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포트_인문학(지모신에 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지모신 숭배의 민속
가. 성모의 위치
나. 지모신의 역할

3. 마치며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성의 힘을 필요로 하는데 그 모성은 대부분 여성의 끝없는 자기 희생의 과정에서 실현된다. 이것은 고대사회의 여성에 대한 가부장제 이데올로기를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단군 신화의 교육의식은 여성의식과는 무관한 홍익인간의 이념을 표방하고 있다. 건국 신화에 나타난 이와 같은 여성의식은 고대사회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그대로 전승되고 있으며 여성에 대한 신화를 끝없이 재창조하고 여성 이데올로기를 창출시킬 수 있는 전거가 된다.
본 레포트의 지모신 민속을 통해 건국 신화가 가지고 있는 이러한 여성의식의 고찰을 통하여 여성에게 끊임없이 전승하고 작용하는 가부장적 신화를 밝힘으로서 여성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이를 토대로 인간에 대한 바람직한 인격과 올바른 인성을 함양할 수 있었다. 이를 실천하기 위하여 신화에 대한 재해석과 비평적 읽기가 더 많이 필요할 듯 하다.
참고문헌
<단행본>
노드럽 프라이, 김상일 역(1970). “신화문학론”. 서울 : 을유문화사.
김부식 저 김종권 역(1973) “삼국사기”. 서울 : 대양출판사.
일연 저, 김원중 역(2002), “삼국유사”. 서울 : 을유문화사.
말리노프스키, 서영대 역(1996). “원시신화론”. 서울 : 민속원.
롤랑 바르트, 정현 역(1995). “신화론”. 서울 : 현대미학사.
백선기(1998). “언론보도와 신화적 인식”. 서울 : 커뮤니케이션 북스.
조현설 외(2003). “고전문학과 여성주의적 시각”. 서울 : 소명출판.
이용주(2002). “소설과 신화”. 서울 : 동문선.
<논문>
강영아(1980). “한국고대사회에 있어서의 여성의 존재형태”. 숙명여대 석사학위 논문.
김희정(2001). “설화의 문학교육적 수용방안”.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남인숙(2001). “신화와 광고에 나타난 여성 이미지 연구”. 대구 카톨릭 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류슈열(2001). “판소리 구연성의 매체언어적 의의”.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서유경(2001). “공감적 자기화를 통한 문학교육 연구- 심청전 이본 생성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성명숙(2001). “한국여성의 정체성”. 여성학연구 제 1권, 제 1호. 부산 : 부산대학출판부.
신동흔(2000). “구비설화에 담긴 효 관념의 층위 연구”. 구비문학연구 제 7집. 서울 : 박이정.
장석규(1999). “구비문학교육의 효용론”, 구비문학연구 제 8집. 서울 : 박이정.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03.13
  • 저작시기2005.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49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