 사회적 책임
1. 현대 사회의 언론이 가진 사회적 책임
2. 사회적 책임의 존재론과 언론

Ⅳ. 저널리즘 산업 전반의 위기와 정치경제학적 비판
1. 한국 언론 산업 위기론
1) 신문 산업의 위기
(1) 신문위기론
(2) 2005년 전국지 경영실태 분석
2) 방송 산업의 위기
(1) 지상파 위기론
(2) 2005년 중앙방송 경영실태 분석
(3) 한미FTA와 지상파 위기 논의
3. 언론 산업 위기의 정치경제학 비판
1) 언론시장의 성격
2) 독점적 매체자본의 정치경제학

Ⅴ. 한국 뉴스보도의 감성 과잉화 - 저널리즘 보도행태 층위의 위기
1. 연구 방법
2. 경험 연구, 한국 저널리즘 보도의 감성 과잉화 분석
1) 편파적 감정 내재 - ‘부안 사태’ 보도
2) 공포감 조성 - ‘불량만두 사건’ 보도
3) 애국심ㆍ민족의식 강조 - 일본 ‘다케시마의 날’ 조례 제정 보도
4) 영웅화 보도 사례들
5) 자극적인 표현 보도 사례
6) 동정심 유발 보도사례
3. 감성과잉의 정의와 비판
1) 감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
(1) 포스트모더니즘과 감성
(2) 하버마스의 이론와 감성
2) 감성과잉의 조작적 정의
4. 감성 과잉화 된 뉴스생산물 비판
1) 보도의 감성과잉 상품화
2) 수용자의 청중화
3) 청중화와 감성과잉

