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코드라마(psychodrama)에 관하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이코드라마(psychodrama)에 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사이코드라마의 의의

Ⅱ. 사이코드라마에 대한 정의들

Ⅲ. 사이코드라마의 구성요소
1. 주인공
2. 디렉터
3. 보조자아
4. 관객
5. 무대

Ⅳ. 사이코드라마의 진행과정
1. 준비단계
2. 행위단계
3. 나누기단계

Ⅴ. 사이코드라마의 기법
1. 기본원리
2. 기본 기법들

Ⅵ. 사이코드라마의 활용

Ⅶ. 사이코드라마티스트(psychodramatist)
1. 사이코드라마티스트의 전문적인 역할들
2. 결론

Ⅷ. 사이코드라마의 규칙

Ⅸ. 소시오드라마(sociodrama)와의 차이점

Ⅹ. 사이코드라마의 사례들

본문내용

정에 있어서, 사이코드라마는 먼저 주인공이 주제를 선정하고 주인공의 지금-여기의 느낌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지만 소시오드라마에서는 집단원들이 모두 참여하여 주제를 선정하고 그 주제를 토대로 소시오드라마가 진행된다. 사이코드라마는 주인공의 감정에 초점이 두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장면을 이어나가면서 주인공의 감정을 다루어 나가지만, 소시오드라마에서는 주제가 어느 정도 표현된 경우, 불완전하거나 왜곡되어진 경우나, 수정, 보완, 확대, 극대화 등이 필요한 경우, 기타 질문과 토론이 필요하거나 역할의 세분화, 초점의 명료화, 연기자의 교체 혹은 보강, 집단 전체의 의견 수렴 등이 필요한 경우 장면을 중단할 수 있으며 새롭게 보다 극적이고 효과적인 드라마를 만들 수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또한 사이코드라마는 집단이 참여하는 경우가 드물지만 소시오드라마에서는 집단원들 모두의 집단 카타르시스를 위해 집단원 전체가 참여하는 경우가 많다. 사이코드라마는 짧은 시간 내에 개인적인 문제들이 많이 드러나기 때문에 노출을 꺼리는 사람들에게 부담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소시오드라마는 개인의 문제를 다루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개인적인 노출의 부담이 없이 예방, 발달적인 측면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Ⅹ. 사이코드라마의 사례들
현대인들이 흔히 앓는 마음의 고통을 사이코드라마를 통해 해결해 나가는 방식을 두 가지 증례를 통해 간단히 소개하면 이러하다.
첫 번째는 자살의 충동을 느끼는 한 사내가 사이코드라마를 통하여 어떻게 극복되어지는 지의 과정이다. - 가짜로 죽어보기 -
(무대 위에 빈 의자가 한 개 놓여 있다. 이십대 후반쯤으로 보이는 청년 한 명이 걸어 나오더니 의자에 앉는다.)
김종한(가명): (관객석을 향해) 내가 이 사회에서 얼마나 고생했는지 아십니까? 학벌이 변변치 않아 이리저리 떠돌면서 정말 눈물이 쏟아질 만큼 열심히 일했습니다. 그렇지만 내게는 아무런 희망도 없어요. 더 이상 나 자신을 기만하며 살고 싶지는 않습니다. 이 사회는 너무도 썩었고 불공평해요. 더 이상 무시당하면서까지 이 사회에서 구차하게 생을 연장하고 싶지 않습니다.
(탈을 쓴 광대가 과장된 몸짓으로 춤추면서 등장)
광대: 하하하! 친구야! 나를 봐. 하하하.
김종한: 당신은 누구죠?
광대: 나! 난 광대야. 난 이승과 저승을 넘나드는 광대지. 자넨 무얼 그리 골똘하게 생각하고 있나.
김종한: 나는 이 세상이 싫어요. 죽고만 싶어요.
광대: 그래? 그거 좋은 생각이야. 그럼 나하고 같이 죽음의 세계로 가 볼까?
김종한: 좋아요. 갑시다. 지긋지긋한 이승을 떠나 죽음의 세계로 들어갑시다.
