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케이션 연구 방법론 - 설문자와 피험자의 성차가 응답 결과의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론(Introduction)
1. 연구문제의 제기
2. 시안적 연구문제의 서술
3. 관계문헌의 조사연구
4. 본 연구문제의 서술
5. 검증할 가설의 설정
6. 중요 술어의 정의

Ⅱ. 연구방법
1.연구계획 또는 설계
2. 자료의 수집
3. 수집된 자료의 검토 및 분석

Ⅲ. 연구결과
1. 가설들의 검증결과

Ⅳ.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
1. 연구결과에 대한 해석 및 논의
2. 연구상의 제한점

Ⅴ.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 관건이었는데 특히 호감도라는 가외 변인의 통제와 조사자의 성별이라는 독립변인의 극대화가 연구를 수행하는데 있어 가장 큰 제한이었다.
우선 호감도를 통제하기 위해 호감도 지수의 측정 방법을 찾아내어 이를 이용해 호감도가 평균인 남녀 각각 2명을 선정하였다. 하지만 호감도 측정을 위해 동원된 인물이 남녀 각각 6명에 불과해 정말로 호감도의 영향을 배제할 수 있었는지 또한 사진을 통한 호감도와 실제 조사 수행시의 호감도가 달라질 수도 있다는 점도 무시할 수 없었다.
다음으로 조사자의 성별이라는 독립변인을 극대화해야 하는데 같은 성별을 지닌 두 명의 조사자가 설문조사자로 참여함으로써 이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하지만 이 역시 피험자 입장에서 그들을 단지 설문자로만 인식했는지 아니면 여성이나 남성 설문자로서 성별에 주목했는지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었다는 점이다.
세 번째로는 시간상의 제약이 있었다. 3주간의 짧은 기간에 설문조사자의 선정과 훈련이 이루어 져야 했고 전문적으로 설문조사에 대한 교육을 받거나 훈련을 받은 사람들이 아니었기 때문에 설문조사 시 조사의 객관성을 담보하기 힘들었다. 그 뿐 아니라 피험자 집단을 서울대내의 학생들로 제한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시험기간에 가까워져 실험이 이루어져 피험자의 응답 성실도에 있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생각된다.
Ⅴ. 결론(Conclusions)
1. 연구문제에 대한 결론(Findings and conclusions)
우리는 연구문제를 “‘설문자의 호감도를 통제할 경우’ 설문자와 피험자의 성차가 응답 결과의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가?”로 정하고 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가설을 세우고, 연구방법을 정하고, 표집을 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주가설의 검증을 위해 세웠던 부가설 4개중 2개는 긍정되고 2개는 부정됨으로써 연구문제에 대한 확실한 결론을 내리기는 힘들게 되었다. 특히 설문 문항이 디지털 카메라에 관한 주관식 부분과 라이프 스타일이라는 객관식 부분으로 크게 나누어져 있었는데 디지털 카메라가 남성적 기기라는 사회적인 기제가 작용해 여성 설문자로 하여금 솔직한 답변과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 내지 못한 측면이 있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성별과 무관한 라이프 스타일에 관한 문항에 있어선 조사자의 성별이 피험자의 설문 태도에 영향을 미쳐 설문의 신뢰도를 높게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설문자의 성별이 피실험자로 하여금 답변의 성실도에 강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엄밀히 증명하진 못했지만 설문 내용의 보완과 더욱 체계적인 연구 설계를 바탕으로 그에 관한 결론을 밝혀볼 필요가 있음을 느끼게 해주는 연구였다.
2. 앞으로의 타연구를 위한 제언(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막연히 설문조사자의 성별이 피험자의 응답 태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생각을 하고 있었지만 설문을 통해 직접 조사하여 가설들의 성립 여부를 직접 확인할 수 있었던 의미 있는 연구 과정이었다.
하지만 몇 가지 아쉬운 점이 있다면 우선 표본 서베이 방식을 진행함에 있어서 표본의 크기가 작았고 대상이 ‘서울대학교 학생’으로 제한되어 일반적인 집단이 아니었다는 점이다. 또한 성별이 응답의 성실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측정도구의 부재로 그에 관한 개발이 절실하다는 점이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자유설문에 있어 피험자가 작성한 어절로 응답의 성실도를 파악했으나, 내용분석연구를 통해 단지 설문의 양만이 아닌 질적인 측면에 관한 연구 또한 진행되면 보다 의미 있는 연구가 되리라 생각한다.
그리고 설문의 내용 중 남성적 기기라는 인상을 주는 디지털 카메라에 관한 내용이 포함됨으로써 여성 피험자의 솔직한 답변을 이끌어 내지 못했기 때문에 다음 연구에서는 피험자의 성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만한 내용의 설문을 작성하여 실험하면 더욱 유의미한 결과가 나오리라 예상해 본다.
이번 연구는 설문지 연구에 있어서 설문자 성별에 따른 영향을 알아보았다. 그러나 일상생활에서는 전화를 이용한 설문이나 마케팅이 더 일반적이다. 앞으로의 연구에 있어서 구두 설문에서도 성별이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금번 연구에서는 호감도를 가외변인으로 통제했지만 호감도를 독립변인으로 조사한다던지 호감도 외에 설문조사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들을 이용한 실험을 시도한다면 앞으로의 타 연구 방법론에도 유의미한 연구가 될 것이다.
참고문헌
나은영, 『사회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인간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 서울: 한나래, 2005.
차배근, 『사회과학연구방법』, 서울: 세영사, 2004.
차배근, 『설득 커뮤니케이션』,서울: 서울대 출판부, 2002.
Richard J. Gerrig & Philip G. Zimbargo, 『심리학과 삶』,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7.
동아 새국어사전 2006년 판
정명선&김재숙, “지각된 얼굴 매력성과 의복 적절성이 호감도, 특질 판단을 매개하여 과제 수행능력 판단에 미치는 영향”, 『한국복식학회』제51집 8호(2001):77~91
천현숙&리대룡, “라디오 광고에서 언어 힘의 설득 효과와 정보원 성의 영향”,『한국마케팅과학회』제16집 제1호 (2006):93 ~ 116
Carli. L. L. “Gender, language, and influe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hchology 59(5),(1990).
Holtgraves, T. & Lasky, B. “Linguistic power and persuasion”, Journal of language and Social pshchology 18(2),(1990).
*목 차
I. 서론(Introduction)
1. 연구문제의 제기
2. 시안적 연구문제의 서술
3. 관계문헌의 조사연구
4. 본 연구문제의 서술
5. 검증할 가설의 설정
6. 중요 술어의 정의
Ⅱ. 연구방법
1.연구계획 또는 설계
2. 자료의 수집
3. 수집된 자료의 검토 및 분석
Ⅲ. 연구결과
1. 가설들의 검증결과
Ⅳ.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
1. 연구결과에 대한 해석 및 논의
2. 연구상의 제한점
Ⅴ. 결론
*참고문헌

추천자료

  • 가격1,9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07.10.18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24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