Ⅵ. 결론 - 한국 저널리즘의 실패와 과제

본문내용

재단.
권기수(2005. 3. 16). 日 독도의날 제정, 대구 경북시민 분노 폭발. ≪노컷뉴스≫.
권혁철(2005. 3. 17). 일 독도조례 파장/ 민간의용군 '독도수비대' “애국심으로 지킨 섬, 또 넘보다니”. ≪한겨레≫4.
김경락(2005. 3. 16). 정신대할머니, "오늘은 일본놈들이 억지쓰는 날" - [일본대사관앞] "전쟁선포" "야스쿠니 신사 폭파" 주장도. ≪프레시안≫.
김광오(2003. 7. 23). 부안군 核폐기장 반대시위 80여명 부상. ≪동아일보≫.
김광오. 김성규. 유재동(2003. 7. 26). 부안주민 6000여명 또 시위…"방사성 폐기물 처리장 철회". ≪동아일보≫.
구혜영(2003. 7. 25). 폭력시위 부안군민 4명 구속. ≪서울신문≫.
김동규(2005). 언론의 소유구조, 시장 그리고 개혁의 딜레마. 《콜로키움, 한국 사회와 언론 보고서》. 한국언론학회 한국사회와 언론 연구모임.
김동률(2005). 휘청거리는 신문 산업.《신문경영론》. 나남출판.
김병국(1998). 《언론과시민권》. 커뮤니케이션북스.
김수언(2005. 3. 21). 분신ㆍ손가락 절단 … 극단적 반일 '우려'. ≪한국경제신문≫.
김승수(2004). 신문산업의 퇴락.《언론산업의 정치경제학》. 개마고원.
김승수(2004). 언론독점의 위기 .《언론산업의 정치경제학》. 개마고원.
김영주(2006. 6). 매출은 주는데 순익은 증가? 감면 등 비용절감 효과 때문 - 2005년 신문사 경영실적. 〈신문과방송〉. 한국언론재단.
김용권(2003. 7. 26). 위도 핵폐기장 선정 / 쟁점·현지표정 - 주민들 ‘현금보상’ 요구 새불씨. ≪국민일보≫.
김은정(2005. 3. 16). 들끓는 反日여론…곳곳 시위. ≪매일경제신문≫.
김정훈. 김영식. 김광오(2003. 7. 30). 정부 “위도 현금 지원 않는다” 주민 “방폐장 건설 결사저지”. ≪동아일보≫.
김판수. 박용근(2003. 7. 22). 부안 핵폐기장 반대 격화,오늘 대규모 시위...군의회 의장 집단폭행 당해. ≪경향신문≫.
김한규(2005. 3. 16). 시마네현 '다케시마의 날' 강행통과 - 36명중 33명 찬성, 한일관계 급랭, 日 "한일우호보다 중요". ≪프레시안≫.
박소라(2006. 5.). 매출액 소폭 상승, 당기순이익은 대부분 감소 - 2005년 지상파 방송사 경영실적. 〈신문과방송〉. 한국언론재단.
박영률(2005. 3. 17). 일 독도조례 파장 / ‘국토의 막내’ 지킴이들 “경계 이상무”. ≪한겨레≫.
박용근(2003. 7. 30). 현금보상 불가 현지반응 "이제와서 ...우롱하나" 위도 격앙. ≪경향신문≫.
박임근(2003. 7. 24). 가라앉지 않는 “핵폐기장 반대”. ≪한겨레신문≫.
박주현(2006. 11. 1.). 구독률 감소 광고 위협... 신문위기 어쩌나. 〈오마이뉴스〉.
박팔령(2003. 7. 29). 放廢場'확정이후 위도 현지표정 / "현금보상 5억은 돼야 헐튼디.... ≪문화일보≫.
박찬준(2003. 7. 15). 원전수거물시설 단독유치신청 부안군 위도표정/위도주민은 긍정적…환경단체선 반발. ≪세계일보≫.
백승균 (1993). ≪포스트모더니즘시대에 있어서 비판이론≫. 철학연구.
양계탁(2003. 7. 29). 위도주민 ‘보상 없이 유치 안돼’>. ≪시민의신문≫.
양문석(2006). 지상파 위기 7대 요인,〈문화과학〉, 47호, 문화과학사.
양문석(2006. 7.). 한미FTA, 지상파 사람들의 죽느냐 사느냐 문제. 〈인물과사상〉. 인물과사상사.
오택섭(2005). 《미디어와 정보사회》. 나남.
유재천(1982. 9.). 언론의 사회적 통제, 〈신문연구〉.
윤호진(2003). 《지상파 텔레비전소유구조 : 현황과전망》. 커뮤니케이션북스.
윤평중 (1990). ≪푸코와 하버마스를 넘어서≫. 교보문고.
이규형 (1998), 감성과 감정의 이해를 통한 감성의 체계적 측정 평가. ≪감성과학≫. 한국감성과학협회.
이대현(2005. 3. 18). 울분으로 부르는 노래 ‘독도는 우리땅’. ≪동양일보≫.
이소아(2005. 3. 18). 억지부리는 일본에 화나요. ≪매일경제신문≫.
이수남(2005. 3. 16). 정부 ‘日 조례안 통과는 3.16 망동’. ≪이윈컴≫.
임경구박재한(2005. 3. 16). 임채정 "日준동, 집권세력 시나리오에 따른 것" - 우리-한나라, "독도특위구성" 정식합의 . ≪프레시안≫.
임순달(2005. 3. 16). 부천시의회, ‘독도 왜곡’ 규탄 결의문 채택 . ≪부천신문≫.
임재국(2005. 3. 16). 경북 교류단절. MBC 9시 뉴스데스크.
장병갑(2005. 3. 18). ‘독도는 우리땅’ 수업 잇따라. ≪동양신문≫.
장영태(2005. 3. 17). 위기의 韓.日관계/독도는 섬이 아니다…또다른 한국의 영원한 이름이다. ≪세계일보≫5.
정병희(2005. 3. 24). 이순신촬영장서 일본만행 규탄. ≪부안서림신문≫.
조호진(2005. 3. 16). 교원단체 '독도' 공동수업 추진... 시민단체 '우정의 해' 취소요구. ≪오마이뉴스≫.
차경호(2005. 3. 16). 사실상 공모. MBC 9시 뉴스데스크.
최영재(2004. 8.). 특집 / 이라크전쟁과 언론보도 : ''김선일 피랍'' 보도점검 - 신문. ≪신문과 방송≫. 한국언론재단.
최영재(2004). 매체비평 / 신문평 : 유영철 사건보도. ≪신문과 방송≫ 2004년 9월호.
최수학(2003. 7. 28). "부안이 不安" 19일째 시위. ≪한국일보≫.
팽원순(1984). 《매스커뮤니케이션 법제이론》. 법문사.
하인식(2003. 7. 30). 현금보상 배제, 위도주민 강력 반발. ≪한국경제신문≫.
한장희. 정동권(2004. 6. 15). “제 자식 3명도 만두만 먹여왔는데…”… 자살한 제조업체 사장 유서. ≪국민일보≫.
데이브 로빈슨 (2002). ≪니체와 포스트모더니즘≫. 이제이북스.
버나드 마넹(2005). 박상훈 역. 《선거는 민주적인가》. 후마니타스.
자크 데리다 (1996). ≪그라마톨로지≫. (원저 출판연도 1980). 믿음사.
존 네론(2005). 사회적 책임이론. 《최후의 권리》. 한울.
  • 가격3,000
  • 페이지수38페이지
  • 등록일2007.03.29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13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