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이해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북한의 이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북한학 연구 접근 방법

Ⅱ. 북한의 역사

Ⅲ. 북한의 정치

Ⅳ. 북한의 사회

Ⅴ. 북한의 경제

Ⅵ. 북한의 교육

Ⅶ. 북한의 예술

Ⅷ. 북한주민의 생활과 가치관

Ⅸ. 북한의 통일 방안


<참고문헌>

본문내용

연립식 주택 등 다양하며, 입주자의 사회적 신분이나 계층에 따라서 그 형태 및 구조를 달리한다.
④ 가정생활
주거지를 자의로 이동할 수 없는 북한에서는 20~40세대를 ‘인민반’으로 묶어 인민반장이 전 주민의 전출입을 감시, 사상교양, 행사 동원 등을 하고, ‘국가안전보위부’와 ‘사회안전부’에서 인민반을 감시한다.
⑥ 조직 생활
북한은 주민들을 조직생활을 통한 통제, 의식주 배급과 같은 경제생활 통제, 가정생활과 사회생활을 통제하여 철저하게 공산주의형 인간개조 작업을 수행한다.
북한 주민들은 태어나면서 의무적으로 각종 사회조직에 가입된다. 의무적으로 유치원에 입학하며, 소학교 2학년이 되면 소년단에 가입하고 중학교 4학년이 되면 김일성사회주의청년동맹에 가입한다. 중학교 고등반이 되면 붉은청년근위대에 편입되고 대학생은 교도대에 편입된다. 주민끼리의 인민반을 조직하고 근로단체를 조직하며 각 조직에서 강연회와 학습을 하고 평정서라는 문서가 작성되기 때문에 소홀히 할 수 없다.
* 북한주민, 북한관광 다녀온 대부분사람들의 경험담
북한주민을 만나거나 북한에 다녀온 사람들은 대부분 “너무 똑같아서 놀라고, 너무 달라서 다시 놀란다”는 경험담을 이야기한다. 처음 방북하거나 북한주민을 직접 만날 때 소위 “뿔달린 공산주의자”를 상상하며 만나게 되는데 막상 우리와 똑같이 부모님의 안부를 걱정하고 자식이 잘 되는 것을 소망하며 스승과 제자 사이에 따뜻한 정을 나누는가 하면 직장동료끼리 서로 아끼고 존중하고 모습을 보면 북쪽사람도 우리와 똑같다고 생각하면서 저절로 마음이 놓인다고 한다. 그런데 긴장을 풀고 이야기를 나누다가 북한의 정치지도자에 대해 거론하거나 농담이라 도하면 순간적으로 태도가 돌변한다는 것이다. 이런 경험을 하고 나면 “너무나 다르다”는 놀라움에 사로잡힌 나머지 아무래도 남북한의 통일은 불가능하겠다는 생각까지 품는 사람들이 드물지 않다.
2) 북한주민의 가치관
분단 전 같은 민족의 구성원으로써 동질적 속성을 지녔던 우리는 북한은 당국의 주도로 개인보다 집단을 앞세우는 성향을 지니게 되었다. 1990년 이후 북한의 변화의 결과 주민의 가치관과 생활양식이 혼란을 겪고 있지만 몇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다.
① 유일지배체제의 정당화
주체 사상을 바탕으로 한 교육을 어릴 때부터 받기 시작해 평생 계속 적으로 주입받아 김부자의 통치를 당연시 한다. 이것은 세가지 이론으로 뒷받침되고 있다.
첫째는 사회주의 대가정론이다. 당은 아버지, 수령은 어머니, 인민은 자녀로 비유되어 당과 수령이 베푸는 은덕을 인민은 충성과 효성으로 보답해야 한다는 이론이다. 둘째는 혁명적 수령론이다. 셋째는 사회정치적 생명체론으로 사회를 벗어나서 정치적 생명이 죽으면 살아갈 수 없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주민들은 평생 조직생활을 함으로써 반복학습을 하게 되어 북한식 가치관에 갇히게 된다.
② 집단주의 원칙의 일상화
