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 팔레스타인 외교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들어가며 ...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의 개관

2. 분쟁의 역사적 배경
1) 팔레스타인 지역 유대인의 정착과 로마지배 그리고 이산
2) 팔레스타인 지역 이슬람 교도의 정착과 유대인의
시오니즘 운동

3. 영국의 삼중외교와 이스라엘 건국
1) 후세인-맥마흔 서한
2) 사이코스피코 협정
3) 발포어 선언
4) 이스라엘 건국
5) 4차간에 걸친 중동전쟁

4. 시온주의와 아랍국간의 대결구도
1) 팔레스타인 식민지화
2) 아랍 국가들과 지배세력의 타협성과 기만성
3) 시오니즘과 이스라엘에 맞선 팔레스타인 해방운동

5. 중동 평화협상과 갈등의 역사
1) 캠프데이비드 협정(1979)
2)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
3) 중동평화회의(1991)
4) 이스라엘의 라빈 정권 집권(1993)
5) 오슬로 평화협정(1993)
6) 와이리버 협정(1998)
7) 중동평화로드맵 마련(2003)

6. 결론 및 전망

본문내용

1991.
김수남. 「시오니즘과 아라비즘 關係發展에 관한 探究」. 『교수논총』11. 국방대학원, 2000.
김용기. 「Zionist Socialism에 관한 연구 : 그 사적전개를 중심으로」. 『사회과학논집』 15. 고려대학교정경대학, 1989.
김재길. 「이스라엘의 시오니즘운동」. 『안전보장』211. 시사, 1989.
최진영. 「중동의 팔레스타인 민족 분쟁」. 『중동연구』18. 한국외국어대 학교중동연구소, 1999.
황인호.「팔레스타인 占領地問題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논문, 1992.
박윤모.「팔레스타인 問題에 관한 硏究 : 팔레스타인 民族主義 形成과 PLO를 중심으로」중앙대 석사논문, 1985
이규철·이성구. 「중동 지역학 총론」- PUFS 1999
김정위. 「중동사」 - 대한 교과서 1998
유공조. 「중동 분쟁사」 - 서원 출판사 1994
김희상. 「중동 전쟁」- 일신사 1977
최창모. 「이스라엘사」 - 대한 교과서 1993
하병주. 「아랍·중동 핸드북」 - PUFS 1998
홍형남. 「중동의 정치·경제」 - 법문사 1987
구영록. 「인간과 전쟁」 - 법문사 1983
버나드 루이스. 「중동의 역사」- 까치 1998
팔레스타인- 이스라엘 분쟁 연혁 정리
*1920년 발포어 선언
1차 대전이 터지기 전까지, 팔레스타인에 유대인 왕국을 건설하려는 시온주의 운동이 거세게 일어났다. 1917년 후반 영국 외무장관 아서 발표어가 시온주의 운동을 지원해온 바론 리오넬 로스차일드에게 팔레스타인에 유대인 국가를 건설하는데 영국이 도움을 줄 것이라고 약속한다. 영국은 1920년 평화 협정에 의해 국경선을 정하는데, 이것이 발포어 선언이다. 발포어 선언에 규정된 지역의 4분의 3은 요르단 영토로, 1921년 영국은 이 지역을 아랍에 넘긴다. 영국은 향후 28년 동안 팔레스타인 지방을 통치한다.
*1947-48년 팔레스타인 분할
1947년 11월, 국제 연합이 팔레스타인을 유대 국가와 아랍 국가로 분할하라고 명령함으로써 영국의 위임토치는 1948년 5월 15일로 끝나게 된다. 5월 14일, 시온주의 지도자인 데이비드 벤 구리온이 이스라엘의 건국을 선포하자, 이집트, 이라크, 시리아, 요르단, 레바논 군이 이스라엘을 침공한다.
*1949년 휴전조약에 의한 영토 분할
이집트, 요르단, 시리아, 레바논과의 휴전으로 이스라엘은 영국이 지배하던 당시의 팔레스타인과 비슷한 영토를 차지하게 된다. 요르단은 요르단 강 서안에 대한 지배권을 다시 얻게 됐고, 예루살렘은 이스라엘과 요르단 영토로 분할된다.
*1956년 2차 중동전
1964년 PLO 결성
1967년 3차 중동전
1973년 4차 중동전
*6일 전쟁
