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재벌가족에 의한 소유,경영구조와 전문경영자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목 차 ]
1. 머리말

Ⅱ. 가와 재벌에 관한 이론적 배경
1. 가족에 관한 이론적 접근
2. 재벌의 정의
3. 한국재벌의 특성
4. 한국의 재벌형태

Ⅲ. 일본 재벌가족에 의한 소유,경영구조
1. 미쯔이재벌
2. 야스다
3. 미쯔비시
4. 스미토모
5. 소결론

Ⅳ. 일본 재벌가족과 전문경영자의 길항
1. 톱 매니지먼트의 세가지 유형
2. 재벌가족에 대한 외부인의 영향력

Ⅴ. 우리나라 재벌의 현주소(기업문화의 실질적 고찰)

Ⅵ. 결론: 일본과 한국 재벌과의 비교를 통한 시사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자와 번두는 질적으로 중요한 차이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통의 존재가 전문경영자의 진출에 플러스의 토양이 되고 있음은 말할 수 있다.
세째, 에도 시대부터의 상가의 전통을 갖고 있지 않은 재벌의 경우, 재벌 가족이 직접 경영에 종사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재벌에 전문경영자가 등장하는 것은 창업자의 사후나, 리더십의 공백기이다. 리더십의 공백기에 재벌의 리더로서 외부 인사를 영입할 수 있는 것은 일본의 家(イエ)제도의 영향이 크다고 생각된다.
네째, 역시 모리까와가 말하는 개명파와 같은 외부 인사의 영향력이 중요하다. 그러나, 이것은 정경유착 등과 같은 요인에 의한 것이 아니라, 이들의 선각자로서의 권위와 또한 능력있는 인재를 공급할 수 있는 능력에 의한 것이라 생각된다.
한국의 경우, 일본과 같이 후발국으로서 국제적 임팩트하에서 급속한 공업화를 추진하지 않을 수 없었다는 사정은 전문경영자의 등장에 좋은 조건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주지하는 바와 같이 한국 재벌에서의 재벌가족의 영향력은 절대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어떻게 설명될 수 있을까? 시론적으로 몇가지 점을 지적하는 것으로 결론을 대신하겠다.
첫째, 오너의 영향력이 큰 이유로서 우선 한국 재벌의 역사가 짧고 아직 자신의 1대에 재벌을 이룬 창업자가 경영 일선에서 활약하는 경우가 많은 점을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는 일본 재벌에서 공통적으로 확인된다. 창업자의 권위는 대단하였고 이들은 전제적 리더십을 행사하면서 재벌의 기초를 확립하였는데, 이러한 사정은 한국 재벌에서도 공통적으로 관찰되는 것이다.
둘째로, 정부와 재벌의 관계가 일본과 상이하였다는 점을 생각할 수 있다. 일본 재벌 중에는 정상에서 출발한 것이 적지 않으나, 이른바 재벌로서 확립하여간 시점에서는 정부와의 관계를 희박화시키고 있었다. 또한 재벌과 정치와의 유착관계도 특정한 이권에 대한 반대급부의 제공이란 형태는 취하고 있지 않았다. 흔히 政友會와 미쯔이, 憲政會와 미쯔비시와의 관계가 얘기되고 있으며, 스미토모의 경우는 사이온지 긴모찌(西園寺公望), 후루카와의 경우는, 하라 타카시(原敬)와의 특별한 관계가 있었다. 그러나, 재벌이 이들의 정치자금공급원이 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 하여도 재벌은 어디까지나 수동적인 입장이었다. 스스로 정치자금 공급자의 입장을 이용하여 자신의 이익이 되도록 좌지우지하였다고 생각하는 것은 무리이다. 정치자금의 반대급부를 기대하였다고 해도 그것은 재벌이나 사유재산·자유기업체제의 보호 이상의 것은 아니었다.
)森川英正, 『日本財閥社』敎育社, 1981, 116면.
오히려, 재벌은 가족이 정치에 관여하는 것을 대단히 엄격하게 금지하고 있었다.
