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와 정치커뮤니케이션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정치커뮤니케이션의 정의

3. 매스미디어와 정치

4. 정치커뮤니케이션과 선거
1) 유세홍보 전략
2) 미디어 전략
3) 이미지 전략

5. 정치커뮤니케이션과 수용자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후 유권자들의 반응

6. 맺음말

본문내용

탄핵책임론” 강조
333 운동
(세 가지를 하지 않겠다, 세 가지를 하겠다, 세 가지를 도와달라)
민주노동당
“부자에게 세금을”이라는 슬로건 활용
1515 전략 (15% 이상의 지지율과 15석 확보)
‘1표는 미래와 양심을 위해’
- 1인 2표제 홍보를 통한 원내진출 시도
민주당
추미애 위원장을 활용한 “3보 1배”
2) 미디어 전략
정치커뮤니케이션 특히, 선거에 있어 매스 미디어의 효과는 이미 앞에서 언급을 하였듯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과거 TV, 라디오와 같은 매체를 통한 정치커뮤니케이션에서 벗어나 최근에는 인터넷, 위성방송 등 그 범위가 더욱 넓어 졌으며, 이번 17대 총선에서는 이러한 매체의 활용이 확연히 나타났다.
당 명
미디어 전략
한나라당
열린 우리당 정동영 대표의 노인 폄하 발언 강조
박근혜풍 활용
‘신나는 선거, 재밌는 정치’-사이버 선거 전략
‘17대 선거 내 맘대로’컨텐츠 제작 활용
‘국민이 어머니 입니다’라는 슬로건으로 TV-CF제작 방영
‘패러디’를 통한 사이버 홍보
열린우리당
탄핵풍 활용
‘눈물 정치’의 TV-CF제작 방영
홈페이지를 통한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전략
‘69자의 세상보기’컨텐츠 제작 활용
‘415게임마당’을 통한 사이버 홍보
민주노동당
네티즌 칼럼 활용
3) 이미지 전략
‘어머니의 회초리’, ‘눈물의 호소’등 이번 17대 총선은 이미지 정치의 경연장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정치커뮤니케이션에 있어 이미지 정치는 유권자를 설득 시키는데 큰 힘을 발휘 하고 있으며, 이는 대통령 선거시에도 등장하여 큰 효과와 파장을 가지고 왔다.
당 명
이미지 전략
한나라당
천막당사 이전
클린 정당 이미지 제고
조계사에서의 108배를 통한 ‘고행’감내의지 과시
박정희 전 대통령의 ‘회고눈물’
향수 자극 선전
열린우리당
당사 이전
노란점퍼 착용
민생 투어
TV광고를 통한 한나라당 박근혜 대표 ‘탄핵미소’
5. 정치커뮤니케이션과 수용자
정치커뮤니케이션에 있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수용자의 반응이라 할 수 있다. 물론 커뮤니케이션의 모든 이론의 최종 목표는 수용자의 반응이겠지만, 정치커뮤니케이션의 경우 수용자의 반응은 더욱 중요하며, 특히 선거의 경우에는 그 반응이 바로 행동으로 연계되므로 더욱더 중요하다 할 수 있다. 결국, 다시 말해 정치커뮤니케이션의 성공여부는 수용자 또는 유권자들의 행동과 결과에 따라 구분되어 진다 할 수 있다.
이번 17대 총선의 경우 어느 선거 때 보다도 다양한 각 당의 홍보 전략이 나왔으며, 또한 매스미디어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일깨워 주는 선거였다 할 수 있다.
물론, 앞에서 언급한 미디어 정치, 이미지 정치 등에 대해 부정적이거나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는 집단 또한 많았으며, 오히려 역효과인 보여주기식 정치의 오해를 만들기도 하였다.
하지만, 결과론적으로 보았을 때 다양한 홍보 전략을 구상한 당이 선거에서 좋은 결과, 다시 말해 수용자의 반응을 받을 수 있었다.
정당명
지역구
비례대표
전체의석
열린우리당
129
23
152
한나라당
100
21
121
민주노동당
2
8
10
민주당
5
4
9
자민련
4
0
4
국민통합21
1
0
1
무소속
2
0
2
6. 맺음말
본 레포트에서는 지금까지 선거와 정치커뮤니케이션에 대해 이번 17대 총선을 바탕으로 알아보았다. 앞에서 보았듯이 미디어 정치의 모습은 더욱더 강해지고 있는 것이 지금의 현실이다. 이러한 모습은 매스 미디어의 매체가 더욱 다양해지면서 그 범위가 더욱 확대 될 것이며, 그 반응 또한 더욱더 다양하게 나타나게 될 것이다. 이번 17대 총선의 특징을 보면 어느 선거때 보다도 인터넷을 통한 홍보 전략이 많아 졌다 할 수 있다. 또한 여론조사 결과 정당 선택시 인터넷을 통한 자료수집을 하는 인원의 비율이 50%이상으로 조사되면서 그 효과 또한 입증 되었다. 앞으로는 이러한 인터넷을 벗어나 모바일(휴대폰) 및 무선 인터넷과 같이 보다 다양한 매체가 나타날 것이며, 각 정당들은 더욱더 현실적인 홍보 전략을 도출할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정치커뮤니케이션의 발전이 반드시 좋은 방향만을 제시하는 것은 아니다. 미디어 정치의 모습이 너무 강해지면서 오히려 미디어에 의해 정치커뮤니케이션의 결과를 유도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선거에서의 올바른 정치커뮤니케이션이 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매체 및 홍보전략도 필요하겠지만, 수용자 다시 말해 유권자의 성숙이 함께 이루어 질 때 잡음이 없는 정치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 질 것이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03.20
  • 저작시기2004.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63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