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사회학]한국사회 종교적 세속화 현상에 관한 고찰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종교의 세속화

2. 세속화 논쟁의 이론적 관점
1) 세속화 논쟁
2) 세속화 이론의 쟁점
3) 종교쇠퇴론(decline theory)의 주장: 윌슨(Bryan Wilson)
4) 변형이론(transposition theory): 버거(Peter Berger)

3. 한국교회에 영향을 주는 세속화 이론

4. 한국의 세속화 문화

5. 한국교회의 세속화 현상
1) 교리의 단순화
2) 실용주의적 교회
3) 교회의 사회참여

6.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화 현상이 한국의 현세주의 세계관의 현상적 실체임을 살펴보았다. 서구의 세속화 신학이 기독교 국가의 침몰에 따른 대안적 작업으로 제기되었고 과학 시대의 현대인들에게 새롭게 제시된 ‘비종교화’ 논리에 따라 전개된 반면에, 한국의 세속화 현상과 한국 교회의 세속화는 근본적으로 초월적이고 형이상학적인 개념을 철저하게 내재화 시켜온 우리의 현세주의 세계관에 따른 것이라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한국인과 한국 교회의 세속화는 무교와 유교 문화에 그 기원을 두고 있는 만큼, 그리고 그 문화는 우리의 핵심 세계관을 형성케 하였기에, 항상 우리 삶 속에, 심지어는 우리 교회 속에 잠재하고 있다고 하겠다. 이 땅에 여러 종교가 유입되었지만 모두 이러한 소위 ‘종교적’ 개념은 현세의 관심의 연장이거나 현세의 기복적 형태, 그리고 포용적인 종교다원주의적 접근을 취하게 한 것도 바로 그런 이유에서였다. 그래서 초월의 세계에 대한 기대, 혹은 종말론적인 삶 등에 대해서 열의를 가지고 생각한다거나 그러한 종교적인 것의 신비를 갖기 보다는, 그 신비를 단순화하기를 즐긴다든지 내재화 구도 속에서 철저하게 실용주의적 가치를 추구하는데 즐거움을 누렸다. 이는 우리 민족으로 하여금 사회 윤리적 연구 및 실천에 관심을 적게 갖도록 하였고, 기독교의 사회화 혹은 탈종교화에로 나아가게는 하지 않았지만, 종교의 세속화를 지속하게 하였던 것이다. 물론 일제 강점기를 포함한 최근에는 교회가 사회적 관심을 적지 않게 갖고 있는데 이것 또한 실용주의적 접근에서 그리고 종교적 이념의 내재화 혹은 현실화 관점에서 실시되고 있는 만큼, 이 역시 ‘세속화’ 현상에 다름 아니다.
탈 종교적이거나 교회의 사회화라는 측면에서는 아니지만 우리 민족은 종교적 이념을 내재화시키고 실용주의적 견지에서 ‘세속화’를 지속하였다고 하겠다. 물론 다른 의미에서의 세속화, 즉 종교적 가치를 타락시킨다는 측면에서 한국 교회가 실용주의적 접근을 계속한다면 그러한 의미의 세속화에로 더욱 나아갈 것은 당연지사다.
참고문헌
금장태.『유교사상의 문제들』서울: 여강출판사, 1990.
문계완. “기독교 대학의 세속화와 그 대응책.”『월간고신』통권 84호 (1989. 5월): 28ff.
박봉랑. “세속화 이후의 그리스도론.”『신학사상』18집 (1977년 가을): 552-564.
서남동. “복음전달과 그 세속적 해석.”『기독교사상』(1965, 2월): 26-36.
――――. “세속화의 과정과 그리스도교.”『기독교사상』(1966, 2월): 15-26.
윤태림.『한국인』서울: 현암사, 1970.
이정용. “동양적인 신학: 주역과 기독교.”『신학사상』18집 (1977, 가을): 473-498.
이종성. “기독교 세속화와 복음의 주체성.”『기독교사상』(1966. 3월): 10-19.
이원규. 1987. 『종교의 세속화: 사회학적 관점』.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______. 1991. 『종교사회학: 이론과 실제』.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______. 1997. 『종교사회학의 이해』. 서울: 사회비평사.
______. 1993. "해방 후 한국인의 종교의식구조 변천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현대 한국종교변동 연구』 161-232
______. 1998a. 『한국교회 무엇이 문제인가?』. 서울: 감신대출판부.
______. 1998b. "한국종교 어떻게 변하고 있는가?: 한국종교의 현실과
전망(Ⅰ)."『기독교사상』. 8:217-236.
______. 1998c. "한국종교 어떻게 변하고 있는가?: 한국종교의 현실과
전망(Ⅱ)." 『기독교사상』9: 186 - 209.
______. 1998d. "한국교회의 종교적 배타성의 문제." 『기독교사상』 11: 36 - 47.
Berger, Peter L. 1982. 『종교와 사회』. 이양구 역. 서울: 종로서적(The Sacred Canopy: Elements of a Sociological Theory of Religion. Garden City, New York : Doubleday, 1967)
Desroche, Henri. 1959. Appendix V., in The Meaning of the Secular. A Report by C. C. West on a Consultation for University Teachers. Bossey, Switzerland.(Sep.):15-20.
Fukuyama, Yoshio. 1961. "The Major Dimensions of Church Membership." Review of Religious Research 2 (3):154-161.
Gerharz, George P. 1970. "Secularization as Loss of Social Control Toward a New Theory."Sociological Analysis 31 (1):1-11.
Glock, Charles Y. and Rodney Stark. 1965. Religion and Society in Tension. Chicago: Rand McNally.
Glasner, Peter E. 1977. The Sociology of Secularization: A Critique of a Concept. London:Routledge & Kegan Paul.
Greeley, Andrew M. 1972. Unsecular Man: The Persistence of Religion. New York: Dell Publishing Co.
King, Morton and Richard Hunt. 1975. "Measuring the Religious Variable: National Replication." Journal for the Scientific Study of Religion 14 (1):13-22.
Lenski, Gerhard. 1961. The Religious Factor. Garden City, New York: Doubleday.
Wilson, Bryan R. 1966. Religion in Secular Society. London: C. A. Watts & Co.
  • 가격2,8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8.09.03
  • 저작시기2008.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81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