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듣기능력 평가의 범주 및 듣기평가의 효율적인 방향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머리말

2. 일상생활에서의 듣기 활동

3. 듣기평가의 중요성과 방향
3.1 의사소통 능력과 듣기평가의 중요성
3.2 듣기의 특성과 평가
3.3 듣기평가의 방향

4. 듣기능력 평가의 목표 및 범주
4.1 듣기능력에서의 문법적 능력
4.2 사회언어학적 능력
4.3 담화 구성 능력
4.4 전략적 능력

5. 듣기평가 자료 구성의 원칙과 실제
5.1 듣기평가 자료 구성의 원칙
5.2 평가 자료의 실제
5.3 숙달도에 따른 듣기 평가 자료

6. 듣기평가의 유형
6.1 듣기평가 유형개발 및 문제구성 원칙
6.2 듣기평가의 유형
6.3 듣기평가 유형의 실례

7. 듣기평가의 효율적인 방향

8.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평가도 실생활에서의 의사 소통 능력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이를 위해 개별적인 언어 요소들의 청취력보다는 전체 담화를 듣고 이해하는 능력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듣기 능력 평가에서 측정해야 할 범주는 문법적 능력, 사회 언어학적 능력, 담화 구성 능력, 전략적 능력으로 나뉘는데, 본고에서는 이를 세분화하여 15개 항목을 제시하였다.
듣기 평가의 자료는 '실생활에서 쓰임직한' 실제적인 자료이어야 하며, 대화 상황과 내용이 자연스럽고, 전형적인 대화 원리를 따른 대화이어야 한다. 또한 담화 상황이 명확한 자료이어야 한다. 듣기 평가에서 사용하는 자료는 주제, 유형이 다양한데 보고에서는 숙달도에 이를 분류하여 제시하였고 그 실례를 들었다.
타당성 있고 신뢰도 높은 듣기 평가를 위해서는 평가 목표에 따라 내용을 구성해야 하며, 이와 함께 평가 자료와 반응 유형을 고려하여 평가 유형을 결정해야 한다. 평가 유형을 개발하고 문제를 구성할 때는 평가 목표를 고려한 문제 유형을 선정해야 하며, 의사 소통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문제를 구성해야 한다. 또한 지시문이나 정답, 그림의 제시 등이 명확하여야 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원칙하에서 한국어 듣기 평가에서 사용하는 평가 유형을 크게 21가지로 분류하여 그 특성을 기술하고 실례를 제시하였다.
능력 평가는 학습자의 능력을 측정하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교육 목표와 교육 과정, 교수법 등 한국어 교육 전반에 걸쳐 피드백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가 평가를 계획하고 설정하는 데에 한정된 아쉬움이 있고, 본고 또한 그러하다. 평가가 그 기능을 다하기 위해서는 평가 결과에 대해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교육 과정에 반영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연구들이 앞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영아 (1996),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능력 평가 방안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김유정 외 (1998), 한국어 능력 평가 방안 연구, 한국어 교육, 제9권 1호.
김유정 (1999), 한국어 능력 평가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김정숙 (1997), 한국어 숙달도 배양을 위한 한국 문화 교육 방안, 교육한글, 제10호, 한글학회.
김정숙 (1998), 과제 수행을 중심으로 한 한국어교육방법론, 한국어교육, 제9권 1호.
김정숙·원진숙 (1992),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의 반성과 새로운 연구방법의 모색, 어문논집 31,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 연구회.
노대규 (1983),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시험과 평가, 이중언어학회지 1, 이중언어학회.
서상규·김하수 (1997), 한국어 능력 평가 시험의 기본 모형 수립을 위한 기초적 연구, 교육한글, 제10호.
이정민 외 편 (1977), 언어과학이란 무엇인가, 문학과 지성사.
임병빈 역 (1992), 영어교육 평가기법, 한국문화사.
_______ (1999), 영어 교수학습 평가, 한국문화사.
임영환 외 (1996), 화법의 이론과 실제, 집문당.
이정희 (1999), 영화를 통한 한국어 수업방안 연구, 한국어교육, 제10권 1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이해영 (1999), 한국어 듣기 교육의 원리와 수업 구성, 한국어 교육, 제10권 1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이해영·이미혜 (1996), Task를 기초로 한 한국어 듣기 교육, 교육한글, 제10권, 한글학회.
전은주 (1999), 말하기·듣기 교육론, 박이정.
정광 외 (1994), 한국어 능력 평가 방안 연구, 한국어학 1, 한국어학 연구회.
조항록 (1993),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듣기 교육에 관한 일 고찰, 말 18집,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최길시 (1998),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의 실제, 태학사.
최인철 (1993), 외국어능력 검정시험 개발 모델, 어학연구 29-3.
Anderson, A. and T. Lynch (1989), Listening, Oxford University Press.
Bachman, Lyle F. (1990), Fundamental Considerations in Language Testing, Oxford University Press.
Brown, H. Douglas (1994), Teaching by Principles, Englewood Clifs, NJ: Prentice-Hall.
Brown, H. Douglas (1994), Principles of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신성철 역 (1996), 외국어 교수·학습의 원리, 한신문화사.
Celce-Murcia, Marianne(2nd) (1991), Teaching English as a Second or Foreign Language, Second Edition, Newbury House Publishers.
Hatch, Evelyn (1992), Discourse and Language Educ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Hughes, Auther (1989), Testing for Language Teachers, Cambridge University Press.
Hymes. D. H. (1972), On communication competence, In J. B. Pride and J. Holmes (eds.); Sciolinguistics, Harmondsworth: Penguin.
Omaggio, A. H. (1993), Teaching Language in Context. 2nd edition, Heinle & Heinle Publishers.
Rivers, Wilga M. (1968), Teaching Foreign-Language Skills.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Rost, Michael (1990), Listening in Language Learning, Longman.
Ur, Penny (1984), Teaching Listening Comprehens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 가격3,2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08.09.26
  • 저작시기2008.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14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