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쇄술][인쇄술 역사][목판인쇄술][활자인쇄술][목활자인쇄][금속활자인쇄술]인쇄술의 역사, 목판인쇄술, 활자인쇄술, 목활자인쇄, 금속활자인쇄술 심층 분석(인쇄술, 목판인쇄술, 활자인쇄술, 금속활자)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쇄술][인쇄술 역사][목판인쇄술][활자인쇄술][목활자인쇄][금속활자인쇄술]인쇄술의 역사, 목판인쇄술, 활자인쇄술, 목활자인쇄, 금속활자인쇄술 심층 분석(인쇄술, 목판인쇄술, 활자인쇄술, 금속활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인쇄술의 역사

Ⅲ. 목판인쇄술
1. 신라의 목판인쇄술
2. 고려의 목판인쇄술
3. 조선의 목판인쇄술

Ⅳ. 활자인쇄술

Ⅴ. 활자인쇄술의 목활자 인쇄
1. 기원 및 보급
2. 발달
3. 활자 만들기와 인쇄방법

Ⅵ. 금속활자인쇄술
1. 고려의 금속활자인쇄술
2. 조선의 금속활자인쇄술(1)
3. 조선의 금속활자술(2)
4. 조선의 금속활자술(3)
5. 조선의 금속활자술(4)
6. 조선의 금속활자술(5)