반면, 한국 재벌의 경우, 정부와 재벌과의 밀접한 관계는 전문경영자의 성장을 방해하는 쪽으로 작용하였다고 생각된다. 우선, 정부는 기업에 대한 가장 중요한 자금공급원이었기 때문에 정부와의 관계는 기업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였다. 기업가의 능력은 주로 정부 당국과의 관계를 관리하는 것으로 여겨졌는데, 정부와의 관계를 관리하는 것이 소유기업가의 역할이었다. 한국에서의 기업전략 방향과 정책들을 결정하는데 자본공급자가 가지는 권한은 압도적이며 이러한 상황에서 전문경영자의 독립적 권한은 극히 제한될 수 밖에 없다. 뿐만 아니라, 정부 당국에 의한 간섭과 감독은 더욱 정부와의 관계를 관리하는 소유기업가의 역할을 강화시켰다.
)강명헌, 『재벌과 한국경제』, 나남출판, 1996, 148-151면.
셋째, 가족제도의 차이점이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특히, 가산과 가족 재산의 엄격한 구별은 가족의 경영참가에 대한 제약으로서 작용하였다고 생각된다. 番頭制나 總有制는 그 구체적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점에서 한국의 경우는 양자의 구별에 대한 인식이 희박하고, 따라서 기업의 사물화의 폐해가 일어나기 쉽다.
이와 같은 한국 재벌 오너의 영향력의 근거라 할 수 있는 점들은 최근 급격히 변화하여 가고 있다. 재벌 오너의 세대교체가 진전되고 있으며, 국제화, 규제완화, 시장 메커니즘의 중시 등과 같은 현재의 흐름은 정부와 기업간의 관계의 변화를 촉진하고 있다. 또한 재벌의 증대되는 경제적 지위는 사기업으로서의 재벌이 아닌 사회적 책임을 지는 사회적 존재로서의 재벌이란 측면을 부각시키고 있다. 재벌가족의 발언권은 약화될 것으로 전망되나, 이것은 톱 매니지먼트의 리더십을 어떠한 문맥에서 재구축할 것인가하는 새로운 문제를 던지는 것이기도 하다.
참고문헌
김대환, 김균, {한국재벌개혁론}, 나남출판, 1999
매일경제산업부, 한국경제연구원, {한국재벌미래는 있는가}, 매일경제, 2000
백승열, {재벌가의 사람들}, 영웅출판, 1991
서울경제신문 특별취재반, {재벌 그 실상과 허상}, 한국 문원, 1995
유인학, {한국재벌의 해부}, 풀빛, 1999
정병휴·양영식, 『한국재벌부문의 경제분석』, 한국개발연구원, 1992.
한국경제연구원.『한국의 기업집단』, 한국경제연구원, 1995.
핫토리 타미오(유한성·국중호역), 『일본이 본 한국의 기업경영과 재벌』 화평사, 1991.
山秀樹, 『住友財閥成立史の硏究』, 同文館, 1988.
法政大學産業情報センタ-·橋本壽朗·武田晴人『日本經濟の發展と企業集團』, 東京大學出版會, 1992.
橘川武郞, 「戰前日本の産業發展と財閥(一)」, 『社會科學硏究』제47권 제3호, 1995.
松元 宏, 『三井財閥の硏究』, 吉川弘文館, 1979.
三島康雄편, 『三菱財閥』, 日本經濟新聞社, 1981.
宮本又郞(外 4인)『日本經營史』, 有斐閣, 1995.
森川英正, 「岩崎小彌太と三菱財閥の組織」, 『經營志林』2권 4호, 1966.
, 『財閥の經營史的硏究』, 東洋經濟新報社, 1980.
, 『日本財閥史』, 敎育社, 1981.
, 『日本經營史』, 日本經濟新聞社, 1981.
편, 『經營者企業の時代』有斐閣, 1991.
中川敬一郞, 『比較經營史序說』, 東京大學出版會, 1981.
作道洋太郞編, 『住友財閥』, 日本經濟新聞社, 1982.
安岡重明편, 『日本の財閥』, 日本經濟新聞社, 1976.
편, 『三井財閥』, 日本經濟新聞社, 1982.
由井常彦편, 『安田財閥』, 日本經濟新聞社, 1986.
  • 가격2,9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08.08.26
  • 저작시기2008.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70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