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 코바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코바에 다녀와서

본문내용

서는 FUJINON 20배,50.66배 렌즈에 BTS 헤드를 사용합니다.
일본에서 만든 lkegami은 사람의 피부색이 가장 잘표현 하기에 ENG,EFP에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요즘 방송렌즈의 부피가 작아지면서 성능은 업데이트가 빨리되는것입니다.
또한 그림은 이쁘게 보이기 위해서는 표준렌즈를 사용하다가 어안렌즈를 사용하는경우도 많습니다.
모델명: PANASONIC AG-HPX555(500동일기종) DVCPRO 메모리카드 카메라 레코더
ㆍ제품제원 :
● 1080/60i, 50i, 30p, 25p, 24p; 720/60p, 50p, 30p, 25p, 24p; DVCPRO50, DVCPRO, DV
● 뛰어난 low-light 성능 및 고감도 F10
● 다양한 촬영 상황을 위해 구성된 시네감마를 포함한 8가지 감마모드
● AJ-HDC27 VariCam 카메라와 같은 배리어블 프레임 레이트 기능으로 12p에서 60p 사이의 11 단계에서 패스트-슬로우 모션효과를 위한 언더크랭킹/오버크랭킹 가능
● 클립 섬네일 뷰를 통해 P2 콘텐츠로 즉시 접속하며 합스왑, 루프레코딩, 샷-마킹, 프리-레코딩, (3/2 HD, 7/2 SD), 원-샷, 인터벌 기능 등을 갖춘 선진 레코딩 기능 구비
● IEEE 1394, USB 2.0, HD SDI/SDI, genlock, SMPTE 타임 코드, 개별 TC-IN/TC-OUT 터미널, 컴포지트 비디오, 아날로그 컴포지트, 4개 오디오 XLR 입력
● 4-포지션 Neural Density 필터
● 22W 저전력 소비 (3.5" LCD 모니터 1.5" 뷰파인터 사용 시)
● 카메라 후면에 3.5" 컬러 LCD 스크린 (이미지 플립 기능) 장착
● 색 수차 보정 기능으로 주로 렌즈의 색 수차현상으로 인한 입력에러를 자동 보정하고 주위 블러(Blur)를 최소화
● AJ-RC10G 리모트 콘트롤 (10-pin RCU 터미널을 통해)
ㆍ제품설명
● AG-HPX500 카메라는 숄더형 타입으로 2/3 인치 프로그래시브 3-CCD, DVCPRO HD, HD/SD 멀티포맷, 배리어블 프레임 레이트, 4개 개별 오디오 채널 등 동급최강의 고품격 성능으로 무장된 장비입니다. 게다가 초고속 IT 워크플로우, 움직임 없는 부분의 신뢰성
까지 거친 환경에서 더욱 빛을 발하는 P2 솔리드 스테이트 레코딩의 뛰어난 성능을 제공합니다.
● AG-HPX500은 HD/SD 포맷 컨버전을 동시 처리하는14-비트 A/D 컨버전, 190비트 프로세싱의 최고 성능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SP) 기능이 있습니다.
뉴스, 독립영화, 기업 비디오, 스포츠 등 다양한 범위의 응용을 위해 비디오 포맷의 스펙타클한 이미지를 확보합니다.
● AG-HPX500은 32이상 HD, SD 포맷으로 레코딩하며 제작 환경에 유연성을 더합니다.
● AG-HPX500은 4개의 P2 슬롯이 있어 파나소닉의 16GB P2 카드를 이용해 DVCPRO HD 68분; DVCPRO 50 136분; DVCPRO 272분 레코딩할 수 있습니다.
* 신기술 동향
- UWB근거리 초광대역무선통신인 UWB(Ultra Wide Band)
UWB는 기존 무선국 운용에 간섭을 주지 않을 정도의 매우 낮은 출력과 500MHz 이상의 초광대역 주파수를 이용하여 10m이내 아주 근거리에서 수백 Mbps의 초고속 정보전송이 가능한 기술로 가정내 PC, 휴대폰과 TV 등 A/V기기 간의 어지러운 전선을 제거할 수 있어 향후 디지털 홈네트워크의 핵심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 주파수대는 3.1∼4.8GHz(Low Band), 7.2∼10.2GHz(High Band) 2개 대역으로 정하였으며, 저주파수대(Low Band)에서는 기존 이용 주파수 및 차세대이동 통신 주파수와의 간섭을 고려, 간섭회피기술(DAA)을 적용한 UWB 시스템만이 사용가능하며
▲ 허용 출력은 -41.3dBm/MHz이며
▲ 실내·외에서 통신용도로 허용한다고 밝혔다.
※ DAA: Detection And Avoid(간섭회피기술)
다만, 저주파수대(Low Band)에서의 간섭회피기술(DAA) 적용은 차세대이동통신용 주파수 결정과 이의 표준화시기 등을 감안하여 4.2∼4.8GHz(600MHz폭)에서는 DAA 기술 적용을 2010년 6월까지 유예하기로 하였다.
현재 국내에서 개발된 200Mbps의 정도의 UWB칩만 으로도 가정내 홈서버로부터 디지털TV로 여러채널의 HD콘텐츠 전송이 가능하며, 600Mbps급 이상의 UWB 개발이 완료되는 2008년경에는 한층 더 고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 UWB 개발동향
ㅇ 국외는 미국, 이스라엘 등이 개발을 완료하고 상용화를 추진 중에 있으며, 국내에서는 산업체와 같이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서 MB-OFDM방식의 UWB를 세계 최초로 개발하여 2005년 12월말 DTV전송시험 시연에 성공 하였으며, 향후 2008년까지 전송속도를 현재 200Mbps에서 600bps∼1Gbps 급의 UWB칩을 개발할 계획임
※ MB-OFDM: Multi Band OFDM 방식
MMS(멀티모드서비스)
HD방송 한 개의 채널로 구성된 6㎒ 주파수 대역을 쪼개 HD방송과 SD방송, 오디오, 데이터 방송 등을 함께 내보내는 서비스다.
기존 채널 한 개의 대역폭에 여러 채널이 송출되는 것이기 때문에 시청자 입장에서 보면 MBC가 MBC-1, MBC-2 등 여러 개로 송출되는 셈이다.
MMS를 위해서는 기존 HD방송의 해상도가 약간 변형된다. 기존 HD방송은 1980x1080i(인터레이스)의 해상도, 19Mbps의 데이터 전송속도를 사용하는데 MMS를 시작하면 HD방송의 해상도가 1280x720p(프로그레시브), 데이터 전송속도는 13Mbps로 바뀌는 것이다.
특히, 이번 KOBA 2007은 DMB, IP-TV 등 최근 본격적으로 서비스가 되고 있는 방송서비스의 흐름을 반영한 “신기술 테마관”을 대서양관에 신설하여 KT, Qualcomm, 픽스트리, 네스테크놀로지, 디티브이인터렉티브 등 IP-TV, DMB, 휴대방송기술을 중심으로 한 기술정보와 제품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었으며,
그에 부합되는 세미나도 있어서 많은 정보를 얻는 방송의 장이였습니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8.04.29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01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