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화 사회와 교육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정보화 사회
2. 정보화 사회의 특징
3. 장점
4. 문제점
5. 정보화 사회로 인해 학교에서 나타나는 문제점

본문내용

다. 학생들이 서로 다른 아이디어와 인식, 정보처리 및 판단방식들을 내어놓고, 이것이 충돌하면서 새로운 아이디어가 나오게 된다. 교사는 이때 그 과정을 잘 조절하는 역할을 해서, 학생들이 정보 사회에서 정보를 잘 통제하고, 창조적 지식과 혁신을 끌어날 수 있는 지식노동자로 양성해내야 한다. 또한 교사는 자기 주도적 학습을 하는 개개인의 학생들의 '보조자'로서의 능력을 갖춘 '권위자'이어야 한다.
- 학교의 업무분장 재구조화
; 학습자 개개인의 보조자라는 업무는 교사가 정보전달자로서 직접 정보를 가르치는 것보다 훨씬 더 고차원의 능력이고, 업무량도 과다할 수 있다. 교사가 전자우편, LAN, 팩스, 무선전화 등의 디지털 제품을 활용하여 빠른 속도로 많은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학교는 교사들의 작업환경을 조성해 주어야 한다. 또한 교사들도 팀플레이를 해야 한다.수많은 정보 가운데 교육에 적합한 정보들을 선정하고, 웹망을 짜고, 수시로 새로운 정보를 재통합하며, 학생들의 교육에 이용할 수 있도록 가공하며, 학생들이 정보를 교육목적에 맞게 쓰도록 조언하는 역할들을 함께 수행하는 공동체 조직을 이루어야 한다. 전통적인 교사업무 분장에서는 정보화 사회의 물결이 공포로 다가올 가능성이 높다. 그것을 교사들이 신나는 도전으로 느끼고 극복하기 위해서는 학교라는 조직 자체가 정보를 다루고 지식을 유기적 망으로 짜는 공동체로 거듭나야 한다.
ㄹ. 1차 집단적 차별화와 3차 집단의 포용
- N세대 학생들은 사이버 공간에서의 화려한 디지털 영상에 넋을 잃고 3차 집단이 주는 매력에 흠뻑 졌어있지만, 학교나 가정에서는 큰 매력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 학교는 공세적으로 N세대에게 다가가서 3차 집단과의 경쟁에서 살아남아야 한다. 학교는 3차 집단이 갖고 있는 약점을 보완하고 강점의 대안적 체제를 구축해야 생존할 것이다. 3차 집단에서는 얼굴을 맞대는 직접적 상호작용이 배제되어 있다. 그런데 학교가 현재처럼 다인수 학급에서 공식적인 인간관계를 유지하는 형태를 계속한다면, 학교라는 공동체는 멀티미디어 체제를 도입하여 정서적 유대를 도입하려 애쓰는 3차 집단인 사이버 공동체에게 자리를 내줄 것이다. 그러나 학교가 소그룹 활동을 강화하고, 학교가 교사와 학생, 그리고 학생간의 대면적 상호작용을 심화시키고 증대시켜 나간다면 학교는 3차 집단이 지니지 못한 정서적 유대와 신뢰성이라는 측면에서 학생들에게 매력으로 다가갈 것이다.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11.05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54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