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후출혈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산 후 출 혈 ( Postbirth Hemorrhage )

1. 조기 산후 출혈 ( early postpartum hemorrhage )
1) 정의
2) 원인
(1) 자궁무력증 ( Uterine atony )
(2) 산도의 열상 ( Laceration of the birt canal )

2. 후기 산후 출혈 ( Late postpartum hemorrhage )
1) 정의
2) 원인
(1) 잔류태반 ( Retained placenta )
(2) 유착태반 ( Adherent placenta )
(3) 자궁퇴축부전 ( Subinvolution of the uterus )
3) 위험요인 및 평가

3. 혈종 ( Hematoma )
1) 정의
2) 원인

본문내용

정보를 제공한다.
2. 후기 산후 출혈 ( Late postpartum hemorrhage )
1) 정의
후기 산후출혈은 분만 24시간 이후부터 산후 6주까지 발생되는 출혈로 속발성 또는 지연성 산후출혈이다. 발생률은 1% 이내로 빈도가 낮으며, 특히 산후 5~15일 사이에 잘 발생된다.
2) 원인
가장 많은 원인은 태반조각의 잔류이고, 태반부착부위 자궁의 복구 부전과 감염 등이다.
산후 2~3일에 나타나는 출혈은 회음절개부위에 혈종으로 오는 경우가 많다.
(1) 잔류태반 ( Retained placenta )
정상적으로는 착상된 태반은 분만 후 1~2회의 강한 자궁수축으로 박리된다. 분만 후 30분 이내에 태반이 박리되지 않을 경우 의사들은 용수박리를 시도한다.
잔류태반은 태반이 불완전하게 박리되어 태반부착부위 수축이 불가능하여 노출된 혈관에서 출혈이 초래된다.
(2) 유착태반 ( Adherent placenta )
비정상적 유착태반의 원인은 알지 못하며, 결함이 있는 자궁내막에 수정란이 착상된 결과로 생각한다. 탈락막과 섬유근층의 결손으로 태반조직이 자궁벽에 비정상적으로 견고하게 유착되어 박리가 불가능한 상태를 말한다.
임신 중에는 유착태반의 증상이 전혀 없다. 발생소인은 제왕절개술이나 자궁근육절제술, curettage으로 인한 심한 내막의 상흔, 결핵성 내막염, 경부와 자궁하부의 착상, 태반기형이다. 유착태반은 태반융모가 자궁근층에 침범하는 정도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 유착태반 (placenta acreta) : 융모가 자궁근층 표면만 침범하여 부착된 상태
* 감입태반 (placenta increta) : 융모가 자궁근층까지 침범하여 부착된 상태
* 첨입태반 (placenta percreta) : 융모가 장막까지 침범된 상태
유착태반은 산후출혈은 물론 자궁천공, 자궁내번증, 감염증으로 모성사망과 이완이 증가된다. 유착태반의 정도가 경미하고 다른 합병증이 없으면 용수박리나 큐렛으로 태반을 제거한다. 그러나 대부분은 자궁이 정상적 수축을 하지 못하여 출혈이 심한 경우는 출혈성 쇼크에 대비하고 즉각적 자궁절제술 준비를 한다.
원인은 소파수술, 제왕절개술, 다산의 경력이 중요한 원인이 된다.
(3) 자궁퇴축부전 ( Subinvolution of the uterus )
후기 산후출혈의 원인이 되는 퇴축부전은 커진 자궁체부가 산욕기에 정상크기가 되지 않고 기능회복이 지연되는 것이다. 퇴축부전의 원인은 자궁의 비정상적인 위치, 근종, 수태산분의 잔존, 감염, 임신성 영양막 질환이 순환을 방해하는 여러 원인으로 발생된다.
이런 산후 자궁의 복구부전은 오로의 배출기간을 지연시키고, 심한 출혈을 수반한다.
3) 위험요인 및 평가
과거력
현재 임신 * 분만 관련 특성
