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인로의 파한집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인로의 파한집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이인로(李仁老)의 파한집(破閑集)
<목 차>
Ⅰ. 파한집이란?

Ⅱ. 한문학의 정의

Ⅲ. 이인로
1. 이인로의 생애
2. 이인로의 문학관

Ⅳ. 파한집
1. 파한집
2. 본문 연구(작품을 중심으로)

Ⅴ. 이인로와 이규보
1. 이인로
2. 이규보
3. 과거에 묶인 이인로, 내달리는 이규보

Ⅵ. 파한집의 의의

<참고문헌>

본문내용

같은 집안의 성격과 무관치 않을 것이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성장한 이규보에게 문벌귀족에 대한 적대의식, 나아가 강한 현실지향성은 당연한 것이었다. 서로 다른 사회적 배경을 지녔던 이인로와 이규보의 충돌, 그것은 단지 개인의 문제가 아니었다. 그것은 구 귀족과 신흥사대부의 충돌을 상징하는 것이었다.
2. 이규보(李奎報)
답습 넘어 새로운 뜻을 표현 현실 지향적 '新意'를 중시 신흥세력의 자신감 보여
●이규보는? 1168년에 나서 1241년에 별세했다. 막 서울로 진출하기 시작한 중소지주 집안 출신으로 어려서부터 기동(奇童)이란 별명을 얻을 정도로 재주가 있었다.
백운거사(白雲居士)라는 호, 삼혹호선생(三酷好先生)이라는 별명이 말하듯 두주불사, 활달한 시풍으로 당대를 풍미했다. 또 침입한 몽골군을 진정표(陳情表)로 물리칠 정도의 문장가였다.
젊어서는 민중의 참상을 고발하는 시를 쓰기도 했지만 명종 20년 문과에 급제해 관직에 나간 후 최충헌의 환심을 사서 출셋길에 오르면서 현실 비판이 약해진다. 백운소설(白雲小說), 동명왕편(東明王篇) 등 그의 작품은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에 모두 정리돼 있다.
이들의 라이벌 관계를 잘 드러내는 것이 문학창작 방법론이다. 최자(崔滋)는 ‘보한집(補閑集)’에서 이렇게 말했다. 이인로는 “나는 문을 닫고 들어앉아 황정견, 소식 두 사람의 문집을 읽은 뒤에 말이 굳세고 운이 맑은 소리를 내게 되었으며 시 짓는 지혜를 얻었다”고 했는데, 이규보는 “나는 옛 사람을 답습하지 않고 신의를 창출했다”는 것이다.
이를 두고 세상 사람들은 두 사람이 들어간 문이 다르다고 오해하고 있지만 사실은 같은 문으로 들어가 다른 문으로 나왔다는 것이 최자의 생각이었다. 옛사람의 문장과 뜻을 읽고 배우는 것은 같지만 이인로는 옛사람의 문장과 문체를 갈고 닦아 자신의 말처럼 자연스럽게 나오는 상태를 지향했고, 이규보는 답습을 넘어 생경하더라도 새로운 뜻을 표현했다는 것이다. 여기서 최자가 지적하고 있는 문이 바로 ‘용사(用事)’와 ‘신의(新意)’라는 다른 문이다.
본래 한문학은 정해진 틀이 있는 규범적 문학이기 때문에 용사 없이는 시를 창작할 수 없다. 하지만 용사만으로 창작의 소임을 다했다고 할 수도 없다. 규범적 한시에서나 자유로운 현대시에서나 새로운 뜻의 표현, 새로운 의미의 발견은 시의 당연한 이상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인로가 용사만이 아니라 신의를 말했고, 이규보가 신의만이 아니라 용사를 언급했다는 주장은 틀린 것이 아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이인로가 용사를 강조하고 이규보가 신의를 중시한 차이를 무의미하다고 할 수는 없다. 중요한 것은 들어간 문이 아니라 나온 문이고, 나온 문의 차이야말로 그들의 정치적 위치나 세계관의 차이이기 때문이다.
