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평양 전쟁-배경과 과정 및 결과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태평양 전쟁-배경과 과정 및 결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 용어의 정의 ­­­­­­­­­­­­­­­­­­­­­­­­­­­­­­­­­­­­­­­­­­­­­­­­
3. 연구의 제한점 ­­­­­­­­­­­­­­­­­­­­­­­­­­­­­­­­­­­­­­­­­­­­­­

Ⅱ. 연구방법 ­­­­­­­­­­­­­­­­­­­­­­­­­­­­­­­­­­­­­­­­­­­­­­­­

Ⅲ. 일본과 태평양전쟁 ­­­­­­­­­­­­­­­­­­­­­­­­­­­­­­­­­­­­­­
1. 태평양전쟁의 전야 ­­­­­­­­­­­­­­­­­­­­­­­­­­­­­­­­­­­­­­­­­­
- 전쟁 직전 군부의 전략적 사고: 대동아주의의 등장
2. 개전-진주만 기습공격 ­­­­­­­­­­­­­­­­­­­­­­­­­­­­­­­­­­­­­­
가. 진주만 공격과 미국의 선전포고 ­­­­­­­­­­­­­­­­­­­­­­­­­­
나. 파멸의 길 ­­­­­­­­­­­­­­­­­­­­­­­­­­­­­­­­­­­­­­­­­­­­­­
1) 3국 동맹 ­­­­­­­­­­­­­­­­­­­­­­­­­­­­­­­­­­­­­­­­­­­­­­
2)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침공 ­­­­­­­­­­­­­­­­­­­­­­­­­­­­­­
3) 미국의 석유금수 조치 ­­­­­­­­­­­­­­­­­­­­­­­­­­­­­­­­­­
4) 어전 회의 ­­­­­­­­­­­­­­­­­­­­­­­­­­­­­­­­­­­­­­­­­­­­­
5) 공격 결정 ­­­­­­­­­­­­­­­­­­­­­­­­­­­­­­­­­­­­­­­­­­­­­
다. 국제법에 대한 무시 ­­­­­­­­­­­­­­­­­­­­­­­­­­­­­­­­­­­­­
3. 패망의 시작 ­­­­­­­­­­­­­­­­­­­­­­­­­­­­­­­­­­­­­­­­­­­­­­­
가. 미드웨이 해전 ­­­­­­­­­­­­­­­­­­­­­­­­­­­­­­­­­­­­­­­­­­
나. 암호전쟁 ­­­­­­­­­­­­­­­­­­­­­­­­­­­­­­­­­­­­­­­­­­­­­­­
다. 심리전의 효과 ­­­­­­­­­­­­­­­­­­­­­­­­­­­­­­­­­­­­­­­­­­
라. 마지막 승부수: 가미카제 ­­­­­­­­­­­­­­­­­­­­­­­­­­­­­­­­
마. 오키나와의 비극 ­­­­­­­­­­­­­­­­­­­­­­­­­­­­­­­­­­­­­­­­
4. 원폭 투하 ­­­­­­­­­­­­­­­­­­­­­­­­­­­­­­­­­­­­­­­­­­­­­­­­­
가. 트루먼의 선택 ­­­­­­­­­­­­­­­­­­­­­­­­­­­­­­­­­­­­­­­­­­
나. 원폭 투하와 희생 ­­­­­­­­­­­­­­­­­­­­­­­­­­­­­­­­­­­­­­­
5. 일본의 항복 ­­­­­­­­­­­­­­­­­­­­­­­­­­­­­­­­­­­­­­­­­­­­­­­
가. 항복의 유예 ­­­­­­­­­­­­­­­­­­­­­­­­­­­­­­­­­­­­­­­­­­­­
1) 포츠담선언의 묵살 ­­­­­­­­­­­­­­­­­­­­­­­­­­­­­­­­­­­­­
2) 군부의 저항 ­­­­­­­­­­­­­­­­­­­­­­­­­­­­­­­­­­­­­­­­­­­
나. 천황의 항복 방송 ­­­­­­­­­­­­­­­­­­­­­­­­­­­­­­­­­­­­­­­

