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축육종]유전정보의 발현과정과 유전자지도와의 상관관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가축육종]유전정보의 발현과정과 유전자지도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Ⅰ. 서 론

Ⅱ. 본 론
1. 유전물질의 발견
2. 유전정보의 발현(Gene Expression)과정
1) 유전자 발현(Gene Expression)
2) 진핵세포와 원핵세포의 유전자발현의 차이
3) 전사
4) 번역의 과정
5) 바이러스의 경우 중심원리가 적용되지 않는 경우
3. 질병치료를 위한 유전자지도의 기반
4. 유전정보의 발현과정과 유전자지도의 상관관계

Ⅲ.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조절 혹은 하강조절된 세포들이 분리되어 클리닝되었다. 이 단계에서 여러 가지 신호 억제물질 존재 여부에 따라 다양한 자극물질의 반응으로 리포터 발현을 자세하게 동태 분석할 수 있었고 가장 중요한 내생유전자자좌 (리포터가 삽입된 곳)를 선발된 클론에서 동정할 수 있었다.
유전자 포착 시도의 강력함을 입증하면서 β-락타마제 융합 전사를 서열화하면서 분리된 14개 유전자중 10개 새로운 것이어서 데이터베이스에 제시되어 있지 않았다. 주카트 세포는 T 세포 활성에 대한 발현 양상이 변하는 유전자를 동정하는데 수년간 널리 사용되어왔다는 것을 생각하면 이 결과는 매우 인상적이다. 더욱이 이 방법으로 자극에 대한 전례없는 반응 양상을 가진 두 개의 유전자를 동정하였다. 이 유전자들의 발현은 포르볼 에스터 (phorbol ester)나 쌥시가르긴 (thapsigargin) 어느 하나로 자극하여도 상승조절되었다.
그러나 두 인자를 모두 사용하여 자극하면 하강조절되었다. 그와 같은 유전자들은 상당한 관심을 끈다. T 세포의 여러 가지 기능상태가 특히 면역성 결여와 말초내성이 또한 불완전한 자극이나 부분적인 활성 조건에서 선택적으로 표현되기 때문이다. 불행히도 면역성 결여와 내성에 가장 관여되는 목표 유전자가 발현될 것으로 가장 여겨지는 일차 T 세포에서 라이브러리를 만드는 것이 현재로서는 불가능해 보인다.
Whitney등의 방법의 필요와 응용은 또 다른 강력한 유전자 발현 변화 감시 방법인 DNA 마이크로배열 기술 방법에 매우 보완적이다. 마이크로배열 접근은 복합조직을 포함해서 본질적으로 어떤 세포원에도 사용할 수 있다. 반면 Whitney등의 방법은 현재 유전자 포착 라이브러리를 만들 수 있는 증식시킬 수 있는 세포에만 사용이 가능하다. 마이크로배열 접근법은 모든 발현 가능한 유전자 즉, 마이크로배열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DNA 서열에서 나타나는 것들의 일부를 추출한다. 반면 Whitney 등의 방법은 라이브러리를 크게 만들 수 있다면 (대략 2×107 독립 통합을 포함) 잠재적으로 전체 게놈을 추출할 수 있다. 생물공학적인 관점에서 본다면 Whitney등의 방법은 살아있는 세포에서 제약 발견에 응용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으로 꼽힌다. 리포터 발현이 특정 신호경로에 의해서 조절되는 세포계통을 클로닝하여 쉽게 만들어서 높은 작업처리량 스크린에서 반응을 억제하거나 강화할 수 있는 화학물질을 동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또 한가지 중요한 문제는 이 방법은 아주 다양한 세포형과 조직을 연구하는데 적용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점이다.
Ⅲ. 결 론
유전자에 관한 이러한 지식을 적극적으로 인간에게 유리하도록 이용하고자 하는 학문 분야가 바로 유전공학이라고 할 수 있다.
유전자가 어떻게 유전 정보를 전하고, 전해진 유전자가 발현되는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우리가 DNA 속에 들어 있는 유전 정보를 해독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이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DNA 의 염기 배열 순서가 바로 유전 정보라는 것은 이미 앞에서 언급했었다.
우리가 화학적인 실험을 통해 하나하나의 DNA 사슬의 염기 순서를 따로따로 읽어낼 수는 없다. 화학 실험을 통해서 유전 정보를 해독하기 위해서는 같은 염기 배열을 가지고 있는 DNA가 화학 실험을 하기에 충분할 만큼 얻어져야 한다. 그러나 시험관 내에서 잘라진 DNA는 무작위 하게 잘라지기 때문에 끝이 가지런한 DNA를 얻기가 힘들다.
따라서 DNA에서 특별한 염기 배열을 인식하여 절단해 주는 효소를 필요로 하는데 이렇게 DNA 사슬에서 특별한 염기 배열을 인식하여 절단해 주는 효소를 제한효소라고 한다. 제한효소는 1970년에 미국의 스미스
) Hamiton Othanel Smith, 1931 - , 미국의 미생물학자, 1978년 노벨상
에 의해서 발견되었다. 그런가 하면 잘라진 DNA 단편을 연결해 주는 효소도 있는데 이러한 효소를 리가제라고 한다. 리가제는 1967년에 파지가 감염된 세균 속에서 스탠퍼드 대학의 레만에 의해서 발견되었다.
1970년대에는 세균 속에 있는 플라스미드라는 원형 DNA 를 이용하여 제한효소와 리가제를 이용한 여러 가지 실험이 시행되었다. 플스미드를 제한 효소로 절단한 후에 리가제를 이용하여 다른 DNA 단편을 붙여서 인위적으로 만든 재조합 DNA를 대량으로 생산하였다.
대량으로 같은 유전 정보를 가지는 DNA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먼저 고리 모양의 플라스미드를 절단하여 선 모양으로 한 다음 다른 DNA에서 분리해낸 단편 DNA를 리가제를 이용하여 플라스미드에 연결하여 고리 모양의 재조합 DNA를 만들었다. 이 DNA는 복제 능력이 있으므로 세균에 주입시키면 불과 몇 시간 안에 한 세균당 100만 개 이상의 플라스미드를 복제하게 된다. 이렇게 같은 유전정보를 가지는 DNA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게 되지 DNA 연구는 더욱 활발하게 진척되었다. 특정 DNA의 단편을 분리하여 대량으로 DNA를 제조하는 방법을 『분자 클로닝법』이라고 한다. 재조합 유전자를 만드는 방법은 여러 가지 연구에 사용되고 있다. 유전자의 조작을 통해 형질을 바꾸는 방법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고, 특정 호르몬을 합성하는 유전정보를 가진 DNA를 이 방법으로 대장균내에 주입시켜 인체 내에서만 합성되던 호르몬을 대장균에서 합성하게 하는 방법 등은 이미 어느 정도 실효를 거두고 있다.
참고문헌
생물학, 대표저자 김신기, 정문각
일반생물학, 대표저자 김정곤, 형설출판사
생물학개론, Enger Gibson Kormelink Ross Smith, 탐구당
교양생물학, 대표저자 강신성, 아카데미서적
Bishop Jerry E. and Waldholz, Michhael, 1990, Genome; The Story of Our Astonishing Attempt to Map All the Genes in the H
uman Body("유전자 사냥꾼", 김동광/과학세대 옮김, 동아출판사)
Grace Eric S. 1997, Biotechnology Unzipped, Promises & Realities("생명공학이란 무엇인가", 싸이제닉 생명공학연구소 옮김, 지성사)
  • 가격2,7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7.03.31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18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