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포트_동아시아(전통의현대적재해석사례)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목 차


1. 관수정………………………………………………2

2. 공간사옥……………………………………………3

3. 주한 프랑스 대사관………………………………4

4. 참고자료……………………………………………5

본문내용

I. 관수정
전통미를 한국인의 정신, 사상으로부터 내재되어온 정서적 미로서 표현하고 있는 현대 주택으로서 대표적인 이 건물은 멀리 산을 기대어 흐르는, 강이 있는 경치를 앞에 두고 양 옆에는 뒷산에서 뻗어내려 오는 두 자락의 산이 감싸 안고 있는 자리에 앉아 있다. 별채가 본채의 축 에서 비스듬히 산 쪽으로 꺾이어 연결이 ‘ㄷ’자형으로서 건물 전체의 배치는 뒤에 있는 산을 타고 내려오는 흐름을 받아들이면서 뒤뜰을 형성해주고 전면의 강을 향해서는 열려 있다. 이렇듯 관수정에서는 풍수사상과 지형학을 근거해 집이 좋은 대지에 위치해 있다. 이러한 특징들로 인해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전통미는 결국 대지의 위치에서부터 출발하여 전통적 이미지의 변용을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건물의 배치는 채의 분리와 공간의 연속을 통하여 평면에서는 전체적인 공간의 운동감을 느낄 수 있으며, 우리 전통건축의 가구식구조가 관수정에서는 노출된 철골구조로 환원되어 표현됨으로써 새로운 형태적 해석으로서 또 다른 표현을 보이고 있다. 이 집에서 느낄 수 있는 가장 전통적인 형태로서는 또 다른 표현을 보이고 있다. 이 집에서 느낄 수 있는 가장 전통적인 형태로서는 지붕이라고 할 수 있는데, 우리에게 낯설지 않은 선의 이미지로서 초가의 누그러진 지붕모양 같기도 하고, 한복의 소매선의 표현인 것 같기도 하고, 태극선 표현인 것 같기도 한 이러한 지붕의 선은 우리의 한국적인 이미지를 표현함과 동시에 자연과 조화하려는 전통적인 사상과 정신을 표현하고 있음으로 분석된다. 서양과는 달리 동양에서는 특히 우리나라에서도 예전부터 자연과 더불어 장녀에 순응하며 살아온 탓에 아무런 설계도면을 그리지 않고 집을 짓더라도 전통적인 집의 지붕은 뒷산의 형태를 닮고 있음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건물의 배치라든가 공간의 구획, 창의 위치, 지붕의 형태 등 전반적인 것에서 자연과의 관계를 중요시 여기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한국의 전통적인 의식을 정서적 미라는 현대적 표현방법으로써 나타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8.01.28
  • 저작시기2004.6
  • 파일형식워드(doc)
  • 자료번호#4486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