Ⅳ. 결론 ­­­­­­­­­­­­­­­­­­­­­­­­­­­­­­­­­­­­­­­­­­­­­­­­­­­ 28

참고문헌 ­­­­­­­­­­­­­­­­­­­­­­­­­­­­­­­­­­­­­­­­­­­­­­­­­­­ 30

본문내용

소리도 점점 커지고 있었다. 이러한 양측의 대립으로 일본의 항복은 지연되었다.
원폭 투하이후 천황은 도고 외상에게 전쟁의 신속한 종결을 지시했지만 원폭투하의 참상마저 숨긴 군부는 천황의 말대로 신속하게 항복할 태세가 갖추어져 있지 않았다. 결국 나가사키에 두 번째 원폭 투여가 이뤄지고 어전회의에서의 천황의 결단으로 군부의 반대가 일단 진정이 되었다. 하지만 전쟁을 계속하려는 군부의 입장은 유지 되었다. 결국 천황은 10일 오전 포츠담선언 수락문을 발표함으로서 군부가 항복을 받아들이도록 만들었다. 그러나 군부의 강경한 입장이 완전히 누그러진 것은 아니었다. 그들의 불만과 저항은 8월 15일 천황이 항복을 선언할 때까지 계속되었다.
나. 천황의 항복 방송
미군은 13일 저녁부터 일본의 포츠담선언 수락문과 번스 국무장관의 회신을 인쇄한 전단을 비행기로 살포했다. 일본국민들은 그때까지도 일본 정부가 10일에 포츠담선언을 수락한 사실을 모르고 있었다. 혼란을 우려한 일본 정부가 항복수락 의사를 공표하지 않은 것이다.
14일 오전에 마지막 어전회의가 궁중의 방공호에서 열리고 일본의 항복이 최종적으로 결정되었다. 오후에 열린 각료회의에서 종전의 칙서가 완성되었고 천황은 이를 직접 국민들에게 방송하기로 하고 14일 오후 궁중에서 녹음을 마쳤다. 그날 밤 근위대의 일부 군인들이 천황의 녹음테이프를 압수하고 대신들을 체포하기 위하여 무력행동에 나섰지만 성공하지는 못했다. 종전칙서는 예정대로 8월 15일 정오에 라이오로 방송되었다. 일본 국민들은 라디오 앞에 무릎을 꿇었고 그들은 처음으로 듣는 천황의 목소리를 통해 패전사실을 알았다. 러일전쟁 이후 40년 간 계속 팽창해온 일본제국이 막을 내리는 순간이었다.
Ⅳ. 결 론
일본이 발발한 태평양전쟁은 군부의 대동아주의를 배경으로 진주만을 기습공격하면서 시작되었다. 그러나 대동아주의라는 제국주의 사고를 전제로 하고, 시작부터 엄청난 국력의 차이를 극복해야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고, 국제법을 무시하였으며, 여러 전술적인 측면에서의 패배하였다는 등의 여러 이유로 러일전쟁 이후 40년 간 계속 팽창해온 일본제국의 몰락과 함께 태평양전쟁은 종전된다. 일본이 1931년 만주사변을 시작으로 해서 태평양전쟁 종결 때까지 본격적으로 군국주의 노선을 채택하였고, 그 결과 대륙과 태평양에서 엄청난 희생이라는 대가를 치르게 되된 것이다.
일본은 독일, 이탈리아와 체결한 3국동맹을 체결하고, 3국 동맹의 체결을 전후하여 만주사변과 중일전쟁에 이어서 본격적인 남방공략 차원에서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를 침공하였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미국은 일본의 재미자산을 동결시켰으며, 영국, 프랑스, 캐나다, 포르투갈, 네덜란드가 이에 동참했다. 이어서 미국은 8월 2일에 일본에 대한 석유금수조치를 취함으로서 일본 군사력의 원천을 봉쇄하였다. 이후 일본은 실질적으로 전쟁을 피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를 놓치고 나서 결국 태평양전쟁을 발발했다. 일본군은 1941년 12월 8일 진주만 기습공격에 성공한 이후 6개월 동안 승승장구했지만, 1942년 6월 5일부터 사흘 동안 치열하게 전개된 미드웨이 해전으로 태평양전쟁의 전세는 역전되었고 곧 패배하게 되었다.
