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공원-순천만자연생태공원을 사례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생태공원이란

2. 사례 연구 - 순천만 자연생태공원
(1)순천만의 역사
(2)순천만의 위치와 면적
(3)갯벌의 형성과정
(4)순천만 갯벌의 특성
(5)순천만 자연생태공원가치
(6)순천만 생태공원의 주요시설 및 관찰 코스
(7)순천만 생태공원의 철새ㆍ갯벌생물ㆍ식물상

3.결론

4.인용문헌

본문내용

비둘기
올빼미목
올빼미과
수리부엉이
소쩍새
솔부엉이
파랑새목
물총새과
청호반새
물총새
후투티과
후투티
참새목
종다리과
종다리
제비과
제비
할미새과
노랑할미새
알락할미새
검은등할미새
직박구리과
직박구리
때까치과
때까치
굴뚝새과
굴뚝새
바위종다리과
멧종다리
지빠귀과
딱새
검은딱새
호랑지빠귀
흰배지빠귀
개똥지빠귀
노랑지빠귀
붉은머리오목눈이과
붉은머리오목눈이
휘파람새과
휘파람새
개개비
오목눈이과
오목눈이
박새과
진박새
곤줄박이
박새
동박새과
동박새
멧새과
멧새
쑥새
노랑턱멧새
검은머리쑥새
되새과
되새
방울새
참새과
참새
찌르레기과
찌르레기
꾀꼬리과
꾀꼬리
까마귀과
어치
참새목
까마귀과
까치
2)갯벌생물상(57종)


