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한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 한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종이란 무엇인가?
(1) 종이의 기원
(2) 종이의 전래
2. 한지의 역사
(1) 한지의 어원
(2) 삼국시대
1) 고구려
2) 백제
3) 신라
(3) 통일신라시대
(4) 고려시대
1) 고려지에 대한 기록
(5) 조선시대
1) 조선 전기
2) 조선지의 특징
3) 조선 초기 종이에 대한 기록
4) 조선 후기
5) 조선 후기 한지에 대한 기록
(6) 근대
1) 한지의 규격
2) 한지에 대한 인식
(7) 현대
3. 한지의 제작 과정
참고문헌

본문내용

쟁, 5·16 군사 쿠데타 이후의 선공업 후농업 정책 등으로 한지의 생산 기반은 매우 약화되었다. 지방에 있던 협동조합도 군사통치 시대의 통폐합 정책으로 맥이 끊기고, 옛 모습을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현재는 종이 뜨는 일 자체가 워낙 힘들므로 인력 확보와 지장(紙匠)훈련이 여의치 못하고, 수요도 한정적이어서 생산되는 종이의 종류도 매우 적고 품질도 좋지 못하다. 대량 생산이 불가능하므로 가내수공업 형태가 대부분인데, 공해 배출업인데다 인건비가 높아서 경영도 쉽지 않다. 원료는 거의 닥나무만을 쓰고 재생지 등을 섞기도 하는데, 현재는 가장 중요한 원료인 닥도 우리나라에서 거의 생산이 안 되고 있어서 외국에서 수입해 사용하고 있다.
좋은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올바른 인식 부족과 한지 생산 업자와 판매 업자간의 극심한 가격 불균형, 중간상인의 횡포로 영세한 한지 제조 업자들은 의욕을 상실해 가고 있다. 이러한 유통 구조의 모순 때문에 제품 가격 보장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질 좋은 한지를 제조해도 인정을 받지 못하는 게 현실이다. 한지 판매 상황을 살펴보면 수록한지나 기계 한지 모두 제조법과 품질 표시 없이 유통되고 있어 한지에 대하여 전문 지식이 없는 소비자는 품질과 제품의 차이를 알지 못하고 구입해 쓰는 실정이다. 한지 제조 과정은 생산 원가 절감과 인력 부족으로 쉽고 빨리 싸게 만드는 방식으로 바뀌었으며, 고가·고품질 상품은 거의 없고 저가로 대량 생산하는 데 모든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실정이다. 고가의 국산 닥 대신 저가의 수입 닥과 펄프를 쓰고, 닥수율을 높이고 티 작업을 하지 않기 위해 유독성 화학 약품인 가성소다. 차염산 표백제를 쓰며 생산성이 낮은 외발 뜨기 대신 생산성이 높은 쌍발 초지법을 쓰고 있다. 건조법은 대부분 철판 건조를 하고 있으며 전통종이 가공법인 도침 과정은 거의 사라지고 몇몇 곳에서 단지 이름만 남아 있는 실정이다.
3. 한지의 제조과정
(1) 닥나무 채취
11월경에 1년생 닥나무를 베어낸다. 이때가 닥 껍질에 수분이 적당하여 벗기기가 쉽다.
(2) 닥나무 껍질 벗기기
베어온 닥나무를 커다란 솥에 넣고 삶는다. 그런 다음 수피를 벗겨내면 흑피가 되고, 다시 흑피의 겉껍질을 벗겨내면 백피가 된다.
(3) 닥나무 삶기
1∼2일 동안 물 속에서 백피를 충분히 불린 후 적당한 크기로 자른 뒤 솥에 넣어 2∼3시간 정도 삶는다. 이 때 삶는 액으로 잿물을 이용한다. 잿물은 표백제의 역할도 하며, 그 속에 함유된 알칼리성 성분으로 인해 천년이 가도 한지가 변하지 않는다.
(4) 닥나무 껍질 씻기
삶은 백피를 흐르는 물에 담궈 잿물기를 씻어낸다. 물 속에서 꺼낸 후 2∼3일정도 골고루 뒤집어주면서 백피에 햇빛을 골고루 내려쬐면 하얗게 표백이 된다.
(5) 닥나무 껍질 두드리기
티를 골라 낸 백피를 닥돌이나 나무판 등과 같은 평평한 곳에서 1∼2시간 정도 골고루 두들겨 준다. 그러면 섬유질이 물에 잘 풀어지는 상태가 된다.
(6) 닥나무 껍질에 닥풀 풀기
잘 두들겨진 원료를 종이 뜨는 지통에 넣은 후, 막대기로 잘 저어 고르게 분산시킨다. 이때 섬유끼리의 분산과 종이 뜰 때 발에서 물빠짐을 잘 조절할 수 있도록 닥풀즙을 넣은 후 다시 잘 저어 준다. 닥풀은 뿌리에 점액이 많기 때문에 물 속에 놓아두면 끈끈한 점액이 만들어진다. 이 점액이 한지 뜰 때 접착제 역할을 하여 한지가 만들어진다.
(7) 한지 뜨기
원료와 닥풀이 잘 혼합되어 있는 지통에 종이 뜨는 발을 담구고 전후좌우로 흔들면서 종이를 떼낸다. 떠낸 종이 사이사이에 왕골을 끼워서 나중에 떼기 쉽게 해준다.
참고문헌
이승철, 우리 한지, 현암사
심화숙, 전통 한지 공예, 우리출판사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8.08.10
  • 저작시기2008.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57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