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터드러커의 21세기 지식경영을 읽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들어가는말
2. 책의 주요내용
3. 책과의 대화
4. 나가는말

본문내용

는 유동성이 있으니 예측이 힘든 상황에서 미래를 만들어 나가라고 하였다. 그리고 컴퓨터의 등장으로 정보산업의 확장과 새로운 경영 분야에 대해 저자는 말하고 있다.
내가 이중에서 가장 인상 깊게 읽은 부분은 지식 근로자의 대해서 나온 부분이다. 저자는 지금은 사회정치적으로는 물론 기본 가치에 있어서도 쇠퇴를 향한 전환점에 들어섰다 라고 하였고 지식이 자본과 노동을 대신하는 지식사회가 탄생할 것이라고 예견했다. 그리고 이러한 지식 근로자의 생산성을 가장 체계적으로. 그리고 가장 성공 적으로 향상 시킨 국가와 기업이 세계경제의 주도권이 갈 것이라고 하였다. 이제 지식은 생존의 필수 사항이라 말을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지식을 주도할 근로자들은 다음과 같은 새로운 요구에 엄숙히 직면하고 관리 해야 한다고 하였다.
1. 나는 누구인가? 나의 강점은 무엇인가? 나는 어떻게 일을 하는가?
2. 나는 어디에 속하는가?
3. 내가 기여해야 할 것은 무엇인가?
4. 그들은 관계 책임을 져야 한다.
5. 그들은 후반부를 계획해야만 한다.
따라서 지식경영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가장 중요한 문제는 위에서 언급한대로 지속적인 추진력을 가지고 진행해야 될 업무 중 하나인 바로 지식경영의 직접적인 당사자들의 인식의 변화, 의식의 변화가 필요하며 노력해야 할 것이다.
끝으로, 기업이 지식을 자산으로 활용 새로운 성장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원천으로 의미가 있다는 관점에서, 지식이 기업의 건전하고 풍요로운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을 서술했다. 주제인 지식자산과 지식경영이라는 것을...
* 지식은 가치의 원천이며, 지식 의존의 제품은 수익의 견인차다.
* 자원으로서의 지식은 물질 자원을 능가하는 잠재력 성장력을 갖고 있다.
* 지식 자산과 지식의 창조 할용 프로세서의 역동성은 앞으로의 성장의 열쇠이다.
내가 대학교 1학년 겨울 방학 때 어느 회사에 아르바이트를 한 적이 있었다. 처음에 그 회사에 들어 왔을 때 어떤 아저씨와 일을 하게되었다. 그 아저씨는 그 기업에서 새로운 방식으로 제품을 생산하는 방법을 아이디어 내서 실험적으로 몇 일간 나와 같이 일을 하였다. 그 분은 나에게 이런 말씀을 하셨다. “ 이제는 열심히 일만 하는 성실성으로 인정받고 성공하는 시대는 갔다. 이제는 아이디어 세상이다. 아주 성실하게 10시간을 일을 한사람이랑 잔꾀(?아이디어)를 내서 1시간 일을 한 사람의 생산성이 거의 같다면 잔꾀를 낸 사람이 돈을 훨씬 많이 준다고 하였다. 나는 처음에 이 말의 뜻을 조금 이해했지만 이 책을 보고 나서 확실히 알게 되었다. 그때 아저씨가 나에게 말씀하신 것은 다름이 아니라 이 책에서 나온 향후 21세기 경영 방침의 흐름이다. 그 동안의 우리나라는 자본이고 노동 적인 경영으로 아주 빠르게 발전을 하였다. 그리고 IMF 라는 경제 위기가 오고 이제 수년이 지난 이 시기에 우리나라는 이 위기를 전화위복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정보화 시대 미래를 예측 할 수 없는 이 시대에 미래를 만들어 개척하고 지식 산업으로 다시 한번 경제적 비약을 해야 할 것이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8.02.01
  • 저작시기2008.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94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