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승용차의 차급별 물가지수 산출 및 수요체계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목 차 ]
1. 서 론

2. 국내의 자동차 산업 개요

3. 우리나라 승용차의 차급별 소비자 물가지수 산출
3.1 소형차의 물가지수 추이
3.2 중형차의 물가지수 추이
3.3 대형차의 물가지수 추이

4. 준이상적수요체계(Almost Ideal Demand System: AIDS) 분석

5. 추정 결과에 대한 분석

6.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표5-5> 보상자체 및 교차가격탄력성 추정치
가격
수요량
소형
중형
대형
소형
-1.0206
1.2358
0.4781
중형
0.0443
-0.6476
1.3467
대형
0.1695
-0.9672
-0.8305
보상가격탄력성들을 추정한 결과는 <표5-5>과 같다. 먼저 <표5-5>의 대각요소에 추정되어있는 보상자체가격탄력성 추정치들을 보면 소형차가 -1.0206, 중형차가 -0.6476, 대형차가 -0.8305로 이는 각각의 가격이 10% 상승할 경우 소형차 수요는 10.2%, 중형차 수요는 6.5%, 대형차 수요는 8.3%가 줄어들게 됨을 의미한다. 소형차에 대한 수요가 가장 탄력적임을 알 수 있다.
보상교차가격탄력성 추정치들을 살펴보면 대형과 중형사이의 순교차가격효과가 강하고 대형과 중형 및 중형과 소형사이에는 그 효과가 약함을 알 수 있다.
6. 요약 및 결론
국내 승용차를 소형, 중형, 대형으로 분류하고 각 차급별로 가격지수를 산출하여서 이를 활용 수요체계를 추정하고 수요탄력성들을 산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출탄력성의 크기는 중형차, 대형차, 소형차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보상 자체가격탄력성과 보상 자체가격탄력성 모두 음의 값으로 추정되어 자동차 수요에 있어서 이론적 타당성이 부분적으로 확인되고 있다.
셋째, 차급별로 비보상 자체가격탄력성의 추정치에서 소형이 가장 탄력적이고 다음이 중형이고 대형차는 가격에 대하여 단위탄력적이다. 보상자체가격탄력성은 소형이 가장 탄력적이고 대형차의 경우가 중형보다 더욱 탄ㄹ겨적으로 추정되었다.
넷째, 차급별 교차가격탄력성 추정치를 보면 대형차와 소형차사이의 가격효과는 대형차와 중형차 사이의 가격효과보다 약한 것으로 추정되었으나 그 대체 보완관계는 일관성있게 나타나고 있지 못하다.
이상과 같은 분석결과는 향후 승용차 수요의 예측에 기초자료가 될 수 있으며 보다 세분화된 차급별 자동차 수요분석의 기초가 된다. 다만 이 연구에서 얻어진 모든 탄력성 정보는 자동차 소비지출내에서의 탄력성 정보이다. 따라서 전체 소득과 자동차 수요에 대한 탄력성 정보를 결합하면 보다 다양한 수요예측 분석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또한 자료 이용의 문제점과 모형의 다양성 등에 있어서 제한성이 있다. 자동차 물가지수를 산출함에 있어서 분석기간중 연계되지 못한 차종이 제외되었으며 대형차 물가지수의 산출시 한 차종으로만 물가지수를 산출할 수밖에 없었다. 또한 신차개발에 따른 신기술로 인한 자동차 물가지수의 왜곡현상 등도 연구의 제약이 된다. 따라서 앞으로 품질 조정이 고려된 헤도닉 기법을 이용한 보다 정교한 승용차 물가지수의 산출을 통하여 승용차 수요에 대한 탄력성 분석도 향후의 좋은 연구과제이다.
참고문헌
김원년 이충렬, "한국상용차산업의 장단기 수요예측기법 개발연구," 현대자동차 산업연구소 2001 10.
오규창, 조철, 『한국자동차 산업의 경쟁환경변화와 향후 진로』 1997
이성원, 『교통수요의 가격, 소득 및 서비스 탄력성에 관한 분석』, 교통개발연구원 1999
포스코 경영연구소, 『한국자동차 산업의 구조조정 영향과 POSCO의 대응과제』 1999
한국자동차공업협회, 『2001 한국의 자동차산업』 2001
한국자동차공업협회, 『자동차산업 통계 연보』, 각년호
황상규 박병성, 『자동차보유대수 추정에 관한 연구』 교통개발연구원 2000
현대자동차, 『2001 자동차 산업』2001. 5.
Berry, S., "Differentiated Products Demand Systems from a Combination fo Micro and Macro Data: the New Car Market," NBER 1998
Deaton, A., and Muellbauer, "An Almost Ideal Demand system," AER 70(1980) 312-326
Edgerton, D. L. B. Assarsson, A. Hummelmose, I.P. Laurila, K.Rickerten & P.H. Vale, The Econometrics of Demand Systems, Kluwer Academic Pub. 1996
Goldberg, P.K., F.Verbovern, "The Evolution of Price Dispersion in the European Car Market," NBER 1998
Irandoust, Manuchehr, "Pricing Policy in the Swedish Automobile Market," J. of Economics and Business 1998 50:309-317
Irandoust, Manuchehr, "Market structure and market shares in the car industry," Japan and the World Economy 11 (1999) 531-544
Kayser, Hike A., "Gasoline demand and car choice: estimating gasoline demand using household information," Energy Economics 22(2000) 331-348
Murray, J. and N. Sarantis, "Quality, Usercost, Forward-Looking Behavior, and the Demand for Cars in the UK," J. of Economics and Business 1999 51:237-258
Nevo, Aviv, "New Products, Quality Changes and Welfare Measures Computed from Estimated Demand Systems," NBER 2001
Raff, D.M.G., M. Trajtenberg, "Quality Adjusted Prices for the American Automobile Industry: 1906-1940," NBER 1995
Wojcik, Charlotte, "Alternative models of demand for automobiles," Economics Letters 68(2000) 113-118
  • 가격2,6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8.09.19
  • 저작시기2008.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98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