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에 대하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Abstract

2. Introduction
1)동물의 혈관계
2)사람의 혈관계
3) 심장
4) 심장의 박동
5) 심장의 자극전도계
6) 심장박동의 조절
7) 혈관

3. Meterials & Methods

4. Data & Result

5. Discussion

본문내용

초 후에 심장박동수를 측정한다. 다시 링거엑으로 세척한 후 아드레날린 용액을 5방울 뿌리고 10초 후에 심장박동수를 측정한다. 링거엑으로 세척 한 후 심장박동수를 측정한다. 이때 링거액이 37도이기 때문에 정상온도의 심박수를 측정한것이다. 그리고 0도의 링거액을 뿌린 후 심박수를 측정하고, 다시 37도의 링거액을 뿌린후 심박수를 측정하여 기록한다.
이 실험에서 주의해야 할 사항은, 심장이 멈출 징조를 뿌리면 아드레날린 용액을 뿌려서 인위적으로 심박수를 늘려야 한다. 또 사용하는 용액들은 모두 37도로 체온과 같은 온도를 유지해야 한다. 신경자극 전달물질을 뿌렸을 때 심장 박동수의 변화가 잘 관찰되지 않을 때에는 1cc 주사기를 이용하여 물질을 직접 심장에 주사해야 한다.
4. Data & Result
조작
정상온도
adrenaline
acetylcholine
정상온도
저온
정상온도
심박수
(회/분)
150
168
81
159
120
162
138
198
52
48
10
16
[Table 1. 조작에 따른 쥐의 심박수]
5. Discussion
이번 실험 결과로 신경자극전달물질과 온도가 심장박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 수 있었다. 아드레날린은 심장박동수를 증가시켰고, 아세틸콜린은 반대로 심장박동수를 감소시켰다. 온도를 낮추었을 경우는 심장박동수가 감소했다.
실험을 하기 위해 먼저 쥐를 마취시킨후 해부를 한다. 해부하는 과정에서 마취가 잘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쥐가 계속 움직이려 해서 마취제를 휴지에 묻혀와서 계속 마취를 시켜야 했다. 먼저 쥐의 가죽을 조심스럽게 자른 후 그밑의 피부조직을 내부기관에 손상을 입히지 않으면서 잘랐다. 갈비뼈를 잘라내니 심장은 폐와 함께 횡경막 위에 존재했다. 심장은 조그만 크기로 적갈색을 띠고 있었다. 쥐를 해부한 후 심장이 멈추기 전에 재빠르게 심장박동수 측정을 해야 했다. 1분씩 측정을 하면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기 때문에 30초 간격으로 측정했다.
쥐를 해부하자마자 심장박동수를 측정하니 150이었다. 실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아드레날린을 떨어뜨리고 10초수 심장박동수를 측정하자 심장박동수가 168로서 처음의 박동수보다 증가했다. 아드레날린은 교감신경이 흥분했을때 신경말단에서 나오는 물질이다. 교감신경이 흥분했을때 나타나는 현상중 하나가 심장박동수가 증가하는 것이다. 아드레날린을 떨어뜨린 후 다음 실험을 할 때 아드레날린을 씻어내기 위해 37도의 링거액을 첨가했다. 그런다음 아세틸콜린을 떨어뜨린 후 10초후 다시 측정하니 심박수가 81로 아드레날린을 첨가했을때보다, 그리고 처음의 박동수보다도 줄어들었다. 아세틸콜린은 부교감신경이 흥분할 때 나오는 물질이다. 부교감신경은 ‘안정’된 상태에 있을때 즉, 휴식을 취할때 흥분하는 신경이기 때문에 심박수가 느려지는 것이다. 처음 측정했을때의 심장박동수보다 느려진 것으로 보아 쥐가 해부될때 긴장해서 심장박동수가 약간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37도의 링거액을 첨가하니 다시 정상의 심박수로 돌아갔다. 저온의 링거액을 첨가하니 심장박동수는 120으로 정상의 박동수보다 느려졌으며, 다시 정상온도로 맞춰주니 정상의 심박수로 돌아갔다. 온도를 높였을때는 실험을 하지 않았는데 그 이유를 생각해 보았다. 심장을 비롯한 신체의 장기들은 모두 단백질로 되어있는데 고온에서의 심박수를 측정하기 위해 40도 이상의 링거액을 첨가한다면 단백질이 변성되어버려서 심장의 기능을 할 수 없을 것이다. 그래서 고온에서 심박수측정 실험은 하지 않은 것이다.
우리조의 데이터는 두 번째 데이터인데 아드레날린을 첨가하고 다시 아세틸콜린을 첨가한 실험까지는 제대로 데이터가 측정되었으나 쥐가 점점 생명이 끊어져가서 심박수가 계속 줄어드는 양상을 보였다. 이렇게 심장이 멎어갈 때 아드레날린을 첨가했다면 다시 심장이 뛰었을텐데 실험을 할 당시 그 생각을 하지 못했다.
6.Reference
http://100.naver.com/100.php?id=6415
http://web.kyunghee.ac.kr/~health/health/11/17.html
http://web.edunet4u.net/~ourbody/4-c.htm
http://100.naver.com/100.php?id=727398
http://blog.naver.com/4263yy/6358149
일반생물학/ Neil A. Campbell/ 라이프사이언스 3판/ 2001/ p391-392, 396
High Top/ 서평웅 외/ 두산동아/ 1951/ p270-271, 190-191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7.11.28
  • 저작시기2005.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89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