광대: 좋아. 그러면 내 손을 잡아. 그리고 눈을 감아.
(광대, 김종한의 손을 잡고 무대를 한 바퀴 돌자 무대가 어두침침해지며 네댓 명의 남녀들이 등장해 고개를 숙이고 어깨가 늘어진 음산한 몸짓으로 무대 위를 걸어 다닌다. 김종한, 다시 무대 위의 빈 의자에 앉는다.)--후략--
사이코드라마의 경우에는 자살 충동을 느끼는 한 젊은이를 "죽음"이라는 가상의 공간을 마련해 주어 가짜이긴 하지만 "죽음"을 체험하게 하여 자살에의 욕구를 직시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카타르시스를 통하여 자신을 옭아 죄던 문제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두 번째의 경우는 대인공포증으로 사회생활이 어려운 이의 문제를 극복하는 사이코드라마이다. - 사람무섬증 없애기 -
(무대 위에 대인공포증 환자 임 철씨, 연출가 김씨가 마주 앉아 있다.)
임철: 사람 대하기가… 좀 어려워요. 표정이 자연스럽게 안돼요. 화난 사람 같다는 얘기도 많이 들었어요. 인상 때문에 입사시험을 몇 번째 떨어졌는지 몰라요. 필기시험은 잘 붙는데 면접에서 꼭 떨어져요.)
연출가: 이런 자신을 생각하면 떠오르는 것이 있나요?
임철: 고등학교 일 학년 때였어요. 수업 시간이었죠. 선생님이 한 사람, 한 사람에게 발표를 시켰어요. 내 차례가 됐죠. 답할 내용을 분명히 알고 있었던 것 같은데, 단상에 서는 순간 아무 생각이 안나는 거예요.
연출가: 좋습니다. 그때로 한 번 돌아가 보시겠습니까?
임철: (주저한다)
연출가: (웃으며) 그러면 구경만 하세요.
(임철은 관객석에 앉고 보조자아들만 무대에서 연기한다.)
보조 자아 1(선생): (위압적으로) 성민이, 이리 나와 발표해 봐!
보조 자아 2(성민): (쭈뼛쭈뼛 무대로 나온다.)
성민: 이육사의 민족주의적 시풍이…(더듬기 시작한다)…김정식의 서…정…
선생: 논다, 놀아. 너 지금 코미디 하냐?
(관객들. 와! 하고 웃는다)
선생: 다시 한 번 해봐!
성민: …이…육…사…의…
선생: 어쭈…아예 원맨쇼를 해라! 원맨쇼를…(기가 막혀 한다)
(다시 와!하고 웃는 사람들. 더욱 당황하는 성민. 임 철, 뚫어져라 그를 쳐다본다)
연출가: (임철에게) 저 학생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세요?
임철: (화난 듯) 선생님이 나빠요. 조금만 격려해 줘도 잘 할 텐데….
연출가: (임철에게) 선생님이 한 번 돼 보세요.
임철: (놀라며) 네? 제가요?
연출가: 연극이니까 부담 갖지 마세요.
(임, 주저하다가 올라가 선생 역할을 한다)
성민: (얼굴이 붉어지고 땀을 뻘뻘 흘리며) 이…육…사…
임철(선생 역): 내용은 잘 알고 있는 것 같은데 다소 긴장하고 있구만. 천천히 차분하게 해 봐.
성민: (기뻐하며) 네! 이…육…사…의…민
임철(선생 역): 아, 아주 좋아요. 그렇게 말하니까 아주 보기가 좋으네. 좀 더 자신감을 갖고 얘기해 봐요.
성민: 네! (목소리에 힘이 들어간다) 이육사의 민족주의적 시풍이 김정식의…
(관객들 환호를 하며 박수를 친다)
연출가: (임철에게) 기분이 어떻습니까?
임철: 아주 좋습니다.
연출가: 그럼 우리 입사시험 면접 장소로 가 볼까요?
임철: 네? (두려워한다)
연출가: 부담스러우시면 임철 씨로서가 아니라 면접관을 해 보는 겁니다. --후략--
이 사이코드라마의 경우에는 대인공포증을 가지고 있는 이의 문제 상황을 연출가와 보조 자아들이 당사자가 그 상황으로 다시 돌아가거나 다른 이의 입장이 되어 자신을 돌아볼 수 있도록 도와줌으로써 정신적인 문제점을 다시 발견하고 치료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 주는 것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7.06.09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40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