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시장]비정규직 근로자의 직업능력개발 실태 및 정책과제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고용형태의 다양화와 비정규근로자의 활용
1. 비정규직 근로자의 증대 배경
2. 비정규직 근로자의 개념정의
3. 노동시장상황과 고용형태

Ⅱ. 단시간근로자(파트타이머, 아르바이트)의 활용
1. 단시간근로자의 의의와 구별개념
1) 단시간근로자란
2) 단시간근로자와 구별되는 개념
2. 근로조건의 일반원칙(비례보호의 원칙)

III. 비정규직 근로자의 직업능력개발 제도 및 실태

IV. 비정규직 근로자 직업능력개발의 필요성

V. 비정규직 근로자 직업능력개발의 장애요소 및 정책과제

참고 문헌

본문내용

보다 적극적으로 경주되어야 한다.
다섯째, 비정규 근로자의 특성을 감안한 다양한 훈련프로그램의 개발 및 타겟 집단별 접근이 필요하다. 현재 능력개발 교육훈련은 대부분 정규 근로자나 실업자 중심으로 설계되어 있어 비정규 근로자가 활용하기는 쉽지 않다. 따라서 비정규 근로자의 근로형태 등에 적합한 다양한 훈련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이 필요하다. 공공직업훈련기관을 이용한 야간과정이나 주말과정 뿐만 아니라 웹기반훈련(Web-based training) 등 첨단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한 사이버 훈련은 비정규 근로자의 훈련 접근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비정규 근로자의 내적 복합성을 감안하여 타겟 집단별로 목표와 방법을 달리하는 다차원적인 접근이 요청된다. 잠재능력이나 자기계발 의지가 높은 상대적 고학력의 청년층 비정규 근로자와 그렇지 않은 비정규 근로자에 대해 동일한 방식으로 접근하는 것은 비현실적이다. 전자에 대해서는 정규직 및 직장 전환 등을 목적으로 하는 자기계발 방식의 훈련이 바람직할 것이며 후자에 대해서는 비정규직 잔존을 전제로 한 직무 수행능력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주 주도의 현장훈련을 통한 능력개발 방식이 보다 타당할 것이다.
끝으로 비정규 근로자가 보다 쉽게 능력개발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제반 여건을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현재 비정규 근로자에게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저임금과 고용불안, 열악한 근로조건은 이들의 능력개발을 가로막는 커다란 요인 중의 하나이다. 비정규 근로자의 근로조건을 개선하여 정규직과 비정규직간의 과도한 임금 및 근로조건 격차를 점진적으로 해소하는 것은 비정규 근로자 능력개발의 활성화를 위해서도 매우 긴요한 과제이다.
참고 문헌
장은미, 정규직과 임시직의 조직몰입에 관한 비교 연구, 인사관리연구, 19권, 1995.
정인수, 취업형태 다양화와 정책과제, 한국노동연구원, 1997.
강순희·이병희·조용만·김미란(2000). 근로자 자율적 능력개발의 활성화방안. 한국노동연구원.
금재호(2000). "비정규직 함정은 존재하는가?". 『분기별 노동동향 2000년 4/4분기』, 한국노동연구원.
김둘순·김명숙·모윤숙·왕인순·이혜순·정형옥(1998). 비정규직 여성노동자 조직화 방안에 관한 워크샵 자료집. 한국여성노동자회협의회.
김유선(1999). 단시간 근로자 보호와 조직화를 위한 정책과제. 한국노동사회연구소.
김유선(2001). "비정규직 규모와 실태". 『비정규노동』창간호(2001년 7월), 한국비정규노동센터. pp.72-91.
남재량·김태기(2000). "비정규직, 가교인가 함정인가". 『노동경제논집』23권 2호, 한국노동경제학회.
노동부(2000b). 비정형근로자 대책 참고자료집.
류기철(2001). "비정형 근로자의 실태". 『비정형근로자의 규모와 실태』. 한국노동경제학회 학술세미나.
박기성(2001). "비정형 근로자의 측정과 제언". 『비정형근로자의 규모와 실태』, 한국노동경제학회 학술세미나.
배진한(2001). "비정형 근로자 증가의 원인과 전망". 『비정형근로자의 규모와 실태』, 한국노동경제학회 학술세미나.
송호근(2000). 21세기 한국의 고용구조 변화와 비정규직 근로자 대책 - 노동시장 유연성을 위한 인식전환과 정부·기업의 역할 -. 전국경제인연합회.
안주엽·노용진·박우성·박찬임·이주희·허재준(2001). 비정규근로의 실태와 정책과제(1). 한국노동연구원.
오문완(1997). 단시간 근로에 관한 외국의 법.제도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이병희(2001). "청년층의 노동시장 이행과 경력형성". 『분기별 노동동향 2001년 1/4분기』pp.108-130, 한국노동연구원.
이병희·김미란(2000). 직업능력개발사업의 평가와 정책과제. 한국노동연구원.
이승길(2000). "비정형고용의 현황과 과제". 『월간노동법률』2000년 8월호, 중앙경제사.
이주희·장지연(1999). 임시·일용 등 불완전한 근로형태의 확산과 정책방향. 한국노동연구원.
이호창.이상호(1999). 노동운동과 숙련.직업능력개발. 한국노총 중앙연구원.
임종률·이원희·이상희(1996). 고용유형의 다양화에 따른 법적 대응에 관한 연구. 학술진흥재단 연구보고서.
장지연(2000). 비정규 여성노동자 실태와 보호방안. 한국노동연구원.
장홍근(2001). "비정규직 근로자의 직업능력개발: 실태와 쟁점". 『직업과 인력개발』제 4권 3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정진호(2000). "고용형태 다양화와 최근의 임금실태". 『분기별 노동동향 2000년 4/4분기』, 한국노동연구원.
조순경(2000). "비정규노동과 노동정책의 과제". 『비정규직 노동자 보호를 위한 정책 토론회』자료집, 한국노총.
최경수(2001). "비정형 근로자 규모의 국제비교". 『비정형근로자의 규모와 실태』, 한국노동경제학회 학술세미나.
한국경영자총협회(2000). 비정규직 보호에 관한 경영계 입장.
한국노동조합총연맹(2000). 비정규직노동자 보호를 위한 법개정 청원.
Eurostat(1999). Labour force survey.
Feldstead, A. and N. Jewson, eds.(1999). Global Trends in Flexible Labour. Macmillian Press Ltd.
Hall,R., Bretherton, T. and J. Buchanan(2000). It's not my problem: The growth of non-standard work and its impact on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 Australia. Australian National Training Authority.
Kalleberg, A.(2000). "Nonstandard Employment Relations : Part-time, Temporary and Contract Work". Annual Review of Sociology, 2000, 26:341-365.
Mitchell, A.G.(1998). Strategic training partnerships between the State and enterprises. ILO.
  • 가격2,9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8.08.04
  • 저작시기2008.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53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