군국주의 하에서 일본은 개전조약의 당사자임에도 불구하고 선전포고 없이 진주만을 기습 공격을 했다는 개전에 대한 국제법 절차의 위반을 행했을 뿐 아니라, 전쟁 중 포로에 대한 즉결처분, 고문, 학살 등 수많은 전쟁법 위반행위를 자행했다.(이창위, 2005 332) 그리고 일본 파시즘 체제의 집단주의 등은 가미카제 식의 공격을 만들어내었으며, 오키나와의 비극을 만들기도 하였다.
일본은 미국과 현격한 힘의 차이를 인정하고 개전을 피할 수도 있었으나 이러한 군국주의 사고에 휩싸인 군부세력으로 인해서 태평양전쟁이라는 극단적 인 외교정책을 시행하게 되었던 것이었다. 그리고 육해군은 합리성과 계획성보다는 정신주의에 의존하고 있었다. 따라서 무력보다는 정신력을 중시하고, 화력보다는 백병전을 중심으로 하였고, 공격도 정공법보다 기습작전과 같은 전략을 이용하였다. 이것은 무조건적인 전쟁, 무조건적인 전황 충성 등과 같은 비합리적인 정신주의에 의한 전쟁이었다.(구견서. 2004. 442)
태평양 전쟁의 또 다른 중요한 문제점은 태평양 전쟁에 있어서 일본의 상징이자 군의 통수권자인 천황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위치였다는 것이다. 천황은 그러한 위치임에도 불구하고 우유부단한 태도를 취하여 전쟁을 방지하지도, 종전하지도 못하였고, 종전 후에는 전쟁책임이 추급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문제가 되고 있다.
끝으로 태평양전쟁을 기점으로 하여 일본외교에 있어서 국제주의와 아시아주의 외교이념을 분류하면서 글을 마치도록 하겠다.
국제주의
아시아주의
현실주의
전전
메이지정부 지도자(伊藤博文, 井上馨, 岩倉具視, 大久保利通)
전전
1930년대 일본 군부와 이들과 결탁한 민간우익세력(日本孟主論)
전후
보통국가론(小澤一郞, 中曾根康弘)/ 현 일본정부의 신보수주의 외교(小泉純一郞)
전후
극우보수주의자(石原愼太郞)
자유주의
(이상주의)
전전
1920년대 경제외교(幣原喜重郞)
전전
민권파를 중심으로 한 이상주의적 아시아주의자(아시아連帶論)
전후
요시다외교 (吉田茂, 通商國家論)/탈냉전기국제협조주의자(宮澤喜一,船橋洋一)
전후
전후동아시아경제협력주의자
참 고 문 헌
박한규(경희대국제지역학부교수). 2004. “메이지(明治維新)유신이래 일본외교이념의 흐름(1868~1945): 아시아주의와 국제주의를 중심으로”, 『국가전략』2004년 제10권 1호(5. 대아시아주의의 등장과 태평양전쟁으로의 길(1931년~1945년))
비즐리(W.G. Beasley)저. 김석근 역. 1997. 『일본근현대정치사』을유문화사.
이창위. 2005. 『(우리의 눈으로 본)일본제국 흥망사』궁리.
이리에 아키라(入江昭)저. 이성환 역. 1993.『 일본의 외교』푸른산.
마루야마 마사오(丸山眞男)저. 김석근 역 1997. 『현대정치의 사상과 행동』한길사.
오카 요시타케 저. 장인성 역. 1996. 『근대일본정치사』소화.
구견서. 2004. 『일본 민족주의사』논형.
군사정보 편집부, 2001,『진주만공격대』군사정보.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07.06.29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73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