고출산력 (다산부)
자궁의 과다팽창 (다임부, 양수과다증, 거대아)
이전에 산후출혈 경험
출혈성 문제 (전치태반, 태반조기박리)
자궁평활근종
분만 중 외상 (중위감자, 제왕절개, 자궁 내 조직)
질병 (백혈병, 특발성 혈소 판 감소증, 응고결함)
고긴장성-저긴장성 자궁수축 (촉진제, 기능부전, 지연분만, 과다마취, 임신성고혈압증, 융모양막염, 자궁퇴축부전)
간호사는 산모의 과거력과 신체검진 자료를 통해 출혈의 위험요인을 확인한다. 자궁저부의 상태, 출혈량, 오로의 분비 상태 등은 산욕기 동안 세밀하게 관찰하여야 한다.
산후출혈은 갑작스럽게 한꺼번에 다량의 질 출혈이 있어 산모의 둔부 아래가 푹 젖게 됨으로써 알게 된다. 때로는 지속적으로 보통 보다 더 많은 질 출혈이 몇 시간 정도 계속되기도 한다. 자궁이 단단하게 수축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질 출혈이 있으면 경관이나 질의 열상으로 인한 출혈이다. 질 출혈 시 혈괴가 있으면 출혈량이 많은 것도 질 내부에 혈액이 고여 있다는 것이다. 안절부절하고 불안하면서 갈증이 있으면 과다한 출혈로 볼 수 있다. 실혈량이 증가하면 저혈량성 쇼크의 증상과 증후가 나타난다. 심맥 관계의 보상기전이 일어나기 때문에 상당한 양의 실혈(1,500ml 이상)이 있기 전까지는 맥박과 혈압의 변화는 오지 않을 수도 잇다.
심박출량은 총혈액량의 15~20%가 실혈될 때가지 별다른 변화가 없다. 이후에는 맥박과 혈압의 변화가 갑자기 오게 되고 심박출량과 1회 박출량이 감소한다. 심게항진(100~120회/분)과 저혈압(수축기압이 90~100mmHg이하)이 나타날 때는 총혈액량의 20~35%실혈이 있다고 추정한다.
3. 혈종 ( Hematoma )
혈종은 외생식기나 질점막하 결합조직에 혈액이 축적될 때 나타난다. 혈종은 자연분만, 겸자나 흡입분만 때 연조직의 손상으로 올 수 있다. 음순 혈종은 연조직의 급속한 출혈에 의해 변색된 부풀어 오른 덩어리로 관찰할 수 있다. 혈종은 깊고, 심하고 완화되지 않은 통증과 압박감이 나타난다. 자궁저부가 단단하고 오로가 정상범주에 있는데 혈압하강, 빈맥과 같은 혈액손실과 관련된 증상이 산모에게 나타나면 혈종의 형성을 의심해 보아야 한다.
작은 혈종은 자연 흡수되지만 직경이 3cm 이상의 대형 혈종은 절개하여, 응혈을 제거하고, 출혈되는 혈관의 결찰이 필요하다. 지혈을 위해 탐폰은 넣거나 감염위험이 있을 때는 항생제를 적용하고, 통증이 심하면 진통제를 투여한다.
1) 정의
혈관 손상으로 인하여 질이나 회음의 피부아래 결합조직 내로 혈액이 유출되는 것으로서 주로 질 점막 아래에 발생하거나 외생식기 표면 조직 열상 시 초래되기도 하고 회음절개와 무관하게 혈관에 외상이나 파열로 출혈이 된 것을 말한다.
발생시기는 분만 직후 또는 산욕 초기 며칠이다.
2) 원인
* 아두 만출 시 압박을 받거나 조직 확장 시 혈관파열
* 회음주사나 봉합 시 혈관천공
* 기계분만 시 손상
[ 참고문헌 ]
* 여성건강간호학Ⅱ(2003), 여성간강간호교과연구회편, 수문사
* 모성여성건강간호학Ⅱ(2003), 하영수 외, 신광출판사
* 여성건강간호학Ⅱ(1999), 이영숙 외, 현문사
* 모성간호학Ⅱ(1994), 최연순 외, 수문사
* http://mcn.healthis.org/bleeding/placenta.htm
* http://www.dcmc.co.kr/medicalinfo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8.01.21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79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