북한의 주민은 조직생활을 통해서 사회 속에서 살고 있는 것이다. 집단과 조직 속에서 주민의 인권이 보호되고 인권에 대한 권리가 나온다.
③ 사회주의 생활문화와 전통적 생활방식의 혼재
북한 주민은 김부자 생일을 가장 큰 명절로 여기며 우리와 많이 달라졌다. 음력 정월 초하루와 팔월 한가위는 오랫동안 무시하고 명절로 보내는 것을 금지하기도 했다. 60~70년대 전통적 예절과 관습을 존중하는 것을 낡은 습관으로 비판하며 공개적으로 가풍을 가르칠 여건이 될 수 없었고 자연히 전통적 명절도 흐릿해 졌다. 80년대에 접어들면서 ‘조선민족 제일주의’를 말하면서 민속 명절을 중시하게 되었다.
하지만, 90년대 이후에는 겉으로는 유일지배체제와 집단주의에 따르고 있지만 일상생활에서는 자신과 가족의 생존을 추구하는 생존 규범을 따르는 양상으로 변해가고 있다.
Ⅸ. 북한의 통일방안
북한의 최초의 통일방안은 '민주 기지론'이었다. 민주 기지론의 골자는 남한을 해방시키기 위해 북쪽이 힘을 키워야 한다는 것이다. 이 민주 기지론은 1960년을 전후 해서 폐기되었다. 북한은 그 사이 한때 남북 총선거에 의한 통일 방안을 주장한 것도 있었다. 그 후 북한은 장기간에 걸쳐 일관되게 '연방제'를 자신들의 통일방안으로 주장해 왔다. 그러다가 1980년 10월, 노동당 제 6차 대회에서 김일성이 제시한 '고려 민주 연방 공화국'이라는 '새로운 연방 제도'가 발표되었다. 북한이 연방제를 제시한 약 20년 동안 북한의 통일 정책에도 일련의 내적 변화가 있었다. 북한이 제시했던 초창기의 연방제에서 연방 자체의 의미는 '통일로 가기 위한 잠정적인 조치'였다. 즉 연방은 완전한 통일이 아니라 통일로 가기 위한 중간 단계라는 것이다. 하지만 1980년의 고려 민주 연방 공화국 방안에서는 연방 자체가 곧 '통일국가'라는 것으로 변화했다. 그리고 남한과는 달리 '제도적 접근'을 더욱 중요시한다. 이러한 정책 변화의 근저에는 북한이 대남 혁명 전략을 통한 일순간의 '체제 통합'에 성공할 것이라는 신념을 더 이상 갖고 있지 않다는 생각이 짙게 깔려 있다. 김일성은 조선노동당 6차 대회에서 '고려 민주 연방 공화국 창립 방안'을 제시하며 북한의 통일 방안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민족적 단합을 이룩하고 조국 통일을 실현하려면 어느 한쪽의 사상과 제도를 절대화하지 말아야 한다. 한 나라에서 서로 다른 사상을 가진 사람들이 같이 살 수 있으며 하나의 통일 국가 안에 서로 다른 사회 제도가 함께 존재할 수 있다. 우리는 우리의 사상과 제도를 결코 남조선에 강요하지 않을 것이며 오직 민족의 단합과 조국 통일을 위하여 모든 것을 복종시킬 것이다. 우리 당은 북과 남이 서로 상대방에 존재하는 사상과 제도를 그대로 인정하고 용납하는 기초 위에서, 북과 남이 동등하게 참가하는 민족 통일 정부를 내오고 그 밑에서 북과 남이 같은 권한과 의무를 지니고 각각 지역 자치제를 실시하는 연방 공화국을 창립하여 조국을 통일할 것을 주장한다.'
<참고문헌>
『현대북한의 이해』정주신외. 고려출판사. 2006
『최신 북한이해』박승규. 학문사. 2005
2006년도 윤운지, 류아현 발표자료
조선 노동당 대회 자료집 제 4집. 통일원. 1998
기타 인터넷 검색 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8.04.10
  • 저작시기200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05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