참고문헌

본문내용

만든 먹물을 먹솔로 활자면에 고르게 칠한다. 그런 다음 종이를 그 위에 놓고 말총 또는 털뭉치 등의 인체에 기름 또는 밀랍과 같이 미끄러지는 물질을 묻혀 종이 위를 위아래로 고루 문지르거나 비벼서 밀어낸다. 애벌을 밀어내면 주색으로 오자와 탈자를 비롯하여 거꾸러진 것, 비뚤어진 것, 희미한 것, 너무 진한 것 등을 바로 잡아진다.
Ⅵ. 금속활자인쇄술
1. 고려의 금속활자인쇄술
고려 말 청주 흥덕사에서 찍어낸 직지심체요절은 세계에서 가장 먼저 금속활자로 찍은 책이다. 이는 1972년 유네스코에서 공인을 받은 것이다. 이 책의 마지막 장에 인쇄시기(1377년), 인쇄장소(청주목 흥덕사), 인쇄방법(활자인쇄)이 기록돼있다. 고려의 금속활자는 독일 구텐베르크 활자보다 70여년 빠르다. 우리 선조들이 인류문화사상 가장 먼저 금속활자로 만들었다는 것이 세계인에게 인정되었다. 중국은 15C 명나라부터 동활자를 만들기 시작했고 일본은 16C말 우리나라에서 금속활자인쇄술을 배웠다.
남명헌화상-(영인) 보물 제 758호 송충도가 1239년(고려 고종26) 찍음
불조직지 심체요철 -(영인) 권하 1377년(고려 우왕 3년) 금속활자로 찍음
불조직지 심체요철 -활자판 1990년 오국진 만듬
2. 조선의 금속활자인쇄술(1)
조선 태종때부터 주지소를 설치하고 금속활자를 만들어 책을 찍어냈다. 1403년(태종 3년)에서 십만여개의 동활자를 만들었다. 조선 최초의 금속활자이며 계미자라고 한다. 이는 독일 구텐베르크 활자보다도 50년이나 빠르다. 1434년에 세종대왕께서 활자모양을 직육면체로 개량하였고, 근대와 같은 완전한 조립식 활자판을 고안하여 인쇄의 능률을 향상시켰다. 조선초기에는 동으로 활자를 여러 번 만들었다. 15세기 부터는 활자를 납활자를 만들었고, 철활자는 17세기부터 만들었다. 민간에서는 16시기경부터 철활자를 만들어 책을 찍었다.
소미가숙점교부음통감절요 -1420년(세종 2년)만든 경지자로 1420 34년(세종 2-16년)찍음
북서 -1434년(세종 15년)만든 초주갑인자로 1475년(성종 6년)찍음
진서산독서기을집상대학연의
-권 10-14 1434년(세종 15년)만든 초주갑인자로 1507 - 44년(중종년간)찍음
중요혹문 -1580년(선조 13년)만든 경진자(재주갑인자)로 찍음
서전대전 -1618년(광해군 10년)만든 무오자(삼주갑인자)로 찍음
3. 조선의 금속활자술(2)
한국의 고활자
우리나라 고활자는 활자를 만든 해의 간지나 글씨 쓴 사람의 이름, 글씨의 모습, 활자를 만든곳, 활자를 만든 목적 등에 따라 그 이름을 붙였다. 활자의 크기는 큰 글자, 중간글자, 작은글자로 구분한다. 세종대왕은 1436년에 진양대군에게 글씨를 쓰게 하여 병진자를 만들었다. 조선 최초의 남활자이다. 병병진자는 병진자를 모방하여 만든 활자이다. 을해자는 강희안의 글씨이고 경조자는 안평대군의 글씨이며 정축자는 세조가 등극한 후에 쓴 글씨이다.
숙묘보감 -권 3-5 1668년(현종 9년)만든 무신사(사무감인자)로 1730년(영조 6년)찍음
아송 -권 225-8 1772년(영조 48-49년) 찍음
서전대전 -권 4 1777년(정조 1년) 정유자(북주갑인자)로 찍음
자치통감강목 -권 13 1436년(세종 18년)만든 병진자로 1438년(세종 20년)찍음. 큰납활자
자치통감강목 -권 36 1507 - 1544(중종년간)만듬. 방병진자로 찍음. 큰목활자
주자대전 -권 30 1455년(세조 1년)만든 을해자로 1543년(중종 38)찍음
4. 조선의 금속활자술(3)
세조 때 만든 을유자는 정난종의 글씨이다. 갑진자는 중국 글씨를 굴자본으로 하고 부족한 글자를 박경의 글씨를 보충하여 만들었다. 숙종 초기 교서관에서 명나라 글씨체를 구입하여 철활자를 만든 것이 교서관인서체자(운각 인서체자)이다.
동국문헌비고
-권 36-38 1723년 이전(경종 초기)만든 후기 교서관인서체자로 1770년(영조 46년)찍음
농암집
-권 29, 301 684년 이전(숙종 초기)만든 전기 교서관인서체자로 1710년(숙종 36년)찍음
신편고금사문류취 -권 115 1484년(성종 24년)만든 갑진자로 1493년(성종 24년)찍음
문한류선다성 -권 22 1465년(세조 11년)만든 을유자로 1469 - 84년(성종 1-15년)찍음
주자어류 -권 4, 5 1516년(중종 11년)만든 병자자로 찍음
5. 조선의 금속활자술(4)
숙종 때 현종 실록을 찍기 위해 민간이 만든 낙동계자를 사들이고 부족한 글자는 다시 만든 것이 현종실록자이다. 한구자는 한구의 글씨이고, 원종자는 인조의 아버지인 원종의 글씨이다. 숙종자는 숙종의 글씨이다.
열성지상통기 -권 15, 16 1677년(숙종 3년)만든 현종 실록자로 1719년(숙종 45년)찍음
자치종감강목-권 55 1677년(숙종 3년)만든 초주한구자로 1680년(숙종 6년)경 찍음
맹자언해 -권 13, 14 1693년(숙종 19년) 숙종자로 찍음
맹자언해 -권 9, 10 1693년(숙종 19년) 원종자로 찍음
6. 조선의 금속활자술(5)
정조 때는 정유자, 재주 한구자, 초주정리자 등을 만들었다. 전사자는 박종경이 만든 활자이다. 한국 최초의 석판 인쇄물은 용산 인쇄소에서 찍어낸 책이다. 고종 20년에 박문국을 설치하고 새로운 연활자를 도입하여 한성순보등을 찍어냈다.
어정대학유의-1795년(정조 19년)만든 초주정리자로 1804년(순조 4년)찍음
두율불운-1795년(정조 19년)만든 정리자로 찍음. 소자
성경직해-1883년(고종 20년)만든 보연활자로 찍음
열성어제-1858년(철종 9년)만든 재주정리자로 1865년(고종 2년)찍음
아학편-1908년 석판으로 찍음
금석집-1816년(순조 16년) 전사자로 찍음
참고문헌
* 국립진주박물관, 목활자로 보는 옛 인쇄문화.
* 김창옥, 인쇄문화의 새로운 이해
* 손보기, 금속활자와 인쇄술. 세종대왕 기념 사업회. 손보기. 1974
* 전상운, 한국과학사의 새로운 이해.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8.
* 천혜봉, 한국 금속 활자본. 범우사. 1993
* E.L아이젠슈타인,전영표 역, 근대 초기 서구의 인쇄혁명. 인쇄출판문화의 원류. 법경출판사. 1992
  • 가격5,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8.09.2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17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