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FID 응용과 사례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① RFID의 응용분야와 이용

② 국·내외 RFID 기술 동향 및 사례

③ 구체적 사례

④ 참고자료

⑤ 맺음말

본문내용

D의 활용 분야는 더 넓어질 수 밖에 없다.
SK Telecom이 추진하고 있는 택시안심귀가 서비스가 그 대표적인 예로 이 서비스는 택시 안에 부착된 기사의 면허증 등에 RFID 태그를 부착하고, 택시에 승차한 고객이 휴대전화로 이를 읽어 가족이나 친구에게 보내는 것인데 이 때 기사나 택시에 관한 정보는 물론 택시의 이동 경로 등도 SMS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S-Oil이 국내 정유업계로는 최초로 주유소에 무선인식시스템을 도입한다. S-Oil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전파식별) 관련 특허를 보유한 제이슨알앤디와 '무선인식주유소 시범사업 협약'을 체결하고, 올 하반기부터 최초로 RFID 기술을 주유소에 적용한 무선인식주유소 시범사업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번에 S-Oil이 도입하는 주유소 무선인식시스템은 고유의 정보를 내장한 RFID 태그를 이용해 태그 부착 차량이 주유소에 진입하면 자동으로 고객을 인식하게 된다.
이를 이용하면 주유소는 고객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서비스가 가능하게 되며, 차량에 혼유 주유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무선결제 단말기를 이용해 결제 및 포인트 적립도 가능하게 된다.
특히 주유대금 결제시 현금이나 신용카드 없이 차량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이용해 결제를 하고 고객이 직접 무선결제 단말기에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휴대폰 승인 과정을 거침으로써 결제의 안정성과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게 된다.
도입후 처음에 예상했던데로 무선인식시스템의 효과를 바탕으로 고객들에게 안전하고 차별화된 서비스의 제공을 할 수 있었고 그로인해 서비스에 만족한 고객들이 늘어남에 따라 도입전보다 매출이 크게 신장되는 효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③ 구체적 사례
- 은평 구립 RFID 도서관
RFID도서관은 바코드 대신 RFID 기술을 이용해 여러 권의 책을 손쉽게 관리할 수 있는 첨단 도서관을 말한다. 책에는 기존 바코드 대신 RFID가 부착된다. 국내에는 지난 2003년 5월 이씨오가 국내 최초로 은평구립도서관에 RFID 시스템을 설치한 이래 현재 국립중앙도서관, 국회도서관 등 70여개 RFID 도서관이 있다.
도서관 업무 중 가장 큰 골칫거리인 장서관리도 한층 편리해 졌고, 휴대형 RFID 리더를 단순히 스캐닝하는 것만으로 서적의 비치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바코드와 달리 RFID는 한꺼번에 한 개 이상의 태그를 읽는 다중인식 기능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RFID 시스템이 설치되면서 종전에 비해 업무효율은 최대 10배 이상 향상됐다는 게 일선 직원들의 반응이다.
◇ RFID 도서관의 좋은 점
RFID 도서관은 이용자의 편의성도 획기적으로 개선됐다. 이용자가 스스로 책을 대출하는 자가대출기 사용 실적이 80∼90%에 이르고, 자가 반납기 사용 실적은 45%에 육박한다.
우선 도서관 이용을 위해 도서관 이용카드 회원증을 추가로 만들 필요가 없다. 버스 및 지하철을 타기 위해 사용하는 스마트카드(교통카드)로 도서관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새벽에 일찍 나와 아침 잠이 많은 친구들을 위해 5개 이상의 좌석을 대량으로 선매(?)하는 이용도 불가능해 진다. 이 공간에서는 한 사람이 한 좌석밖에 확보하지 못한다. 도서관좌석 예약시스템이 통제하기에 가능한 일이다.
도서 대출을 위한 사람들이 많을 경우 ‘자가 대출기’에 스마트카드와 대출자료를 한꺼번에 올려놓고 쉽게 도서를 대출할 수 있다. 현금인출기(ATM)에서 현금을 뽑듯이 도서를 대출할 수 있다. 늦은 시간 퇴근하는 직장인들은 도서관 현관에 설치된 ‘자가반납기’를 통해 서적을 반납하고, 미리 예약해 놓은 자료도 ‘예약대출기’에서 찾을 수 있다.
◇ RFID 도서관 시스템 구성
RFID 도서관 시스템은 이용자 게이트웨이 안테나, 사서용 데스크톱 리더 & 라이터, 자가 대출기,예약 대출기, 스마트 서가, 자가 반납기, 장서 점검기 등으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게이트웨이 안테나는 자료실 주 출입구에 설치해, 자료의 무단반출 시 알람 및 경광 등 신호를 보내 도난을 방지한다.
◇ RFID vs 바코드
1) RFID 방식
- 동시에 약 20개까지 RFID Tag 인식이 가능, 여러 권 대출 및 반납시 한번에 인식 가능
- 도난 방지 기능이 내장되어 있어 대출 및 반납 처리시 자동으로 도난 방지 해제/설정이 가능함
- 무선 기술을 이용하므로 정확한 조준이 없어도 인식 가능하며 보이지 않아도 인식 가능
- 먼지, 오염 등에 강함
- Tag 복제가 불가능 (보안능력 우수)
- 10Cm~1.2m 이내의 감지거리
2) 바코드 + EM Tag 방식
- 책 마다 따로 스캐닝 해야 함
- 바코드를 스캐닝하여 대출 및 반납 처리를 한 후 별도의 도난방지 해제/설정을 해야 함
- 스캐너의 빛을 바코드 인쇄면에 정확하게 조준하여 인식해야 함
- 바코드 인쇄면이 훼손되면 스캐닝 불가능
- 한번 인쇄된 바코드는 재기록(갱신) 불가능
- 동일번호 입력으로 동일한 바코드 인쇄 가능 (보안성 취약)
- 근접거리에서만 인식 가능
④ 맺음말
이렇게 RFID를 이용한 응용분야는 우리가 상상할 수 있는 모든 것에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실제로 RFID 업체 관계자들의 고민거리는 낮은 원가에 높은 기술을 가진 RFID 태그와 인식기에 대한 기술적인 개발도 중요하지만, 어떤 분야에 어떤 목적으로 어떻게 응용할 것인가에 대한 아이디어를 만들어 내는 것이 더 큰 고민이라고 한다. 즉 기술적인 가치와 더불어 적용 모델을 만들어내는 것이 사업의 관건이 될거라 생각된다.
참고문헌
1] 월간 유비쿼터스 2007. 2.
2]“U-센서네트워크 구축 기본계획,” 정보통신부, 2004. 2.
3] ZDNet Korea ( www.zdnet.co.kr )
4] 도서관자동화 및 RFID전문 회사 이씨오 ( http://www.eco.co.kr/ )
5] http://blog.naver.com/osu563?Redirect=Log&logNo=90002541561
http://tong.nate.com/realnugul/16637581
http://blog.naver.com/ssy1177?Redirect=Log&logNo=100019550517
  • 가격2,3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7.12.26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47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