이규보가 친구 전이지(全履之)에게 보낸 답장에서 “소동파의 시를 읽고 좋아해서 해마다 과거의 방이 나붙은 뒤에 사람들이 모두 올해에 또 서른 명의 동파가 나왔다”고 떠든다고 했듯 당대의 주류 시풍은 소동파 따라가기였다. 이인로 역시 ‘보한집’에서 “문을 닫아걸고 깊이 틀어 박혀 황정견ㆍ소동파를 읽은 후에야 말이 힘차고 운이 또랑또랑해져 시를 짓는 삼매를 얻었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규보는 소동파 본받기를 일삼고, 또 그것을 자랑스러워하는 당대의 시풍이 탐탁치 않았다. 그래서 이규보는 시는 뜻을 표현하는 것이 가장 어렵고 말을 꾸미는 것은 그 다음인데 재능이 부족한 사람들이 말을 꾸미는 일에만 공을 들인다고 비판했던 것이다. 이규보는 용사에 대해 글 도둑이라는 말까지 서슴지 않았다.
3. 과거에 묶인 이인로, 내달리는 이규보
용사와 신의, 두 창작방법론은 적어도 이들의 시대에는 방법 이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이들 두 사람에게 그것은 그들이 속한 세계를 표현하는 방식이었다. 현실을 부정하면서도 관직을 위해 자기검열을 하지 않을 수 없었던 구 귀족 이인로가 보수적 용사에 머무를 수밖에 없었다면 현실을 긍정하면서 자신 있게 내달리던 신흥 사대부 이규보는 신의라는 칼날을 휘두를 수 있었던 것이다.
두 라이벌의 대결은 어쩌면 이미 승부가 결정되어 있는 한 판이었다. 어느 세계에서나 구세대는 신세대에게 밀리기 마련이다. 더구나 구세대가 새로운 현실에 대안을 제출하지 못할 때 패배는 결정적일 수밖에 없다. 두 중세 지식인을 부딪치게 했던 용사와 신의에 대한 우열을 논하기는 쉽지 않다.
그것은 해결된 문제가 아니라 여전히 지속되는 우리 시대의 문제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두 사람의 시대에 있어 우열은 분명했다. 이인로와 그의 시대가 이규보와 그의 시대에 밀려날 수밖에 없었던 것은 단지 이인로가 나이가 많았기 때문만은 아닐 것이다
Ⅵ. 파한집의 의의
지금까지 <파한집>이 나올 수 있었던 당시의 사회문화적 배경부터, 저자의 생애문학세계를 살폈다. 그 후 그의 아들 세황이 쓴 발문의 내용으로 <파한집>의 간행 내력, 저술 의도, 제목의 의미를 짚으며 <파한집>을 개관하고, 그 속에 드러난 이인로의 문학관도 알아보았다.
<파한집>은 그 이름으로 볼 때에는 심심할 때 파적(破寂)삼아 읽을 만한 저술인 것처럼 느끼기 쉽지만, 실은 우리나라 최초의 비평문학인 것이다. 그러므로 <파한집>의 등장은 비평문학의 시조적(始祖的) 입장에서 그 문학사적 의의가 크다.
비록 질적으로 후세의 것에 비하여 손색이 있다고 하더라도, 이를 출발점으로 하여 최자의 <보한집>, 이규보의 <백운소설>이 나왔고, 고려 말에 이르러서는 이제현의 <역옹패설>이 나타나 고려의 비평문단에 빛을 발하게 하였다. 이어 조선에 들어와서는 조선 초 <동인시화>가 조선 비평에 서두를 장식한 이후 많은 평론집이 만들어졌다. 이런 의미에서< 파한집>은 고려비평의 발아일 뿐 아니라, 한국비평문학의 시초로서 후세 비평문학에 큰 영향을 끼쳤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인터넷 사이트
이인로-디지털한국학 http://www.koreandb.net/KPeople/KPShow.asp?ID=0010381
구인환 역, 2005, 파한집, 신원문화사
김풍기 역, 2006, 고전문학사 라이벌, 한겨레신문사
정병현, 2006, 고전문학의 향기를 찾아서, 돌베게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7.07.19
  • 저작시기2007.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15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