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르켐과 막스가 바라본 학교교육과 교육사회학에 미친 영향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뒤르케임과 마르크스의 사회학적 시선

뒤르케임과 마르크스가 교육사회학에 미친 영향

뒤르케임과 마르크스가 학교교육을 바라보는 관점

본문내용

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러한 경향이 자본의 지배력 강화라는 측면과 함께 실현되고 있는 방식은 혐오스럽다. 합리적인 사회적 상황이라면 모든 아동은 9세부터 생산하는 노동자가 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모든 일할 수 있는 성인도 보편적인 자연법칙에 따라 노동에서 배제되어서는 안 된다. 즉 그들은 일해야만 먹을 수 있다. 단, 그들의 노동은 머리로만 하는 것이 아니라 손을 통한 것이어야 한다.” ‘교육학의 거장들2- 마르크스’ 한스 쇼이얼 p.56
이상의 글에서 알 수 있듯이 마르크스는 9세에서 12세 사이의 아이들은 작업장에서 노동이나 가사활동을 두 시간씩 해야 하고 13~15세 아이들은 4시간, 16~17세 아이들은 6시간 노동을 해야 하지만, 사회가 프롤레타리아 계급아동과 청소년을 보호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교육학의 거장들2- 마르크스’ 한스 쇼이얼 p.56
결론
결론적으로 기능이론은 사회통합을 위한 교육의 기능을 강조한 반면, 갈등이론은 자본주의 사회의 학교교육에 대한 비판에 주력하여 불평등의 정당화와 지배문화의 주입을 공격하였다. ‘교육사회학’ 김신일 p.98
그러나 기능이론은 합의와 통합을 지나치게 강조한 나머지 학교교육이 순기능만을 수행하며, 사회구성원에게 동등하게 가치로운 것처럼 인식시켜 교육선발이 능력 본위로 이루어진다는 기본전제 때문에 선발과정의 귀속적 측면을 소홀히 하였다. 반면에 갈등이론은 학교와 사회의 모순과 기본적인 문제를 드러내는 데 매우 강력하다. 그러나 갈등과 세력경쟁을 지나치게 강조한 나머지 교육이 사회적 결속력을 높이고 사회적 공동체의식을 높이는데 기여하는 점을 과소평가하고 있다. ‘교육사회학’ 김신일 p.99
하지만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두 이론은 주력해온 연구주제가 교육의 재생산기능에 관한 것과 거시적인 입장에서 접근한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참 고 문 헌
「사회는 무엇으로 사는가? 뒤르켐&베버」 김광기
「교육사회학 총론」 이종각
「교육사회학」 공석영, 김정호 공저
「사회주의 사상사」 G.D.H.코올
「소피의 세계」 요슈타인 가아더
「교육사회학의 이해와 탐구」 오욱환
「뒤르켐」 앤서니 기든스
「교육사회학」 송병순, 임종익
「교육사회학」 김신일
「교육학의 거장들2」 한스 쇼이얼
「맑스엥겔스저작선」
「사회학 방법론에 있어서의 연관성-에밀 뒤르케임과 막스 웨버의 비교연구」 석현호
「에밀 뒤르켐을 위하여 -여성, 축제, 인종, 방법」 김종엽
「공산당선언」칼 마르크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11.02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48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