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물관사 (grpve백과사전 museum history번역)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박물관사 (grpve백과사전 museum history번역)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고전적 기원

2.세계의 르네상스적 소우주들

3.인류평등주의와 교육

4.역사적 기념비들: 루브르 박물관의 건립과 유럽에서의 영향력

5.선형적 배치 대(對) 연대적 전시실

6.미국 박물관의 등장

7.역할의 근대적 재평가들

본문내용

가들의 원시부족의 조각들의 시각적 힘에 대한 차용은 ‘원시primitive' 예술이라고 애호가들에게 널리 알려졌다. 이 박물관의 수집의 취향의 드라마틱한 확장은 끝났다. 19세기 중반부터 자연사 박물관에서, 아프리카에서부터 미국까지의 원시 부족들의 생산품들과 남아시아 및 동아시아 문명의 회화와 조각품들이 부지런하게 수집되고 전시되었다고 할지라도, 이러한 물건들은 최근까지도 자가정의(self-defined)된 미술관의 영역들에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그러나 1919년에는 파리에서 콜렉터들을 위한 ‘예술’품으로서, 아프리카와 오세아니아족의 작품들이 보여 졌고, 1920년대 초기에는 유럽과 미국의 뮤지움들이 아프리카 조각들을 ‘예술’로서 전시하기 시작했다. 그 사이의 시간동안에, 많은 유럽과 미국의 미술관들이 역시 미국 토착민(인디언)의 예술을 전시하기 시작하였다.
아트 뮤지움들 안에서의 원시부족오브제의 전시는 수많은 문제들을 나타냈다. 그 중 대부분은 신성한 물품을 다른이에게 보이는 것을 금지하는 토착 전통들과 기존의 박물관 전시 관례들을 포함한 서구 경험주의적 관습들 사이에서의 복잡한 분쟁들 때문이었다. 제 2차 세계대전 이후에 미국과 오스트레일리아 토착 부족들에 의한 자주권의 천명은 박물관 수집품안에 수장된 오브제들을 회수하려는 영향력들에 의하여 수반되어 일어났다. 1970년대가 시작할 무렵, 토착 미국인(인디언)의 Zuni부족이, 수많은 북미와 유럽 뮤지움에서, 제단의 신상을 합법적으로 제거했다. 그리고 그 조각을 Zuni부족의 신사로 되돌렸다. 그것은 -그 부족의 신앙에 따르면- 하늘을 향해 열려 있어야 했고 그럼으로써 그 신상은 아마 자연의 힘에 의해서 소진(풍화)될 것이다. Zuni족의 회수는 박물관의 개념에 있어 필수 요소인 서구 경험주의 원리들 서구의 경험주의적 이론들이라 함은, 그 시대에는 어떤 것들을 실제로 경험하기 위해 박물관, 동물원등에 모아놓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 글에서와 같이 교육적 목적, 후손에게 물려주기 위한 보존의 목적으로 이용되었다.
-즉 학문적 조사와 공(共)교육을 위한 수집, 후손을 위한 진품의 전시와 영구보존-을 부정하는 것이었다.
뮤지움 큐레이터들과 후원자들에 의한 아방가르드의 돌발적인 수용(faltering acceptance)은 현대 서구예술의 예술가들과 수집가들을 그러한 작품들만 독점적으로 다루는데 전념하는 새로운 뮤지움을 지지하도록 이끌었다. 예를 들어 the Museum of Modern Art, New York(1929), the Musee National d'Art Moderne, Paris(1936), 그리고 더 최근에는 Los Angeles Museum of Contemporary Art (1979) 그리고, the Museum Ludwig, Cologne (1986)등이 있다. 많은 기관들이 예전에 인식되고 잘 정립된 거장들의 작품만을 전시한 것과는 달리, 특별한 기능의 현대 미술관들은 새로운 가능성의 ‘발견’, ‘후원’, 그리고 ‘해석’에 대한 적극적인 협조자가 되었다. 각종 새 미술관들은 제 2차 세계대전을 통해 놀라운 속도로, 그 후의 몇 십년동안 미술관 수집품, 해석 프로그램, 그리고 관객에 있어 기하급수적인 성장을 수반하며 건립되었다. 뮤지움은 언론, 컬렉션, 그리고 특별한 전시 카탈로그들과 협회들의 형태 안의 예술의 학적 연구의 주된 스폰서가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세기 그들의 전신前身들과 마찬가지로, 20세기의 뮤지움들은 논쟁의 장으로 계속되었다. 학자들이 역사 연구의 방법론적인 가정에 의문을 던지고 여러분야에서 집필을 시작했던 1970년대부터 예술 역사의 논쟁의 여지가 있는 모델들을 구체화하는 박물관의 역할은 특히 강력한 조사와 토론의 주제였다. 사료편찬을 연구하는 학자들은 대상유품을 쇠퇴와 갱생에 따라 특징지어지는 유형적 발전의 유사생물학적 주기 속에 설정해 넣는 박물관식 미술사의 서술적 요약이라는 자신들의 역사적, 사회적 틀의 맥락과 구분하는데 있어 미술품의 "박물관주체 방식"의 감정 역할과 같은 주제들에 대해 의문을 가졌다. 1. Scholars examining the historiography of art 주어 2. questioned 동사 3. such topics as the role of museum-based connoisseurship 목적어 4. in separating (objects) from (their historical and social contexts of museums' narrative summaries of art history : (objects)을 (their historical...)과 분리 구분하는데 있어 5. that (관계대명사) 6. set(동사. 여기선, 과거형). 7. "works of art ~ 이하"가 동사 set의 목적어.
->in quasi-biological cycles of stylistic development에서 "유형적 발전"이라 함은 어떤 나름의 개별특성을 지님을 의미한 것. 그 것이 시대적; 선택 소재상의; 국가별 특성으로 등등 하나의 특성적 추이(trend)를 띤다는 의미. 그런 의미에서 development는 개발이기도 하지만 '전개'의 의미도 가능합니다. 그리고 그 앞의 "quasi-biological"은 우리말 표현의 의미가 '유사', '준', '반' 그 어는 것이든 그 보다 중요한 어휘에 내포된 의미는 마치 생물이 생식-탄생-성숙-소멸-재생식과 같은 일정 틀을 지니는 생물학적 특성으로서의 유사성/상사성을 띈다는 의미입니다. 생물학적 특징을 닮았다는 말이기도 함. 이러한 흐름이 art works의 채택, 분류, 소장, 또는 감식에 그대로 적용됨을 시사하는 문구입니다. 사이클이라 함은 그러한 반복과정입니다.
사회학자들 역시 뮤지움 프로그램들이 불리하고 소수의 그것으로서 근대 사회 안에서 성공적으로 도달하는가에 대한 확장을 연구했다. 예술의 보존, 전시 그리고 해석을 위한 중요한 위치로서, 뮤지움은 명백하게 중요한 연구-분화된 학문적 주제나 독립된 문화적 이론으로서의 예술의 속성에 관한-의 주체가 되어왔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8.08.25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68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