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일본의 대표적 고전소설을 통한 양국 문화의 이해-춘향전과 츄우신쿠라(忠臣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국민문학으로서의 『춘향전』과『츄우신쿠라』

2. 『춘향전』과『츄우신쿠라』의 줄거리 비교

3. 작품 내에 나타난 양국의 문화적 특성 비교

4. 전 근대문학으로서의 <츄우신쿠라>

5. 전 근대문학으로서의 <춘향전>

6. 두 작품의 비교를 마치며

본문내용

■ 한 시대의 고전 그 이상의 의미
- 오늘날에도 살아 있는 명작으로 생명력을 유지
■ 작품의 성립 연대와 사회 배경이 유사
■ 유교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는 점
탐관오리 변학도의 부임과 춘향에 대한 수청 요구
[관탈민녀 설화]
■「장(將)」 - 충의 개인성은 없고 집단성을 표출시키는 무사들의 말
- 문인의 붓이나 무사의 칼에 대응하여 상인계급을 상징
■ [춘향전]
신분간 경계가 엄격했던 조선 사회의 폐쇄성에 대한 반발
→ 신분간의 장벽을 넣어 인간과 인간으로 만나고자하는 민중의 욕구
→ 춘향은 기생으로 개인의 영달과 신분상승에 성공
→ 춘향은 모든 시련을 딛고 일어서 억눌린 민중에게 카타르시스와 희망을 보여준 여성영웅과 같은 존재
■ [츄우신쿠라]
치솟는 물가에 시달리며 막부에 대한 불만과 반감이 쌓여 있던 시기
→ 조닌을 중심으로 하는 근세 도시서민은 신분상의 차별과 부당한 억눌림을 당함
→ 그들은 자신들을 억울하게 당한 약자인 아코 로닌들과 동일시하는 경향
→ 아코 의사의 쾌거는 당시 서민들의 불만을 해소하기에 충분한 것
→ 진정한 무사 정신의 회복, 서민들의 입장과 시각이 반영

키워드

  • 가격1,8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7.07.27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4227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