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형에 대한 인식이 타인에 대한 평가에 미치는 영향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혈액형 정보에 대한 인식
2. 각 혈액형 특성에 대한 인식
3. 혈액형 정보를 통한 타인 평가
4. 종합적 분석

Ⅲ. 결론

Ⅳ. 기타 참고 자료

본문내용

가 강하지 않아서 O 형에 관하여는 매우 선호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는 실제 처음 보는 이성에게 그 사람과 친해지기 전까지는 그다지 영향을 주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친해지고 나서 앞으로의 관계 유지를 위한 혈액형 정보 활용 가능성이 높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이런 혈액형 정보는 이성친구와의 관계에서 많이 활용될 것이라 짐작되어진다.
이것은 혈액형에 대한 정보가 그 사람을 미뤄 짐작하게 할 수 있는 잣대가 될 수 있으나 그 사람과의 관계의 시작에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보였다.
그 사람과의 관계 유지에서 그 사람의 성향을 파악하면 상대에 대해 더 잘 알게 되어 좀 더 원활한 인간관계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Ⅲ. 결론 및 한계점
평소에 누구나 혈액형에 관하여 비슷한 생각을 가지고 있을 것이라 단정 지어 생각하고 있었다. 그러나 설문결과를 하나하나 입력하면서 사람들이 각기 다른 인식을 가지고 있음을 알았다. 그와 중에도 B형과 A형에 대한 편견이 심한 것처럼 보여 졌다. 가장 많이 이슈화되어서일 것이라 생각되어진다. 사실상 내가 B형이라서인지 B형이 바람둥이, 다혈질이라는 안 좋은 편견이 많아 비 선호 대상 1위가 된다니 안타까운 심정이다. 그러나 그 결과에서 보면 실제 타인의 평가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보고, 상대와 친해지고 나서 그들의 진정한 성품을 알아가는 것은 당연지사겠지만 조금은 안심하게 되었다. 이번 조사를 통해 1인 설문조사의 어려움을 생각보다 컸고, 연구 분석의 한계도 있었다.
특히, 조사 분석을 하면서 느낀 것은 사람들이 처음 보는 타인 평가에 활용하는 혈액형 정보는 드물고 기존 인식이나 이미지가 강하게 작용할 것임을 짐작하게 되었다. 그래서 오히려 혈액형 정보가 어떻게 자신의 현재 인간관계에 발전적인 자료로 쓰일 수 있느냐를 더 조사했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이번 조사를 통한 결과는 대학생들이 실제로 혈액형 정보를 접하려고 노력하는 것보다 이미 인식에서 각 혈액형이 이미지화되어있고 자신의 의지 없이 노출되는 빈도수가 상대적으로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혈액형에 대한 정보가 고정관념화 될 수 있는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된다. 물론, 그 사실의 진위여부는 밝힐 수 없는 인간 심리적인 측면이 강하다 생각된다. 사회의 엘리트 집단인 대학생들이 이런 사고를 가지고 있다면 다른 세대 층이나 집단도 비슷할 것이라 생각되어진다.
실제로 우리 부모님이나 아는 어른 분들을 만나면 혈액형에 대한 인식이 좀 더 강해 편견이 많았다. 이것은 사회생활과 많은 인간관계를 겪으며 스스로 통계적인 공통성을 경험적으로 알게 되었다고 하신다. 또 상당히 많은 사람들이 혈액형은 속설일 뿐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설문의 예문과 일치도를 설문한 결과 대부분의 사람들이 수긍하였다. 그것은 꼭 맞아 떨어지지는 않을지 모르나 틀리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별로 없음을 알 수 있었다. 혈액형에 대한 인식이나 혈액형에 대한 타인 평가 모두 심리적인 요소와 상황적인 요소가 많이 비롯된다. 실제 TV 방송처럼 실험이나 좀 더 인간 내면의 고려한 분석이 이루어지면 유용한 결과를 나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그리고 내 설문조사를 활용하자면, 사람들에게 혈액형 정보 제공함에 있어 처음 보는 타인 평가활용 자료보다는 자신의 인간관계에서 그들과의 원활한 관계유지를 위한 성향을 공통적인 특성을 분석한 팁을 제공하는 것이 좀 더 유용할 것이라 생각된다. 이번 설문 조사는 난생처음 해본 조사였다. 대학교 3년 동안 많은 레포트를 써보았지만 이번 논문은 나에게 다른 어떤 것보다 애착이 크다. 사실상 내용이 미흡하고 주제가 가벼울지 모르나, 누구의 생각도 아닌 내 생각을 토대로 전부 만들어진데 큰 의의를 갖는다. 이런 기회를 만들어주신 교수님에게도 감사함을 전하며 부족한 내용이지만 의미 있는 조사였다고 생각한다.
Ⅳ. 참고 자료
1. 기초 정보 자료
응답자 나이
N
Minimum
Maximum
Mean
Std. Deviation
응답자 나이
100
19
28
23.40
2.292
Valid N (listwise)
100
Frequency
Percent
Valid Percent
Cumulative Percent
Valid
19세~22세
38
38.0
38.0
38.0
23세~26세
53
53.0
53.0
91.0
27세~30세
9
9.0
9.0
100.0
Total
100
100.0
100.0
응답자 혈액형
Frequency
Percent
Valid Percent
Cumulative Percent
Valid
A형
35
35.0
35.0
35.0
B형
27
27.0
27.0
62.0
O형
25
25.0
25.0
87.0
AB형
13
13.0
13.0
100.0
Total
100
100.0
100.0
우리나라 혈액형 비율이 A형 : 34.2% B형 : 27.1% O형 : 27.4% AB형 : 11.3% 인것을 감안할 때 이 표본은 혈액형 비율면에서 잘 되었다고 생각된다. (오호!)
응답자 성별
Frequency
Percent
Valid Percent
Cumulative Percent
Valid
남자
50
50.0
50.0
50.0
여자
50
50.0
50.0
100.0
Total
100
100.0
100.0
의도 표집이었기 때문에 남녀 비율은 50:50으로 하였다.
응답자 학부
Frequency
Percent
Valid Percent
Cumulative Percent
Valid
어문계열
8
8.0
8.0
8.0
사회과학계열
75
75.0
75.0
83.0
이공계열
13
13.0
13.0
96.0
예체능계열
4
4.0
4.0
100.0
Total
100
100.0
100.0
=> 수업시간에 만날 수 있는 학부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대부분 경제, 경영, 언론학부가 많아 사회과학 계열이 많았다. 그래서 학부별로 따로 분석결과를 제시하지는 않았다.
참고
생각보다 SPSS활용하는 것이 쉽지 않았습니다.
빈도 분석 위주로 하여 조사 분석이 미흡하지 않았을까 걱정됩니다.
그래도 제가 원하는 분석은 대부분 한 것 같으며, 생각보다 오래 걸렸습니다.ㅠㅠ
수고하세요^^;

키워드

혈액형,   A형,   B형,   타인 평가
  • 가격3,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08.03.12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49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