이름
해변해면목
해변해면과
주황해변해면
해변말미잘목
줄말미잘과
담황줄말미잘
해변말미잘과
풀색꽃해변말미잘
해변말미잘
개맛목
개맛과
개맛
원시복족목
흰삿갓조개과
둥근배무래기
납작배무래기
밤고둥과
개울타리고둥
보말고둥
소라과
소라
눈알고둥
갈고둥과
갈고둥
중복족목
총알고둥과
총알고둥
갯고둥과
댕가리
비틀이고둥
이족목
구슬우렁이과
큰구슬우렁이
갯우렁이
신복족목
뿔소라과
피뿔고둥
대수리
대추고둥과
대추고둥
두순목
민챙이과
민챙이
익형목
꼬막조개과
복털조개
사새목
꼬막
홍합과
홍합
홍합목
왜홍합
사새목
키조개과
키조개
가리비과
비단가리비
진판새목
개량조개과
개량조개
이치목
죽합과
맛조개
진판새목
백합과
가무락조개
떡조개
민들조개
백합
살조개
바지락
개조개
부채잘갯지렁이목
참갯지렁이과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
갯지렁이목
석회관갯지렁이과
석회관갯지렁이
완흉목
거북손과
거북손
조무래기따개비과
조무래기따개비
등각목
갯강구과
갯강구
십각목
금게과
그물무늬금게
밤게과
밤게
자게과
자게
꽃게과
꽃게
바위게과
도둑게
달랑게과
길게
칠게
달랑게
십각목
엽낭게
농게
현대목
검은띠불가사리과
검은띠불가사리
유극목
별불가사리과
별불가사리
차극목
불가사리과
아무르불가사리
공치목
둥근성게과
말똥성게
무족목
닻해삼과
가시닻해삼
3)식물상 (145종)
해홍나물군락, 도꼬마리군락, 망초군락, 개망초군락, 가는갯능쟁이군락, 칠면초군락, 도깨비바늘군락, 돼지풀군락, 나문재군락, 퉁퉁마디군락, 손비기나무군락, 갯개미취군락, 양미역취군락, 쑥군락, 애기부들군락, 모래지치군락, 갈대군락, 참새귀리군락, 고마리군락, 물수세미군락, 매자기군락, 띠군락, 소리쟁이군락, 미국자리공군락, 갯질경군락, 검정말군락, 물억새군락, 부들군락, 좀보리사초군락, 돌피, 들묵새, 띠, 메귀리, 모새달, 물뚝새, 물억새, 바랭이, 수크령, 우산잔디, 주름조개풀, 참새귀리, 부들, 애기부들, 청미래덩굴, 닭의장풀, 매자기, 송이고랭이, 세모고랭이, 새섬매자기, 좀보리사초, 올챙이골, 천일사초, 흰독말풀, 흰송이풀, 갯개미취, 갯씀바귀, 께묵, 도깨비바늘, 도꼬마리, 돼지풀, 등골나무, 떡쑥, 망초, 미국가막사리, 양미역취, 방가지똥, 골등골나물, 비쑥, 사데풀, 사철쑥, 개망초, 쑥, 이고들빼기, 진득찰, 코스모스, 큰방가지똥, 고들빼기, 검정말, 지채, 갈대, 강아지풀, 솔새, 개피, 갯겨이삭, 갯쇠보리, 갯잔디, 금강아지풀, 쇠뜨기, 은수원사시나무, 환삼덩굴, 개여뀌, 고마리, 마디풀, 며느리배꼽, 소리쟁이, 애기수영, 흰꽃여뀌, 미국자리공, 번행초, 갯개미자리, 명아주, 갯댑싸리, 나문재, 흰명아주, 호모초, 수송나물, 취명아주, 칠면조, 퉁퉁마디, 해홍나물, 가락지나물, 오이풀, 사위질빵, 개비름, 쇠무릅, 댕댕이덩굴, 다닥냉이, 개자리, 갯완두, 도둑놈의갈구리, 비수리, 새콩, 아까시나무, 여우콩, 여우팥, 자귀풀, 조록싸리, 칡, 토끼풀, 어저귀, 오박, 달맞이꽃, 물수세미, 갯사상자, 갯방풍, 갯까치수영, 갯질경이, 박주가리, 갯메꽃, 메꽃, 실새삼, 모래지치, 순비기나무, 쥐깨풀
3.결론
우선 순천만 자연생태공원에 가 보지 못하고 이 글을 쓰는 것이 안타깝다. 그래서 비슷하다고 할 수 있는 경험이었던 안심습지견학이 생각이 났다. 내가 학교(경북 경산시 진량읍 대구대학교)를 다니고 있는 곳과 그리 떨어지지 않은 곳에 습지의 환경이 그대로 보존되고 있는 곳이었는데 마침 그곳에서 철새들의 사진을 찍고 있던 사진작가님의 얘기가 생각이 난다. 그곳에도 매년 많은 철새들이 날아오고는 했는데 한 해,한 해가 다르게 그 종류가 줄어들고 살 곳을 찾지 못해 죽어가는 새들을 많이 보고 또 사진을 찍고 이러한 사진들을 통해 환경운동을 하고 있다고 했다. 그 얘기를 들으면서 인간 이외의 생물들과 환경의 중요성을 많이 생각하고 느꼈던 적이 있다. 생각해보지 않으면 느끼지도 못하겠지만 10년, 20년 전의 환경과 지금의 환경만 기억하고 비교해 보더라도 지금과 많이 달라지고 있다. 내가 7~8살 때는 그렇지 못했지만 아버지가 어렸을 때는 놀다가도 목이 마르면 시냇물을 마시고는 하셨다고 한다. 하지만 지금 우리에게는 그 얘기가 상상 속의 장면에 불과하다. 우리에게는 페트병에 든 물을 사먹거나 정수기의 물을 먹는 것이 당연한 것 같다. 결국 우리, 즉 인류는 많은 개발과 기술의 증대로 큰 혜택을 누리고 있는 것 같지만 우리 이외의 식물과 생물에게는 많은 해를 주고 이제는 우리들 자신들이 누려야 할 환경마저도 손상시키고 있는 것이다. 이제는 개발의 속도와 정도를 보고 위험성을 느껴야 한다. 하지만 그렇게 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세상을 바쁘게 살아가고 있는 인간의 가장 큰 위험성인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생태공원을 개발하고 자연을 지키고, 있는 그대로의 환경을 보전하려는 노력이 매우 아름답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를 단순한 관광지로만 볼 것이 아니라 이제는 진지하게 환경과 결부시켜 지구를 살리려는 (더 이상의 개발을 중단하고) 노력의 작은 씨앗으로 보고 환경을 살리려는(지금도 충분히 늦다)노력에 관심을 보여주고 작은 실천을 해야 할 때이다.
4.인용문헌
길동자연생태공원홈페이지
-http://parks.seoul.go.kr/kildong/intro/ecologi.htm?menu=1
순천만자연생태공원홈페이지
-http://www.suncheonbay.go.kr/index.jsp
네이버 블로그
- http://blog.naver.com/owenhope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8.09.30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20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