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7년 경제 위기 이후 한국의 계급구조 변화-노동자 계급을 중심으로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김영삼 정부와 신자유주의
2. IMF시절 김대중 정부의 선택
3. 비정규직 노동자의 증가 추이
4. 사업체 규모별 임금격차 추이
5.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 노동시간 대비
6. 노동자간 소득격차 유형 분석
7.기업규모별 종사상 지위별 구성비
8. 분 석
9. 더 생각해 볼 사항
10. 경제활동인구
11. 상시 근로자의 변화추이
12. 임시근로자의 급증
13. 성별 고용 형태별 임금근로자 규모 변화
14. 상용근로자- 남자와 여자의 비율
15. 임시근로자-남자와 여자의 비율

본문내용

◈ 한국형 신자유주의를 주창한 김영삼 정부의 ‘세계화’
· 장기적인 마스터플랜의 부재와 급조된 프로그램으로
학계의 논란이 있기는 함
◈ 비정규직 노동자의 비극의 씨앗으로 여겨지는 96년 노동 법 개정
·노동자의 불안정한 고용상태를 심화시킴
·당시의 분위기(동아일보 발췌)
‘노동계의 경악과 분노!!’
‘재계의 즐거운 표정관리?’
IMF 체제 하에서 사실상 경제 주권을 넘겨주게 됨
·경제위기와 신자유주의적(IMF 체제) 구조화의 압력
·초국적 기업들의 합병·인수, 리엔지니어링, 다운사이징 등의
구조조정
·노동인력의 유연성 확보 수반
노동자간의 분화 심화
·정규직, 비정규직 간의 경제적 격차가 커짐
·노동인구 중 비정규직의 비중이 커짐기업의 규모에 따른 소득격차
:대기업 직원일수록 더 많은 임금을 받음
2)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차이
:비정규직 노동자의 임금이 정규직의 50%정도밖에
미치치 못함
이는 단순히 임금을 기준으로 한 분류로써
사회보험 및 노동조건을 적용시키면 그 격차는
매우 커지는 경향이 있음
  • 가격1,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7.07.04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4190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