이집트, 시리아, 요르단이 1967년 군사동맹을 맺고 이스라엘 공격을 준비하자, 이스라엘은 선제공격을 했다. 6월 5일, 이스라엘군은 이륙을 준비하던 이집트 전투기를 대량 공습했다. 이스라엘 탱크와 지상군이 골란고원과 예루살렘 구시가지, 가자지구, 시나이반도, 요르단 강 서안등올 일제히 진격한다. 아랍동맹은 6일 만에 유엔의 정전권고를 받아들인다.
*1979년 이집트-이스라엘 평화협정 체결
1982년 이스라엘의 레바논 침공이후 규모면에서 최대의 작전
9.22 이스라엘, 아라파트가 거주하는 건물을 제외한 모든 PA 사령부 건물 파괴
10.25 이스라엘군, 팔레스타인 테러분자 감시 및 색출을 위하여 가자 지구에 소규모 군 기지 건설
*1993년 오슬로 협정
9월 13일 노르웨이 외무장관 요한 홀스트의 중재로 이스라엘과 PLO가 오슬로에서 비밀리에 만나 협의안에 합의. 이스라엘은 헤브론시를 제외한 가자지구와 서안지구에서 철군하고 이 지역에서 팔레스타인의 자치를 받아들인다. 오슬로 협정에 부속된 ‘상호인정’의 원칙은 이스라엘은 PLO를 합법적인 팔레스타인 정부로 인정하고, PLO도 이스라엘의 존재 근거를 인정한다는 것이다.
*1994년 카이로 협정, 아라파트 PLO의장과 이츠하크 라빈 이스라엘 총리, 자치이행에관 해 합의. 예리코와 가자지구가 처음으로 팔레스타인의 자치 영토로 됨.
아라파트,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수립 선언
*1995년 9월 이스라엘-PLO, 팔레스타인 자치 확대 협정(Oslo) 체결
11~12월 이스라엘, 제닌, 나블루스, 라멜라, 베들레헴 등에서 철수.
*1996년 1월 20일 이스라엘, 서안지구 주요 도시를 팔레스타인에 이양. 아라파트,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 수반에 당선. 팔레스타인 최초의 선거를 통해 88명으로 구성된 국가평의회 구성.
*1997년 1월 15일 헤브론 지역의 80%에서 이스라엘 철수 합의
11월 30일 이스라엘, 서안지구에서 제한적 철수원칙 수용
*1998년 10월 23일 와이협정 체결. 서안지구의 13%에서 이스라엘이 철수하고 750명의 팔레스타인 죄수를 석방하기로 함,
11월 이스라엘, 1차 추가 철군
*1999년 5월 바라크 이스라엘 총리 당선자, 향후 1년 안에 레바논에서 이스라엘군 철수 공약
6월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정상회담 재개
9월 이스라엘-PLO, 이스라엘 점령지역 일부영토 팔레스타인 이양에 합의
11월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서안지구 및 가자지구의 최종 지위에 관한 협상 착수.
*2000년 2월 팔레스타인, 이스라엘의 대레바논 폭격 맹비난
7월 PLO, 이스라엘 동의와 상관없이 9월 13일 국가선포 천명.
데이비드 중동평화회담 개최, 그러나 합의에 실패.
8월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정상의 평화협상 합의에 실패.
9월 팔레스타인 인티파다 시작
12월 이스라엘군-팔레스타인, 베들레헴의 성지를 두고 전투 발생
*2001년 2월 강경파 아리엘 샤론, 이스라엘 총리 당선.
3월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의 이스라엘 정착촌을 박격포로 공격;
이스라엘군, 탱크를 동원하여 아라파트 호위대 훈련 센터를 공격;
10월 이스라엘의 레하밤 지비 관광장관 피살;
팔레스타인 무장괴한 2명, 북부 하데라 도심에서 총기를 난사하여 3명 사망, 10 여명 부상
*2002년 3월 양측 간의 충돌 고조, 이번 달에만 이스라엘인 50명과 팔레스타인 130명 사망 이스라엘군, 팔레스타인 영토에 진입하여 테러용의자 색출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42페이지
  • 등록일2008.03.21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66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