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나라의 산성비의 폐해 현황 대책 및 국제협력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산성비의 정의와 특징

2. 산성비의 폐해

3. 산성비에 대한 대책

4. 우리 나라의 산성비 현황

5. 우리나라의 산성비 국제 협력

본문내용

101개소이며, 지방자치단체에서 관리하고 있는 측정소는 41개소이다. 이 중 산성비 측정은 1983년 8월부터 시작하여 오늘날까지 48개 시·군에서 자동측정소 95개와 수동측정소 9개를 운영하고 있다. 1986년부터 1997년까지 연도별 강우산성도를 살펴보면 서울의 경우 pH값이 5.6이하인 경우도 있으나 정도가 심하지 않았다. 전반적으로 부산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도시의 강우산도가 pH가 5.6보다 크게 낮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1990년 1월에 대기오염원이 거의 없는 서해안의 태안반도에서 대도시보다도 훨씬 산성도가 높은 pH 3.7의 상선비가 관측되었다. 이는 중국 북동부 공업지대에서 대량 배출된 이산화황이 편서풍을 타고 한반도로 왔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이와 같이 산성비는 국지적인 문제이지만 인접 국가와 환경오염 문제를 야기시킬 염려가 있다. 특히 산성비 현상은 배출원으로부터 수 천㎞ 떨어진 곳에까지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산성비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국제적인 협력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5. 우리나라의 산성비 국제 협력
우리 나라의 경우 동북아지역의 산성비 문제를 보다 더 잘 이해하고 대응 대책을 세우기 위해서 여러 가지 경로를 통해서 국제협력이 추진되고 있다. 우리와 이웃한 중국이나 일본과의 협력 추진 경위를 보면, 1993년 6월에 열린 한.중 환경협력위원회에서는 국경을 넘는 대기오염물질의 이동 문제를 다루기로 합의 한 바가 있다. 중국에서는 최근까지도 중국 외부로 이 동하는 대기오염물질이 없다고 주장했으나, 1994년부터 중국 외부로 대기오염물질이 이동한다는 사실을 인정한 바 있다.
  • 가격1,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06.25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70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